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토론:Samhanin/2016년/보존문서1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7년 전 (Samhanin님) - 주제: Lajtabansag 국기 및 국장

개인적인 질문인데..

투르크족 이동경로.png 라던가 카를 5세 합스부르크 제국의 강역.png, Map of eurasia.png, [나당전쟁과 보덕국.png 등을 보면 정말 대단하네요 ㅋㅋ 정말 열심히하는걸 보면 대단해요 ! 근데 님이 올리신 지도나 그런것들중에서 출처가 자작인것들도 있던데 자작인건 뭐 어떻게 하신건가요 궁금해요 ! 그리고 방금하신 그 인장 같은건 3개가 있는데 그중 하나를 한 이유라도 있나용 ?--Gusdn961020 (토론) 2015년 11월 8일 (일) 20:55 (KST)답변

제가 올린 그림들을 인상적이게 보셨다니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그림들은 주로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같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 만듭니다. 지도는 국내, 해외의 것들은 검색하며 참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인장은 신라의 경우 동인(오른쪽에 있던)이 2007년자 데일리한국 뉴스에 '신라 국새'로 소개된 적이 있어서 그것을 올렸습니다. 링크입니다. 고려는 청동인을 주로 주조해서 썼다고 출처에 적혀있어서 그것을 그대로 썼습니다. --Samhanin (토론) 2015년 11월 8일 (일) 21:02 (KST)답변
그럼 그렇게 지도나 그림의 설명에 넣어주실수없나요 ? 어떨땐 이게 맞나 틀리나 헷갈려서 ㅋㅋ 의무는 아니지만서도..그래도 설명이라던가.. 보덕국 지도는 정말 인상적이라서 이게 진짜인가 싶어서 흠.. 머라고해야하지.. 정리가안되네요 ㅋㅋ 무슨말인지는 알아들으실수있으려나요? --Gusdn961020 (토론) 2015년 11월 8일 (일) 21:08 (KST)답변
네, 무슨 뜻인지 알겠습니다. 일단 지도들은 빠른 시일내에도 출처를 기입하는게 좋겠군요. --Samhanin (토론) 2015년 11월 8일 (일) 21:12 (KST)답변
제말을 이해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Gusdn961020 (토론) 2015년 11월 10일 (화) 17:06 (KST)답변

당신에게 반스타를 !

일꾼 반스타
나는 착해서 이 반스타를 드립니다. --Gusdn961020 (토론) 2015년 12월 30일 (수) 23:23 (KST)답변

항상 위키를 위해 기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무도 토론을 안남겨주시니 제가 남겨야죵 ㅎㅎ 대한민국의 국기 항목에서 리타이어 된거같은데 한국의 기 목록 라는곳에 올리세용 아마 올릴수있을듯 아니면 제가 올릴까요 ? 뭐 어쨋든 위키는 님 같이 열심히 하시는분덕분에 잘되는거같네요 ! 뭐 쨋든 이런 깃발 만들기 등등 기여를 많이 해주시고 출처도 똑띠 남겨주세용 ~ 열심히 ! 우리 즐거운 위키해영 ~ --Gusdn961020 (토론) 2015년 12월 30일 (수) 23:23 (KST)답변

감사합니다. 토론 이후 말씀하신 대로 출처는 왠만하면 기입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열심히 해야겠네요 ㅎㅎ --Samhanin (토론) 2015년 12월 30일 (수) 23:28 (KST)답변

근데 흠... 저 고려 국기도 두개가 있다고 들었는데 저게 대표성을 띌수있나영..? 궁금해서--Gusdn961020 (토론) 2015년 12월 31일 (목) 00:12 (KST)답변

사실 고려의 의장기는 제가 올린 상기(象旗) 외에도 여러 개 있습니다. 해마기(海馬旗), 응준기(鷹準旗), 봉기(鳳旗), 태백기(太白旗) 등이 있다네요. 다만 고려 왕이 어가행렬을 할 때 이들 의장기들 중에 제일 먼저 든 깃발이 상기라고 해서 그것을 올렸습니다. 우리나라 의장기의 디자인 연구라는 논문이 출처입니다. --Samhanin (토론) 2015년 12월 31일 (목) 00:26 (KST)답변
저 논문에 상기라는 깃발에 대한 설명을 모두 써주실수 있나요? 그리고 고려 어기는 없나요 ? 뭐 있따면 그게 더 대표성이 있을테니.. 그리고 출처에 저 논문을 넣어도 될듯하네요 상기 출처에--Gusdn961020 (토론) 2015년 12월 31일 (목) 23:07 (KST)답변

고구려에서 사용한 깃발은 종류가 많지 않았고, 대부분 단순하고 무늬도 없었다. 그러나 고려시대의 어가행렬은 서긍이 말했듯이 삼국시대 왕의 행차와는 달리 의장의 구색을 갖춘 매우 화려한 행차였다.

송나라의 영향을 받아 고려의 의물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었다. 이 책에는 왕이 행차할 때 깃발, 부채(扇), 덮개(蓋), 금도끼(金鉞) 등 다양한 의물이 등장한다.

상기(象旗), 해마기(海馬旗), 응준기(鷹準旗), 봉기(鳳旗), 태백기(太白旗) 등이 순서대로 따랐고, 각 방위마다 오방기를 든 병사들과 왕의 친위군대인 용호군 수만 명이 갑옷을 입고 작은 깃발(小旗)을 들고 길 양편으로 행진을 했다.

— 이영희《우리나라 의장기(儀仗旗)의 디자인 연구》

저도 고려 깃발을 조사하면서 제일 먼저 찾은 게 어기였습니다만, 찾기가 힘들더군요. 물론 고려의 어기가 발견만 된다면야 그보다 더 대표성 있는 깃발은 없겠지요. --Samhanin (토론) 2016년 1월 1일 (금) 00:01 (KST)답변

흠.. 저 상기라는 깃발에 대한 설명은 저게 전부인가요?--Gusdn961020 (토론) 2016년 1월 1일 (금) 01:26 (KST)답변

인용된 논문에서 상기에 관한 언급은 저게 끝입니다. 상기에 관한 자세한 서술은 1차 사료인 선화봉사고려도경에 자세히 서술되어 있습니다. 전쟁기념관 홈페이지에 있는 상기에 관한 설명도 고려도경에서 인용한 것이구요.

象旗二其制身與旒皆黑法水數也中繪一象前一胡兒持一金戈復以大繩牽掣其首有左顧之意行則擧其後轅隨地勢扶持而前至行禮之時則依方向建立衆旗之位以黑爲先考之禮經武車綏旌德車結旌則知建旗於車自古已然不特東夷也

— 서긍《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권14, 기치(旗幟)

상기[象旗 : 코끼리를 그린 기]는 둘이며, 그 제도는 몸체와 술[旒]이 모두 검으니 이는 수수(水數 즉 북방의 수)를 상징한 것이다.

가운데에는 한 마리의 코끼리를 그렸는데, 앞에 한 호아(胡兒 거란 사람)가 한 자루의 금과(金戈)를 들고, 다시 큰 새끼줄로 그 머리를 끌어 잡아당기니 왼쪽을 돌아보는 의미가 있다.

행진할 때는 그 뒷 멍에에 달고 지세(地勢)에 따라 붙들고 전진하며, 예를 행할 때가 되면 방향에 의하여 세우는데, 상기의 위치는 검은 것을 우선으로 한다.

《예경(禮經)》을 살피건대, ‘무거(武車)는 깃발을 펴고, 덕거(德車)는 깃발을 맨다.’ 하였으니, 수레에 기를 세우는 것은 예로부터 이미 그러한 것이요, 특별히 동이(東夷)만 그런 것이 아님을 알겠다.

— 민족문화추진회 번역 《고려도경》

원문 번역은 민족문화추진회에서 번역한 것을 인용했습니다. 원문과 번역문 모두 한국전통지식포탈이 출처입니다.--Samhanin (토론) 2016년 1월 1일 (금) 02:46 (KST)답변

후.. 이런 고생을 제가 시켜서 제가 정말 죄송하네요 ; 원래 고~중세시대 국가들은 이런게 참 부족해서리 ㅋㅋ.. 고려 어기나 또다른 상징기가 있음 좋겠건만 사실 저도 이게 국기로 쓰일만한진 잘모르겠네요 ㅋㅋ 어쨋든 열심히 기여해주세요 !--Gusdn961020 (토론) 2016년 1월 1일 (금) 16:10 (KST)답변

고려의 국기? 의장기 - 상기(象旗)

사실 고려의 의장기는 제가 올린 상기(象旗) 외에도 여러 개 있습니다. 해마기(海馬旗), 응준기(鷹準旗), 봉기(鳳旗), 태백기(太白旗) 등이 있다네요. 다만 고려 왕이 어가행렬을 할 때 이들 의장기들 중에 제일 먼저 든 깃발이 상기라고 해서 그것을 올렸습니다. 우리나라 의장기의 디자인 연구라는 논문이 출처입니다.

— Samhanin (토론) 2015년 12월 31일 (목) 00:26 (KST)

Samhanin님께서 제일 먼저 든 깃발 이라고 하셨는데 관련 출처를 알려준 곳에 가보니 관련 제일 먼저 든 깃발 이라는 말은 없는데 어디서 확인이 가능하죠? 그리고 확인 가능하지 않는 출처는 삭제되어야 하고요..--카리야진 (토론) 2016년 1월 23일 (토) 09:03 (KST)답변

고구려에서 사용한 깃발은 종류가 많지 않았고, 대부분 단순하고 무늬도 없었다. 그러나 고려시대의 어가행렬은 서긍이 말했듯이 삼국시대 왕의 행차와는 달리 의장의 구색을 갖춘 매우 화려한 행차였다.

송나라의 영향을 받아 고려의 의물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었다. 이 책에는 왕이 행차할 때 깃발, 부채(扇), 덮개(蓋), 금도끼(金鉞) 등 다양한 의물이 등장한다.

상기(象旗), 해마기(海馬旗), 응준기(鷹準旗), 봉기(鳳旗), 태백기(太白旗) 등이 순서대로 따랐고, 각 방위마다 오방기를 든 병사들과 왕의 친위군대인 용호군 수만 명이 갑옷을 입고 작은 깃발(小旗)을 들고 길 양편으로 행진을 했다.

— 이영희《우리나라 의장기(儀仗旗)의 디자인 연구》

깃발을 제일 먼저 들었다는 것이 별다른 게 아니라 제일 먼저 순으로 따랐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고려의 국기'라는 표현에 대해서는 저도 리다이렉트 걸고 아차했습니다. 수정 건의 드려볼까 생각했었는데 이미 어떤 분께서 고려 틀에 '국기'라고 표시한 걸 '의장기'로 바꾸셔서 그냥 뒀습니다.

만약 클레임이 들어온다면 당연히 '고려의 의장기' 정도로 바꿔야겠죠. --Samhanin (토론) 2016년 1월 24일 (일) 12:52 (KST)답변

의장기

흠 님이 올리신 봉기를 보았는디..흠.. 뭐랄까 의장기는 여러개가 있는거같은데.. 흠.. 어떻게하실 계획이신건갸영 !--고려 (토론) 2016년 2월 2일 (화) 00:02 (KST)답변

저는 어차피 다 같은 의장기이니 기존의 상기를 걸어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만, '봉기가 토수(土數, 중앙의 수)를 상징하므로 이걸 메인으로 합시다,'라고 다른 분들께서 건의하시면 다시 생각해 볼 것 같습니다. --Samhanin (토론) 2016년 2월 2일 (화) 00:10 (KST)답변

심양왕의 지도 !

소스는 고려사라고 밝혀주신건 정말 감사드립니다 ! 하지만 고려사라는 책이 여러개인데 고려사의 몇쪽이고 어디를 인용했는지 더 자세히 말씀해주신다면 더 좋을꺼같아요 ! 또한 충선왕 시기라면.. 동녕부는 돌려받았을지 몰라도 쌍성총관부는 아직 원나라 영토로 알고있습니다. --고려 (토론) 2016년 2월 18일 (목) 18:08 (KST)답변

알겠습니다, 그리고 쌍성총관부 표시는 확실하게 오류네요. 고쳐서 재업로드 하겠습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Samhanin (토론) 2016년 2월 19일 (금) 10:55 (KST)답변
그리고 심양왕 지배지역이 꽤나 넓게 잡혔네요.. 어떤 문구가 있기에 저렇게 넓게 잡힌건가요?--고려 (토론) 2016년 2월 23일 (화) 17:47 (KST)답변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심양왕 강역은 고려사를 텍스트로 만들어진 KBS 다큐맨터리에 나온 지도를 참고했습니다. 다음 블로그 쪽에 스크린샷이 올라와 있어서 링크합니다. 링크
그리고 궁금해서 질문드리는 것인데, 심양왕 지배지역이 꽤나 넓게 잡혔다는 근거는 무엇인지요? 혹시 괜찮은 자료를 가지고 계시다면 소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고해서 수정, 재업로드 하겠습니다. --Samhanin (토론) 2016년 2월 29일 (월) 23:59 (KST)답변
절때로 나쁜의미로 말한것이 아닙니다;; 흠..뭐랄까.. KBS 다큐멘터리의 지도는.. 그냥 뭉뚱 그려놓은거에 그쳐서.. 믿을만한 출처가 되려나 싶어서 묻고싶은겁니다. 제가 뭐 사실 자료도 없고.. ㅜㅜ--고려 (토론) 2016년 3월 1일 (화) 21:09 (KST)답변
고려님의 질문에 기분 나빴던게 아닙니다; 오히려 당연히 하실 수 있는 질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단지 고려님께서 괜찮은 자료를 가지고 계시다면, 추후 참고로 삼을 수 있기에 여쭤본 것 뿐입니다. --Samhanin (토론) 2016년 3월 8일 (화) 00:43 (KST)답변
다큐맨터리 지도가 좀 애매하긴 하지만 다른 참고할 만한 심양 + 고려 동군연합 지도는 거의 없더군요.. 문자 기록은 그 범위를 특정하기 힘들어서 부득이하게 참고했습니다. --Samhanin (토론) 2016년 3월 8일 (화) 00:43 (KST)답변
아하 그렇군요 ㅋ 하지만 다름이 아니라 역사 부분이니깐 조금 집요하게 물은거같네요.. 죄송합니다. 그리고 앞으로 더 좋은 기여 부탁드리겠습니다 ㅎㅎ--고려 (토론) 2016년 3월 8일 (화) 00:50 (KST)답변

문장

File:Coat of arms of People's Republic of Korea.svg 라는 문장을 만들어 주신거 감사합니다. 제가 생각도 못한 부분이었네요 ㄷㄷ;; 정말 감사합니다. 근데 출처로 쓰신 저 사진에서는 색에 대한 내용은 없는데 어떻게 색에 대한 정보를 얻으셨나요.--고려 (토론) 2016년 5월 4일 (수) 23:21 (KST)답변

늘 느꼈던 것이지만 고려님께선 한국사에 관심이 많으시네요. 저도 조선인민공화국에 대해 찾다가 우연히 눈에 들어왔습니다. 색은 이 도서에 확실하게 나와있어서 바로 참고했습니다.--Samhanin (토론) 2016년 5월 5일 (목) 01:07 (KST)답변
아마 블로그인거같은데 아마 저 블로그에 책 몇쪽 또는 책 어디에 나와있다라고 설명되있을꺼같은데 [ 주소 설명 ] 이렇게 해버리는게 어떨까 싶네요 ㅋㅋ--고려 (토론) 2016년 5월 5일 (목) 01:08 (KST)답변
답글이 너무 빨라서 깜짝 놀랐습니다 ㅋㅋ 아얘 책 표지에 문장이 그러져있는 형태 같습니다. --Samhanin (토론) 2016년 5월 5일 (목) 01:11 (KST)답변
아하 그렇군요. 앞으로 위키백과를 위한 더 많은 기여 부탁드리겠습니다!--고려 (토론) 2016년 5월 7일 (토) 15:40 (KST)답변
저 책이 뭔지에 대해 적혀있는게 없네요.. 저 책의 정보에 대해서 조사좀 해주실수있나요?--고려 (토론) 2016년 6월 8일 (수) 00:47 (KST)답변

태평천국기에 관해서.

File:Flag of Taiping Heavenly Kingdom.svg을 만들어 주신거 감사합니다. 태평천국기가 남아있을꺼라곤 생각도 못했네요 ;; 근데 출처를 박물관이라고 하셨는데 사진자료나 그런것들이 있으신가요? 만약 사진자료가 있다면 아 ! 원본이 어떻게 생긴거고 만든거구나 를 알수있을꺼같아서요. 이런 깃발 사이트에선 찾지 못해서..--고려 (토론) 2016년 5월 14일 (토) 10:45 (KST)답변

이 사이트 주인이 직접 태평천국 역사박물관에 가서 찍은 사진들을 참고하여 만들었습니다. 컨트롤+F로 '태평청국(太平天國) 기(旗)' 치시면 손쉽게 보실수 있을 것 같습니다.
깃발에 그려진 용은 태평천국 역사박물관 대문에도 문양 형식으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Samhanin (토론) 2016년 5월 15일 (일) 06:53 (KST)답변

항상 시각보조자료를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역사 반스타
나는 착해서 이 반스타를 드립니다. -- 고려 (토론) 2016년 6월 5일 (일) 18:56 (KST)답변

다만 나당전쟁, 심양왕 등 여러 자료들의 출처가 이 토론방에는 적혀있지만 막상 시각보도자료의 설명에는 누락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최대한 빨리 자료들의 출처를 시각자료 설명란에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고려 (토론) 2016년 6월 5일 (일) 18:56 (KST)답변

반스타 감사합니다, 출처가 누락된 초기 이미지들은 빠르게 추가해야 겠네요. 혹시 폐가 되지 않는다면 출처 기술에 고려님의 협력을 구할 수 있을까요? --Samhanin (토론) 2016년 6월 6일 (월) 10:47 (KST)답변
어떤식으로 도와주면 되나요.--고려 (토론) 2016년 6월 6일 (월) 11:45 (KST)답변
토론에서 논의됐던 부분, 혹은 고려님께서 따로 적합하다고 생각되시는 자료를 출처로 기술해주셨으면 합니다. 물론 힘드시다면 거절하셔도 괜찮습니다.-- Samhanin (토론) 2016년 6월 7일 (화) 16:48 (KST)답변
일단 출처들을 정비해 봤지만 투르크족 이동경로.png, 카를 5세 합스부르크 제국의 강역.png, Map of eurasia.png, 나당전쟁과 보덕국.png 등의 출처는 잘모르겠습니다. 저는 찾는거는 잼병인지라;; 직접 만드신 Samhanin님께서 더 잘아실꺼라 믿으니 출처를 찾아 명기해주셨으면 합니다.--고려 (토론) 2016년 6월 8일 (수) 01:12 (KST)답변
몇몇 자료의 출처를 보강해주신 점 감사합니다. 나열하신 자료들의 출처는 빠른 시일 내에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Samhanin (토론) 2016년 6월 8일 (수) 02:29 (KST)답변

열심히 국장을 만드시는거같네요 !

여기에 대한민국 국기중 만들어지지 않은것들도 있어보이는데 한번 만들어 보시는게 어떨까요? 여기도 한번 보시고영--고려 (토론) 2016년 7월 19일 (화) 12:17 (KST)답변

주신 링크들은 다 한번씩 살펴봤습니다, 제공 감사드립니다. 태극기는 흥미가 가는 소재죠, 의외로 만들기 어렵긴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고려님께서 올리신 Korea Independence Army Marching Flag.png 이미지를 언제 한번 벡터 이미지로 만들어보고 싶습니다. 나머지 태극기들도 여건이 되면 한번 만들어보고 싶네요. --Samhanin (토론) 2016년 7월 21일 (목) 00:39 (KST)답변
저 깃발 잘못만들어졌다네요 말들어보니깐 흠.. 열심히하세용 !--고려 (토론) 2016년 7월 21일 (목) 00:43 (KST)답변

Lajtabansag 국기 및 국장

삼한인님, 안녕하세요?

러이터반샤그(Lajtabansag)의 국기, 국장의 SVG파일을 만들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토론 2016년 10월 17일 (월) 01:47 (KST)답변

Örvendek!
Oppashi님, 반갑습니다. 사용자 문서를 보니 헝가리인이신데, 한국어가 정말 능숙하시군요. 저는 헝가리어는 못하지만 헝가리에 호의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가 만든 Lajtabansag SVG 파일들이 마음에 드신 것 같아 저도 기쁩니다. 귀하의 사용자 문서에 답신을 남겼으니, 앞으로도 지속적인 교류가 가능하면 좋겠습니다. -- Samhanin (토론) 2016년 10월 18일 (화) 02:49 (KST)답변
Alig várom, hogy veled dolgozzak! 번역기가 완벽하지 않습니다 ㅎㅎ 저는 앞으로도 헝가리어 위키백과에서 한국과 북한에 대한 문서와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헝가리에 대한 문서를 쓸 것입니다. 토론 2016년 10월 18일 (화) 03:22 (KST)답변
역시 잘못된 표현이었군요 ㅎㅎ 앞으로도 좋은 활동 보여주시면 좋겠습니다. 혹시 편집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제 토론 문서에 글을 남겨주시면 도와드리겠습니다. --Samhanin (토론) 2016년 10월 18일 (화) 03:28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