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SimCutie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7년 전 (SimCutie님) - 주제: 파이썬 로고 라이선스

SimCutie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토론 문서에 글을 남길 때는 해당 글 맨 뒤에 꼭 서명을 넣어 주세요. 위키백과에서 쓰는 서명 방식은 이름을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물결표 4개(--~~~~)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다마스커스 강철[편집]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런데 혹시 이 문서를 직접 쓰신 것인가요? 번역을 했다면 어떤 문서를 번역했는지, 참고를 하셨다면 어떤 문서를 참고했는지 일러주셨으면 합니다. 답변을 해주시지 않으면, 해당 문서는 출처가 불명확하여 임의로 삭제될 수 있으니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삭제 후 늦게라도 답변해 주시면 되돌릴 수 있습니다). --정안영민 2006년 7월 28일 (금) 00:36 (KST)답변

다마스커스 강철 답변[편집]

참고 문서는 본문에 인용되어 있는 두가지 문서 입니다. 그외 영문 위키의 동일 항목을 참고하였지만 전체적인 내용작성은 본인의 글입니다. 어떤 내용도 다른 글에서 직접 인용된 부분은 없습니다. 이 항목은 "다마스커스 강철"이라고 되어있지만 금속학 뿐만 아니라 무기의 역사에서도 자주 나오는 내용이므로 "다마스커스 검"이라는 항목으로 무기 관련 카테고리에서 이 문서로 연결되도록 하면 좋겠습니다. --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SimCutie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갑자기 알찬 내용의 문서가 하늘에서 떨어져 놀랐는데, 직접 수고해 주신 문서였군요. :) 다시 한 번 기여에 감사드리고, 잘 읽어보겠습니다! --정안영민 2006년 7월 28일 (금) 13:49 (KST)답변
넘겨주기에 관해서는 다마스커스 검이라는 제목으로 글을 만든 뒤, 글 내용을 "#REDIRECT [[다마스커스 강철]]" 과 같이 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토론등에 글을 남기신 후에는 ~~~~를 넣어주시면, 서명 및 글 작성 시간이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 Wikier 2006년 7월 28일 (금) 12:54 (KST)답변

그림:CivIVboxshot.jpg[편집]

이 그림의 저작권은 게임 개발사에 있습니다. -- ChongDae 2006년 9월 29일 (금) 10:02 (KST)답변

영문 위키페디아 동일 항목에서 퍼온것이고 영문 저작권 정보를 보면 게임소개를 위한 저해상도 그림 사용은 "공정한 사용"에 해당된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쁜심 2006년 9월 29일 (금) 10:18 (KST)답변

공정 사용은 대한민국 저작권법에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효리♪ (H.L.LEE) 2006년 9월 29일 (금) 10:32 (KST)답변

파이썬 로고 라이선스[편집]

파이썬이 프리 소프트웨어인 것이 파이썬 로고가 퍼블릭도메인인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예컨데 위키백과의 내용은 GFDL이나, 위키백과의 로고는 위키미디어 재단이 배타적 저작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로고나 문서에 관한 라이선스를 확인해주세요. -- ChongDae 2006년 10월 4일 (수) 07:56 (KST)답변

그 로고 자체는 어떤 단체나 파이썬의 언어의 로고가 아닙니다. 순수하게 그 프로그램의 임플리멘테이션에 종속된 로고입니다. 파이썬의 다른 임플리멘테이션 (예컨데 Jpython 등)은 이와 다른 로고를 사용할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 프로그램 고유의 아이콘이며 그 저작권도 그 프로그램의 저작권과 동일합니다. --이쁜심 2006년 10월 4일 (수) 08:03 (KST)답변

그렇게 확신하기도 힘듭니다. 예를 들어서 파이썬 2.5부터는 파이썬 웹사이트 바뀐 것에 맞춰서 아이콘이 바뀐 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en:Image:Python-logo.png는 여전히 자유로운 라이선스로 배포되지 않습니다. (commons:Image:Python-logo.png는 실수인 듯) 무엇보다 파이썬 로고 페이지에 따르면 로고를 변경해서 사용할 때 알려 달라는 얘기가 있는데 GFDL과 전혀 맞지 않네요.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10월 4일 (수) 12:44 (KST)답변

그건 로고의 동일성 유지를 위한 조치이지 로고의 상업적 이용을 금지하는 것이 아니지요. 제가 상업용 유료 파이썬 인터프리터 를 만들어서 위의 파이썬 로고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가져다 쓴다고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지요. 다만 동일성을 유지하기위해 즉 비슷하지만 조금씩 다른 여러가지 이미지가 난립 하는 걸 방지하려는 차원의 것이지 이용방법을 제한하는 조치는 아닌것으로 생각됩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SimCutie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만약 저 파이썬 로고를 변경해서 상업적으로 쓴다면 어떻게 되나요? GFDL과 호환되려면 이것도 가능해야 합니다. (다만 변경된 저작물 역시 GFDL로 배포되어야 함) 그래서 현실적으로 로고가 GFDL로 배포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10월 4일 (수) 13:28 (KST)답변

엄밀하게 말해서 내가 그 로고를 조금 변경해서 상업적 용도로 쓴다고 해도 그사실을 그 싸이트에 통고하는 것으로 의무는 다하는 겁니다. 파이썬 측은 통고을 받는 것으로 저에게 아무것도 요구 할수 없습니다. 즉 그걸 파이썬 측에서 저작권 위반이라고 걸고 넘어갈 근거는 없지요. 그러니 그걸 자유로운 이용의 제한이라고 보는 것은 자의적 해석에 불과 합니다. -- 이쁜심 2006년 10월 4일 (목) 16:22 (KST)답변

경고[편집]

공정사용의 그림을 올리지 마세요. 더 이상 계속하면 차단될 수 있습니다.--효리♪ (H.L.LEE) 2006년 10월 4일 (수) 10:59 (KST)답변

공정사용이 아닙니다. 저작권의 소유자인 게임 발행사가 팬사이트 키트의 내용으로 공식적으로 명시적으로 사용을 허가한 사진입니다. -- 이쁜심 2006년 10월 4일 (수) 11:02 (KST)답변

'출처 링크'를 표기해주세요. 지금 그게 빠져있네요. -- 파란로봇군 (토론) 2006년 10월 4일 (수) 11:26 (KST)답변

출처를 표기했습니다. -- 이쁜심 2006년 10월 4일 (수) 11:33 (KST)답변

civ4FansiteKit의 note 파일을 보니 어디에도 "어떠한 용도로도" 사용을 허가했다는 내용을 찾을 수 없습니다. 팬 사이트 용이란 것은 결국 비 상업적 용도에 국한되서 사용을 허가한 것인데,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이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상업적 용도이건 비 상업적 용도이건 모두 사용할 수 있어야(퍼블릭 도메인, GFDL, CC (일부), 저작권자가 모든 사용을 허락한 경우)만 합니다. --Hnc197 2006년 10월 4일 (수) 11:43 (KST)답변

이 이미지는 상업적 사이트 예컨데 게임판매 싸이트 에서도 사용할수 있는 이미지입니다. 광고로 수입을 올리는 게임 정보 전문 웹사이트 (예를 들어 gamespy.com 따위) 에서도 사용하고요. 팬사이트 키트를 비상업적 용도로만 써야한다는 문구는 없습니다. 상업 싸이트용으로 따로 배포하는 경우는 게임 배급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쁜심 2006년 10월 4일 (수) 11:52 (KST)답변

이것이 사용이 제한된 이미지라면 어떻게 이미지를 사용하면 저작권 위반이 되는지 설명이나 예를 들어주시기 바랍니다. -- 이쁜심 2006년 10월 4일 (수) 13:18 (KST)답변

제가 알기로는 게임스파이 같은 게임 사이트에는 제작사가 배포한 '홍보 자료'를 사용합니다. 저거와는 관련이 없죠. 저 '팬사이트용' 자료들은 분명히 '비영리적'용이 틀림없을 것 같은데요. 제작사에 문의해보셨나요? -- 파란로봇군 (토론) 2006년 10월 4일 (수) 13:25 (KST)답변

게임스파이같이 유명 싸이트에는 2K Games 가 직접 보내줄수도 있겠지만 전세계에 수백 수천 개도 넘는 게임 정보사이트/ 게임 판매 싸이트 다 그렇게 따로 프레스킷을 주나요? 그래서 게임 판매 싸이트에도 프레스킷을 사용하나요? 아니면 따로 판매자용 키트가 따로 있어서 그걸 수 천 개의 게임판매 싸이트에 보내주는 건가요?
더구나 저 게임에 따로 프레스킷이 따로 배포되었다는 아무런 증거도 없고요. 설사 프래스 킷을 보내주었다 하더라도 프레스킷에 배포되는 내용은 팬싸이트 파일과 동일한 파일 + 보도문 뿐입니다. 다만 웹싸이트에 공개 하기전에 조금 일찍 보내줄 따름이지.. -- 이쁜심 2006년 10월 4일 (수) 13:39 (KST)답변

제작사가 '직접' 전세계 사이트로 보내주는 것이 아니라 상업 사이트에서 '요청'하고 제작사가 확인해서 보내주는 것이 아닌가요? -- 파란로봇군 (토론) 2006년 10월 4일 (수) 13:43 (KST)답변

2K Games 웹싸이트에 내가 downlaod 링크를 눌러 HTTP GET 요구를 하는 것으로 나도 2K Games 에게 파일을 보내줄것을 요구 한 행위이며 2K Games 웹싸이트는 나의 요구를 거절하지않고 밴리스트나 기타 확인을 한후 파일을 보내주었습니다. 그게 상업싸이트의 요구와 무엇이 다른 지요? smtp 는 되고 http 나 ftp 는 안된는 건가요? -- 이쁜심 2006년 10월 4일 (수) 13:55 (KST)답변

그래서 이걸 나중에 누군가 변경해서 상업적 용도로 이용해도 '통고'하면 끝이라는 건가요? 그것 자체가 GFDL 위반입니다. -- 파란로봇군 (토론) 2006년 10월 4일 (수) 13:59 (KST)답변

아뇨. 팬사이트 키트는 그런 통고조차 필요 없습니다. 팬싸이트 키트내의 내용은 그걸로 장사를 하던 변경을 하든 아무런 제한이 주어져 있지 않습니다. 게임 판매 사이트 같은 게임팔아 돈버는 데서 그걸 자료들을 편집해서 올려놔도 아무런 제한이 없습니다. 이미지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그 이미지들 아무런 (c)Copyright 표시가 없습니다. 뭘 더 바라십니까? -- 이쁜심 2006년 10월 4일 (수) 14:06 (KST)답변

이어지는 토론은 다음의 토론에서 계속됩니다. 위키백과:삭제 토론/그림:Civ4 Cover.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