본문으로 이동

사용자토론:Ls1569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8년 전 (BIGRULE님) - 주제: 삭제 신청 이의 해도 소용없습니다.

Ls1569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토론 문서에 글을 남길 때는 해당 글 맨 뒤에 꼭 서명을 넣어 주세요. 위키백과에서 쓰는 서명 방식은 이름을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물결표 4개(--~~~~)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 66 Quotation Marks. 99 2009년 2월 1일 (일) 16:58 (KST)답변

안내[편집]

안녕하세요. 파일:이채영37.jpg을 위키백과에 올려 주셔서 고맙습니다. 그러나 올리신 그림 파일의 내용에 누가 이 내용물을 만들었는지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으셨거나, 저작권 라이선스에 대해 명시하지 않아 저작권을 확실하게 알 수 없습니다.

직접 만드신 파일이라면 이 사실을 명시해 주시고 만든 날짜도 적어주세요. 직접 파일을 만들지 않으셨다면 저작권을 소유한 사람을 명시하셔야 합니다. 웹사이트로부터 가져온 것이라면, 해당 웹사이트의 링크로 출처를 다시 언급할 경우 보통 저작권 정보가 충분하다고 인식됩니다. 그러나 저작권을 가진 사람이 웹사이트 관리자가 아니라면, 저작권을 좀 더 명확하게 명시하셔야 합니다.

저작권 라이선스 태그를 붙이지 않으셨다면 태그를 올바르게 추가해 주십시오. 사진, 소리, 비디오를 직접 만드신 것이라면 {{self|Cc-by-sa-3.0}} 라고 적어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BY-SA 3.0 라이선스 아래에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들 수 있습니다. 다른 자유 라이선스에 대해서는 위키백과:그림의 저작권 표시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비자유 저작물의 인용을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업체의 로고나 연예인의 사진 등을 올리실 수 없습니다. 자세한 것은 위키백과:비자유 저작물의 인용을 참조하십시오.

그림 파일의 정보를 표시할 때는 {{그림 정보}}틀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정확하거나 생략된 정보들을 밝히지 않으신다면 해당 파일을 위키백과에서 사용할 수 없으며, 곧 삭제될 수 있습니다. 지금 즉시 해당 파일을 편집하여 미흡한 부분을 보완해 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요구[편집]

반갑습니다 Ls1569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제임스 휴이시 문서에 하신 기여에 대해 알려드릴 것이 있습니다. Ls1569님이 제임스 휴이시에 편집하신 내용에 대해 출처가 요구되었습니다. 위키백과의 내용에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밝히는 것은 글을 읽는 사람이나 편집하는 사람이 확인할 수 있음을 보증하고, 해당 편집이 독자 연구가 아님을 보여 주고, 저작권 침해의 주장을 피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적절한 출처가 제시되지 않으면 해당 내용이 삭제될 수 있으니, 번거로우시더라도 처리를 부탁드립니다. 혹시 위키백과를 편집할 때 궁금한 점이 있다면 길라잡이사용법을 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더 궁금한게 있다면 질문방이나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세요. 앞으로도 좋은 기여 부탁드립니다. --밥먹어쏭 (토론) 2010년 2월 25일 (목) 12:32 (KST)답변

유저박스 중복 신고[편집]

2013년 한국 프로 야구 포스트 시즌 - 플레이오프 문서에서[편집]

플레이오프 1차전 당시 4회초 두산 이원석이 타석에 섰을 때 두산 응원석에서 앰프를 크게 틀며 응원하는 바람에 최규순 주심이 두산 응원석에 주의를 줬고, 이에 장내 방송이 나간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편집할 때에는 중립을 지켜야 하고, 두산 응원석에서 앰프를 크게 틀었다고 해도 그 상황이 왜 일어나게 되었는지를 먼저 파악한 후에 편집하여야 합니다. 전일 10월 15일 미디어데이에서 양팀 주장(LG 이병규, 두산 홍성흔)은 앰프 소리가 너무 커서 자제해달라고 했음에도 양팀 응원석에서 경기 시작 전에도 앰프를 크게 틀었으며, LG 이병규(9)는 LG 응원석을 향해 자제를 요청하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경기 초반부터 양팀 응원석에서 앰프를 낮추다가 응원 분위기가 과열되면서 앰프 소리가 점점 커졌던 것입니다.

하지만 두산 응원석에서 앰프를 크게 틀어 과도한 앰프 사용을 자제해 달라고 장내 방송이 나갔다고 해서 두산 응원석이라고 편집한다면 논란이 일어나기 쉽습니다. 두산 팬의 입장에서는 이 문구가 대단히 거슬리기 때문입니다. 분명히 이런 생각을 하게 됩니다. LG 응원석도 크게 틀었으면서 왜 두산을 가지고 지목할 수 있느냐는 것이지요. 그러므로 편집 전에는 인과 관계를 잘 파악한 후 편집해야 합니다.

만일 LG 응원석에서 분명히 가만히 있었고, 앰프도 적정 수준으로 틀고 있는데 두산에서 지나치게 크게 틀어서 문제가 되었다면 그것은 분명히 두산 응원석의 실수이기 때문에 두산 응원석으로 편집할 수 있겠지만요...42.82.152.191 (토론) 2013년 10월 18일 (금) 21:46 (KST)답변

부탁드립니다. 중립을 지켜 주세요.[편집]

답글을 잘 봤습니다. 저는 LG도 두산 팬도 아님을 먼저 말씀드립니다. 몇 가지 지적을 드리지요.

LG 응원단에서는 앰프를 크게 튼 적이 없습니다. 크게 들렸던 것은 앰프 소리가 아닌 LG 팬 분들의 '육성응원'이였습니다. 물론, 당시 LG팬 분들이 두산팬 분들보다 많이 입장했던 것은 사실이며, 그 많은 팬 분들의 목소리가 커서 앰프 소리로 착각하실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LG 응원단에서는 절대 2013 시즌 내내 앰프를 크게 튼 적도 없으며, 적정량의 수준을 지켜왔습니다. 그에 비해 두산 응원단은 2013 시즌에 공식적인 주의는 없었지만 인터넷 네티즌 사이에서는 두산의 앰프소리가 너무나 크다라는 이야기가 누누이 있었고, 종종 두산 팬분 들 사이에서도 "응원단의 앰프 소리가 크다", "두산 응원단장은 앰프 소리로 먹고 산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어디서 그런 이야기를 들었는지요? 그게 사실이라면 사용자 토론에 출처를 달아 주세요. LG 응원석에서 적정량의 수준을 지켜왔다고요? 어느 수준인지는 모르겠지만 그것은 다른 분들이 볼 때에는 주관적으로 보이기 쉽습니다. 사실 2013년 뿐만 아니라 오래 전부터 대한민국 프로야구에서 응원석의 과도한 앰프 사용이 오래 전부터 문제가 되어 왔습니다. 야구 관람객의 관점에서도 응원하는 팬의 입장에서도 수치로 따지지는 못하겠지만 LG를 포함한 나머지 팀 응원석의 앰프 소리가 크면 컸지 작지는 않았습니다. 인근 지역 주민들이 야간에 잠을 못 잘 정도였습니다. 그나마 22:00 이후에는 앰프 사용을 하지 않지만요.


그리고 경기 시작 전 LG 이병규(9) 선수가 응원단 리허설때 "앰프 소리를 조금만 줄여달라"라고 이야기를 한 적 있으며 LG 응원단에서는 수용하고 경기 시작 후에는 작게 틀었습니다. 하지만, 두산 응원단은 전날 미디어 데이에서 앰프 이야기를 먼저 한 홍성흔선수가 앰프를 조금만 줄여달라고 이야기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크게 틀었습니다. TV 중계를 보셨다시피 LG 응원 시에는 오직 '육성응원'이 앰프 소리를 묻어 들리며, 4회초 이원석 선수 타석시 영상을 보면 두산 응원단 앰프 소리는 방송국에서 BGM을 깔아 놓은 듯한 소리로 들립니다.

영상만을 보고 앰프 소리가 방송국에서 BGM을 깔아 놓은 듯한 소리라고 말씀하시는 것은 성급한 판단이 아닐까요? 실제 야구장에서 소리를 듣는 것과 중계 영상 소리만을 듣는 것과는 다름을 누구나 다 알지 않을까요? 당시 MBC 허구연 해설위원이 앰프 소리가 너무 커서 선수들이 경기에 집중하지 못한다는 지적은 당연히 실제 야구장에서 생중계 도중 매우 큰 소음을 듣고 한 말입니다. 하지만 중계 영상은 TV 수신 장치의 상태에 따라 때로는 크게 들릴 수도 있고 때로는 그저 그렇게, 혹은 아무렇지도 않게 들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TV 중계를 볼 때 허구연 위원이 소음 문제를 지적하지 않았다면 매우 큰 응원 소리가 아무렇지도 않게 들렸을 수 있습니다. 적어도 두산 팬의 입장에서는 말이지요.


전혀 응원 분위기가 과열되어 앰프 소리가 커진게 아니며 두산 응원단 앰프 소리는 원래 컸다라는 점을 알고 계셨으면 하고 마지막에 쓰신 "LG 응원석에서 분명히 가만히 있었고, 앰프도 적정 수준으로 틀고 있는데 두산에서 지나치게 크게 틀어서 문제가 되었다면 그것은 분명히 두산 응원석의 실수이기 때문에 두산 응원석으로 편집할 수 있겠지만" 이 문장.. 예 맞습니다. LG 응원단에서는 이병규 선수의 이야기를 듣고 경기 시작 후에 앰프 소리를 작게 틀었고, 두산에서 지나치게 크게 틀어서 문제가 되어 최규순 심판에게 주의를 받았으니 두산 응원석으로 편집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두산에서 주의를 받았다고 해서 두산 응원석으로 편집되는 것이 맞다니요. 위키백과는 중립을 지켜야 합니다. 여기는 쌍둥이마당이나 곰들의 대화와 같이 있는 말 없는 말 다 쓰는 곳이 아닙니다. LG 팬이시라 두산 베어스 팬들이나 응원단장이 짜증나겠지만... 솔직히 저도 두산이 앰프를 크게 틀다가 주의를 받은 것이 맞으니까 두산으로 써야 맞지요. 하지만 중립을 무시하고 사실 그대로 편집해서 논란을 일으키려 하지 마세요.

Ls1569님께서는 사용자 문서에 나와 있듯이 LG 트윈스 팬이시던데 이번 플레이오프만큼은 편집하기 전에 LG 팬의 관점에서만, 혹은 LG 트윈스 관계자 입장에서 말씀을 삼가하였으면 좋겠습니다. 되도록 포스트 시즌 LG 경기에 관해서는 신중하게 생각하고 편집해 주세요. 물론 두산 응원석이 주의를 줬음에도 불구하고 앰프를 크게 틀어놓은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위키백과 편집시에는 중립을 지켜야 합니다. 두산 응원석에서 앰프를 크게 틀었다고 그것을 두산 응원석에서 앰프를 크게 틀었다고 편집한다면 논란이 되기 쉽습니다. 포스트 시즌 플레이오프 문서를 보는 두산 팬의 반응은 LG 응원석이라고 앰프 안 틀었냐? 뭐 묻은 개가 뭐 묻은 개 나무란다고 지들도 정규 시즌때부터 앰프 크게 틀어놓고가 될 수 있습니다. 좀 기분 나쁘실지 몰라도 두산 팬의 입장에서도 생각해 주세요.42.82.152.191 (토론) 2013년 10월 19일 (토) 17:03 (KST)답변

삭제 신청 알림[편집]

귀하가 생성하신 문서는 백:저명성 미달에 의해 삭제 대상입니다.--175.197.32.89 (토론) 2016년 2월 1일 (월) 20:29 (KST)답변

백:등재 기준을 살펴봐주세요.[편집]

프로 선수의 경우, 1군 경기 출전 기록이 없는 경우는 등재 대상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이전에 귀하 말고도 다른사용자분이 생성된 무명 선수 문서도 삭제되었습니다.--175.197.32.89 (토론) 2016년 2월 1일 (월) 20:43 (KST)답변

1군 경기 출전 기록이 없는 선수들 문서도 여럿 있습니다. 저는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생각합니다. -- S.LEE 2016년 2월 1일 (월) 20:46 (KST)

삭제 신청 이의 해도 소용없습니다.[편집]

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 (인물)에 의해 삭제 대상입니다.--175.197.32.89 (토론) 2016년 2월 1일 (월) 20:48 (KST)답변

그럼 위 규칙에 의거 1군 출전 기록이 없는 선수들의 문서들 다 삭제 신청해도 문제 없다 보고 삭제 신청 하겠습니다. -- S.LEE 2016년 2월 1일 (월) 20:50 (KST)

안녕하세요. 해당 안건에 대해서는 야구 프로젝트 차원에서 한 번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데, 여기에 의견을 제시해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BIGRULE (토론) 2016년 2월 2일 (화) 06:37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