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토론:Yes0song/2007년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6년 전 (정안영민님) - 주제: 대륙사관

사용자:Yes0song/다지모/한자 혼용판 도입

정리부탁합니다. 너무 오래 문서를 작성하다보니, 기력을 소진해 버렸습니다. -_- --마소리스 2007년 1월 4일 (금) 16:21 (KST)답변

늘 열심히 활동하셔서 고맙습니다. 시간 나는대로, 생각나는대로 정리하겠습니다. ― Yes0song 2007년 1월 4일 (금) 18:56 (KST)답변

언사이클로피디어 새 이름 제안·투표를 받고 있습니다.

현재 아랫방에서 언사이클로피디어의 새 이름 제안·투표를 받고 있으니 꼭 참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에멜무지로 (discusión · contribuciones · información · registro · e-mail) 2007년 1월 7일 (일) 12:25 (KST)답변

한국어 키릴표기판

제가 나중에 건의할 건데 한국어 키릴표기판을 아십니까? --루스 2007년 1월 20일 (일) 17:59 (KST)답변

로표모에서 제안하려는 것 말인가요? 개인적으로 필요성을 잘 모르겠습니다. ― Yes0song 2007년 1월 20일 (일) 18:01 (KST)답변

안녕하세요 :)

유저박스로 공통의 관심사를 찾아보세요!
유저박스는 사용자 간에 관심 분야와 같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고안된 틀입니다.
유저박스를 사용하면 다른 사용자가 공통의 관심사 등을 파악하기 쉽게 하여, 사용자 간의 공동 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목록 중에서 마음에 드는 유저박스를 골라 사용자 페이지에 붙여 보세요!
  바벨 방언 문자 문법 기타언어 프로그래밍   교육 건강 생활 지역 성향 시간 띠/별자리 출생 병역 직업   정치 정당 국제 신념 과학 종교
  교통 서적 방송 영화 만화/애니메이션 컴퓨터 음식 음료 게임 패션 음악 동물 스포츠 기타흥미   위키백과 언어별 기여 위키프로젝트 유저박스 사용자   유머 계절

늦었습니다만,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그간 정리해 두지 않고 있던 걸 정리하고 다소 손 보았습니다. 한번 확인해 보세요 :)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1월 21일 (일) 14:06 (KST)답변

답변 늦었습니다. 유저박스들을 좀 제 사용자 페이지에 추가했습니다 :) ― Yes0song 2007년 1월 23일 (수) 22:45 (KST)답변

그리스 문자 Χ를 로마자 X로 전사하는 경우

토론:그리스 문자 Χ를 로마자 X로 전사하는 경우#합병 제안으로 옮김. ― Yes0song 2007년 1월 28일 (월) 16:08 (KST)답변

의견 요청

사용자토론:Yes0song/다지모#정규화 알고리즘과 두음법칙위키백과:넘겨주기 문서/넘겨주기 수정안에 의견 주셨으면 합니다. --마소리스 2007년 2월 4일 (일) 01:09 (KST)답변

의견 썼습니다. ― Yes0song 2007년 2월 4일 (일) 09:23 (KST)답변

데이터베이스 완성

한자판 구현을 위한 기본적인 데이터베이스를 완성하였습니다. 제가 작성한 데이터베이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니코드 정규화 알고리즘과 호환되는 형태의 데이터베이스이기 때문에, 두음법칙은 예외 처리 목록을 통해 처리하고 있습니다. 어느정도 성능을 보일지는, 시험용 위키백과를 만들어 적용시켜봐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마소리스 2007년 2월 6일 (화) 03:38 (KST)답변

수고하셨습니다. ― Yes0song 2007년 2월 6일 (화) 13:04 (KST)답변

나중에 제가 다지모에 키릴판을 건의해도 괜찮겠습니까?

제가 키릴판을 다지모에 나중에 건의할려고 하는데, 괜찮겠습니까? --루스 2007년 2월 6일 (수) 16:44 (KST)답변

'건의'야 누구나 무엇이든지 할 수 있지만 솔직히 개인적으로 키릴판 만들자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 Yes0song 2007년 2월 6일 (수) 17:04 (KST)답변
아, 이유를 모르세요? 그러면 제가 이해되게 설명해 드릴게요. 일단 오늘 토론은 이것으로 마칠게요. 수고하셨습니다. --루스 2007년 2월 6일 (수) 17:05 (KST)답변

정규화 알고리즘 문제

사용자토론:Yes0song/다지모#정규화 알고리즘과 두음법칙에 글 남겼습니다. 제 생각에는 정규화 알고리즘과 호환되는 한자 변환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으니, 굳이 정규화 알고리즘을 해제 하지 않고, 한자판을 구현하는 것은 어떨까 생각합니다. 제 생각에는 정규화 알고리즘을 해제 하는 것이, 호환성 문제로 인해 관리하기가 더욱 어려울 것 같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2월 8일 (목) 02:04 (KST)답변

읽어봤습니다. 더 생각해 봐야겠네요. ― Yes0song 2007년 2월 8일 (목) 13:53 (KST)답변

제가 나중에 참고해도 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제 작업장에 사용자:Russ/작업장/중국조선말을 만들었는데, 나중에 연변말 페이지를 만들 때 참고했으면 좋겠습니다. --루스 2007년 2월 9일 (토) 22:12 (KST)답변

감사합니다. ― Yes0song 2007년 2월 9일 (토) 22:54 (KST)답변

시험용 위키백과 만들어 주실 수 있으신가요?

한자판을 도입하던, 뭘 하던 다지모에서 하고자하는 것을 하려면, 시험용 위키백과가 필요합니다. 혹시, Yes0song님께서 미디어위키韓思迹을 만드신적이 있으니, 다지모에서 사용할 시험용 위키도 만들어 주실 수 있으신지요? --마소리스 2007년 2월 10일 (토) 00:59 (KST)답변

위키미디어 인큐베이터는 안 이용하시구요? (韓思迹은 아직도 개판인 부분이 많습니다 ㅠㅠ) ― Yes0song 2007년 2월 10일 (토) 01:03 (KST)답변
중국어 위키백과처럼 자동변환을 구현하려면, 별도의 위키백과가 필요하잖아요. 구현 방법은 meta:Automatic conversion between simplified and traditional Chinese#Implementing similar conversion system for other languages에 나와있어요. 한자판을 만들려면 한자>한글 변환용 데이터 베이스를 수집하고 보강해야하는데, 시험용 위키백과를 만들어서 하는것이 최상의 방법인것 같아서요. --마소리스 2007년 2월 10일 (토) 02:03 (KST)답변
글쎄요 저도 설치해 보고 싶지만 지금 시험삼아 깔아본 한사적 위키도 엉망인 데가 많아서 계속 고치느라 고생하고 있습니다. 다른 곳을 알아보는 게 나을 것 같네요. 죄송합니다. ― Yes0song 2007년 2월 10일 (일) 17:22 (KST)답변

인큐베이터에 있던 한자 혼용 자료를 변환해 보았습니다.

이 정도면 괜찮지 않나요? --마소리스 2007년 2월 14일 (수) 13:11 (KST)답변

괜찮은 것 같네요. :) ― Yes0song 2007년 2월 14일 (수) 13:45 (KST)답변

한오백년이 재가동에 들어갑니다.

안녕하세요. 한오백년의 관리자 Ellif입니다. 이번에 Yes0song님의 제안으로 한오백년이 재가동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지금까지 한오백년이 어떠한 단체인지에 대한 인식이 없었고, 정체성이 모호하다는 점을 인식하면서, 여러분들과 다시 한 번 한오백년의 정체성과 Manifesto에 대해 정리하는 시간을 마련해 보고자 하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이 글을 보는 회원 여러분들께서는 1) 어디에서 살고 계시는지와 2) 수도권 지역에서 오프를 한다면 참여가 가능하신지, 3) 모임이 가능한 일자 (19일, 26일 주간, 평일에 한함)등을 답신해 주셨으면 합니다. 또한 아직도 KAIS 정책이 인준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투표를 하시지 않으신 여러분들께서는 여기의 투표에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한오백년에게 바라는 점이 있으시다면 한오백년 토론이나 정책을 통해 의견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매일 체크하고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Ellif 2007년 2월 16일 (금) 01:42 (KST)답변
p.s 다시 한 번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집 데스크톱 리눅스에 미디어 위키를 설치했는데.

접속 가능합니다. 폰트 크기 문제는 MediaWiki:Common.css를 위키백과와 똑같이 해서 11pt로 맞췄습니다. ― Yes0song 2007년 2월 17일 (토) 12:03 (KST)답변
위키백과 MediaWiki:Common.css를 그대로 복사 붙여 넣기 했는데, 적용이 안되네요. 제 미디어위키에 한자를 한글로 변환하는 것 까지 구현하였는데, 더 수정 해야 할 것이 있을까요? --마소리스 2007년 2월 17일 (토) 12:13 (KST)답변
파이어폭스라면 Shift+새로고침을 해야 적용이 될 겁니다. 저도 바로 적용이 안 된 것으로 표시되더군요. ― Yes0song 2007년 2월 17일 (토) 12:16 (KST)답변
당장 적용이 안 된다면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에 보면 바뀌어 있을 겁니다. 근데 마소리스 님의 위키를 사랑방에 소개해도 될까요? ― Yes0song 2007년 2월 17일 (토) 12:20 (KST)답변
물론 사랑방에 제 위키를 소개하셔도 무관합니다. 하지만, 데스크톱에 설치한 위키라서, 24시간 켜 두는 것도 아니고 IP까지 유동이라서, 좀 그렇네요. 아무래도 제 위키로 이동하는 링크는 다지모 페이지 내에 놓아두는 것이 더 관리하기 좋을 것 같습니다. IP가 바뀔 때 마다 제가 수정하도록 하죠. --마소리스 2007년 2월 17일 (토) 12:25 (KST)답변
알겠습니다. 그럼 사랑방에는 아직 이야기하지 않겠습니다. 위키 설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Yes0song 2007년 2월 17일 (토) 12:30 (KST)답변
유동 IP이긴 하지만, 한 동안은 IP가 바뀔 가능성은 별로 없고, 사랑방에 소개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사랑방에서 어떤 의견이 나올지 궁금하기도 하고요. --마소리스 2007년 2월 17일 (토) 12:55 (KST)답변
사랑방에 글을 올렸습니다. ― Yes0song 2007년 2월 17일 (토) 13:52 (KST)답변

사용자:IRTC1015/위키프로젝트 철도

현재 준비중입니다. 관심이 있으시다면 준비에 동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I110 桂陽 / IRTC1015() 2007년 2월 20일 (수) 21:49 (KST)답변

알겠습니다. :) ― Yes0song 2007년 2월 20일 (수) 21:52 (KST)답변

위키백과:번역 요청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의 위키백과:번역 요청 항목은 단순한 번역 의뢰 문서 목록으로 정리가 제대로 정리되어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여기 에서 위키백과:번역 요청과 관련된 토의를 시작합니다. 의견란에 의견 남겨 주세요:) -- THEOTERYI     2007년 2월 22일 (금) 16:23 (KST)답변

알겠습니다. ― Yes0song 2007년 2월 22일 (금) 18:32 (KST)답변

나중에 사용자:Russ/작업장/문화어를 만들려고 합니다.

나중에 제가 사용자:Russ/작업장/문화어를 만들어서, 사용자:Russ/작업장/중국조선말과 마찬가지로 수집할려고 합니다. 제가 지금 문화어와 중국조선말을 수집하고 있어요. 다지모를 위해서라면 수집도 마다하지 말아야 해요. 그래서 제가 문화어를 공부하는 동시에 수집을 많이 하고 있어요. 나중에 문화어 페이지를 만들 때, 제 것을 검토했으면 좋겠습니다. --루스 2007년 2월 23일 (금) 12:48 (KST)답변

고맙습니다. ― Yes0song 2007년 2월 23일 (토) 16:07 (KST)답변

제주어 위키백과에 대해

거론된 문서: 사용자:Yes0song/생각#제주어 위키백과?

제주어 위키백과를 만드신다고 했는데, 그런 것보단 제주어판을 만들어서 하는 게 나을 듯 싶습니다. --루스 2007년 2월 26일 (화) 22:33 (KST)답변

한국어판 내부에서 제주방언을 지원하자는 건가요? 솔직히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있을 것 같은데요. ― Yes0song 2007년 2월 26일 (화) 22:47 (KST)답변
그래도 그것보단 나을 듯 싶습니다. 전 제주방언을 한국어 위키에서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대신에 기술적인 문제가 있는 경우엔 그 문제를 해결하면 됩니다. --루스 2007년 2월 26일 (화) 22:54 (KST)답변

그렇다면 최종적으로 한국어판 위키백과는

  1. 표준어(한글)
  2. 문화어(한글)
  3. 연변말(한글)
  4. 고려말(한글)
  5. 고려말(키릴)
  6. 제주말(한글, 첫가끝)
  7. 제주말(한글, 한양PUA)
  8. 한자 혼용

최대 여덟 모드가 지원될지도 모르겠네요. @_@ ― Yes0song 2007년 2월 26일 (화) 23:25 (KST)답변

음... 듣고보니 여덟 코드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일단 제주말은 좀 더 논의를 시작한 뒤에 결정하는 것이 나을 듯 싶습니다. 아무래도 좀 더 논의를 해야 할 것 같아요. --루스 2007년 2월 26일 (화) 23:28 (KST)답변

미디어위키에서 인터위키 설정?

1월 사랑방 글을 보았습니다. 제가 설명한게 어렵게 되어 있나보네요, 인터위키 설정은 무지 간단합니다. 즉, 위키백과에 쓰이는 인터위키 설정 파일이 미디어위키 설치파일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걸 복사 붙여넣기 해버리면, 바로 설정이 완료된답니다~^^ php마이어드민 그거 편한데, 그거보다 더 편하게 되어 있어요...그냥, 복사, 붙여넣기! 이걸로 끝!! ^^ 혹시 telnet 접속이 안되는 것인가요? 이런...ㅜㅜ 그럼 저도 잘 모르겠군요. -- 멀뚱이 (토론기여카운터로그e-Mail) 2007년 2월 28일 (목) 18:31 (KST)답변

예, 텔넷이 안 됩니다. ― Yes0song 2007년 2월 28일 (목) 18:38 (KST)답변
phpmyadmin 여기에 음...텍스트로 명령넣는 입력란이 있는 걸로 압니다. 거기 넣어도 안되나요? -- 멀뚱이 (토론기여카운터로그e-Mail) 2007년 3월 1일 (목) 10:43 (KST)답변

http://www.toolblast.com/showthread.php?t=1653

http://www.sir.co.kr/manual/youngcart4/?man=phpmyadmin.htm 여기에 설명이 있군요.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약어입니다. 구조화 질의어(쿼리)를 활용하여 편하게 탐색, 입력, 수정, 삭제등을 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파일을 읽어서 테이블에 데이터 삽입"이란 많은수의 쿼리가 있는 텍스트파일을 사용하여 한꺼번에 쿼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입니다.

이 글이 있는 곳을 찾아서, 그 그림을 보세요. 텍스트 SQL 명령(쿼리) 입력이 된답니다. 아예 파일을 불러오기해서 바로 실행하는 방법도 있군요. ^^ -- 멀뚱이 (토론기여카운터로그e-Mail) 2007년 3월 1일 (목) 10:56 (KST)답변

저기 근데... 이미 그 문제는 해결됐어요. ― Yes0song 2007년 3월 1일 (목) 13:23 (KST)답변

Yes0song님이 만든 유저박스에 관한 질문입니다

Yes0song님, 유저박스를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당신이 만든 유저박스에 문제가 있습니다.

아래 유저박스를 좀 보세요.

(삭제) (삭제) (삭제)
(삭제)1 (삭제) (삭제)
1. 해당 틀(template)은 그 유저박스를 포함(inclusion)시키는 문서에 자동으로 분류(category)를 추가합니다. 이한결 님이 처음에 이 토론 글을 작성할 당시에 이 틀을 포함시켰으나, 그 결과 본 토론 문서가 부적절한 분류에 위치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 분류를 제거하기 위해 제가 링크로 대체합니다. Yes0song 2007년 6월 28일 (목) 20:14 (KST)답변

유저박스는 사용자들과 관계있는 내용이 있는 것들을 많은 사용자들의 페이지에 쓰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이 유저박스들을 한번 보십시오.

먼저, (삭제) 유저박스입니다. 이 유저박스는 많이 쓰려면 생존하는 (삭제) 사람들이 다 위키백과에 가입하여야겠네요. 그건 불가능합니다. 또, (삭제) 유저박스는 많이 쓰려면 (삭제)에 사는 사람들이 다 위키백과에 가입하여야겠네요. 다른 유저박스((삭제) 유저박스, (삭제) 유저박스, (삭제) 출생(이 유저박스들은 상당히 많이 쓸 것 같지만, 쓰는 사람들이 5명을 넘지 못할 것 같은데요...), (삭제) 유저박스)들도 마찬가지구요.

Yes0song님, 유저박스를 만드시는 건 좋은데, 제발 유저박스를 만드는 자신과만 관계가 있거나, 별로 쓰이지 않을 것 같은 유저박스는 제발 만들지 마세요. 자신과만 관계가 있는 유저박스는 {{Template:Userbox}}를 이용해주세요.

그리고, 다른 유저박스하고 관련된 질문입니다.

아래 유저박스들을 보세요.


이 사용자는 영국아일랜드에 관심이 많습니다.
이 사용자는 대한민국 국민입니다.
韓 민족 이 사용자는 한민족입니다.
黃人 이 사용자는 황인입니다.
이 사용자는 남성입니다.

UNI-C

이 사용자는 우니쉬관심이 있습니다.
Revive
Unish!
이 사용자는 우니쉬의 부활을 소망합니다.
AEOU
HTNS
이 사용자는 언젠가 드보락 자판을 익히고 싶습니다.
2벌식
3최종390
이 사용자는 한글 두벌식세벌식 최종/390 자판을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유저박스들은 관련된 것이 많으므로, 이와 관련된 유저박스들을 더 만드시는 게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영국아일랜드 유저박스는 다른 나라 유저박스도 만드시는게, 그리고, 대한민국 국민 유저박스는 다른 나라 국민 유저박스도, 한민족 유저박스는 다른 민족 유저박스도, 황인족 유저박스는 다른 인종 유저박스도, 남성 유저박스는 여성 유저박스도, 우니시 관심 유저박스는 우니시와 관련된 다른 언어 유저박스도, 우니시부활도 우니시와 관련된 다른 언어 부활 소망 유저박스도, 드보락희망도 쿼티 희망, 2벌식, 3벌식 등 자판 희망 유저박스도, 마지막으로 두세벌 유저박스 모두 익히기 소망 유저박스는 영어 자판 모두 익히기 소망 유저박스도 만드시는게 어떨까요?

이렇게, 유저박스 만들 때에는 신중하게 생각하시고 만드셔야 합니다. 개인적인 것은 틀 유저박스로, 다른 것과 관련된 유저박스(예 : 황인 유저박스)들은 그와 관련된 유저박스를 더 만들어 주세요. -- 이한결 2007년 3월 2일 (금) 18:09 (KST)답변

유저박스 일일이 다 만들 시간 없습니다. 알아서 하세요. ― Yes0song 2007년 3월 2일 (토) 18:16 (KST)답변
유저박스에 대해 관여된 사람 중 한 사람으로서 지나가면서 한 말씀 올리고자 합니다.
우선 이한결님께서 말씀하신 내용의 요지는 "지나치게 지엽적인 내용에 해당하는 유저박스는 만들지 않는 것이 좋다"인 것 같습니다만, 이한결님께서 말씀하신 바가 틀린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지나치게 지엽적인 내용에 해당하는 유저박스를 만들지 말라"는 강제사항 인 것은 아닙니다.
더군다나 "[삭제] 유저박스 등이 많이 쓰일려면 [삭제]가 다 가입해야 한다"와 같은 주장은 결국 "[삭제] 유저박스를 사용할 사용자가 거의 없으니 만들 필요가 없다"는 가정을 전제하고 있습니다만, 만일 그러한 전제가 유효하다면, 대부분의 바벨 틀은 삭제 처리 대상일 것입니다. (그 중에는 1명도 사용하지 않는 바벨틀이 그렇지 않은 바벨 틀보다 훨씬 많습니다.)
유저박스의 제작여부는 "여러 사람이 활용할 수 있는 활동 가능성"에 달린 것이지 실제로 많이 사용하느냐 또는 많이 사용되리라고 예상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기 힘들며 더구나 이에 따라 누구의 유저박스를 만들고 말고를 강제할 사항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더욱이 마지막에 "그러한 유저박스를 만들지 말고 더 많이 쓰는 유저박스를 만들라"는 말을 남기셨습니다만, 유저박스를 만들고 말고는 위키백과의 참여가 각 사용자의 강제 의무사항이 아니듯," 더 많이 쓰는 유저박스를 만드는 것도 사용자의 강제 사항이 아닙니다. 마치 널리 다수가 사용되는 유저박스를 만들어야 하는 것은 미덕이지, 그렇지 않다고 해서 비난 받거나 지시받을만한 사항이 아닙니다. (사용자:Cppig1995님의 유저박스들처럼 말입니다. :)
마지막으로 개인적으로는 유저박스의 내용보다 특정 사용자들의 지나치게 현란하고 보색을 고려치 않은 눈에 띄는 형태의 유저박스가 더 거를렸습니다.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3월 2일 (토) 21:47 (KST)답변

미디어위키에 SVG?

문의하신 거 답이 여기에 있는데, 저도 아직 성공하지 못했답니다. 성공하시면 좀 알려주세요.

사용자:멀뚱이/미디어위키#SVG 파일 업로드 가능하게 하기

-- 멀뚱이 (토론기여카운터로그e-Mail) 2007년 3월 4일 (일) 00:08 (KST)답변

위 링크 가보세요...저, 성공했습니다...ㅎㅎ -- 멀뚱이 (토론기여카운터로그e-Mail) 2007년 3월 6일 (화) 10:42 (KST)답변

제가 사용자:Russ/작업장/문화어를 만들었습니다.

제가 대학에 다니는 관계로 주말에만 활동할 예정입니다. 그래서 지금 제가 이걸 만들었습니다. 나중에 검토했으면 좋겠습니다. --211.42.39.211 2007년 3월 10일 (토) 10:01 (KST)답변

우니쉬 자료

안녕하세요. 우연히 페이지를 둘러 보았는데, 비슷한 관심사가 있어서 흥미로웠습니다. 우니쉬에 관해서는 제가 텍스트 문서로 된 간략한 문법사항(우니쉬 항목에 편집중이던 것)과 약 8000 단어정도의 엑셀로 된 우니쉬-한국어 사전을 언젠가 백업해 두었습니다만, 필요하시다면 가져다 쓰시지요. 그리고 유저박스를 보니까 구결-2로 되어 있던데 구결문자는 가타카나나 주음부호같이 잘 정리된 음절표가 없어서 현대문을 표기하는데는 꽤 사용하기 어렵더군요. 자체도 중복자가 많고. 그리고 창작한자도 만드시던데 괜찮으시다면 좀 작품을 보여주시지요. 저도 창작한자를 만듭니다. Noropdoropi 2007년 4월 10일 (수) 23:44 (KST)답변

우니시를 익히고 있다면 모르겠습니다만 그런 건 아니라서 백업해두신 사전이 필요할 것 같진 않습니다 :)
한국어에서 한자를 빌려 표음문자로 쓰는 시도는 실패한 것이나 마찬가지여서, 구결을 현대문으로 쓰는 건 불가능한 것 같습니다. 표기 못하는 음절들이 많기 때문이죠. 저는 구결을 한문학자들이 현토(懸吐)할 때 사용하는 정도로만 압니다.
창작 한자는 제 위키에서 조금씩 올릴 예정인데 언제 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 Yes0song 2007년 4월 11일 (목) 21:58 (KST)답변
별로 중요하지 않아서 새로운 토픽으로는 하지않았지만... 저는 님이 위키백과에서 국제적으로 알려저 있는것을 알아 차린지(notice) 별로 않됩니다. 저는 님을 존경합니다. 전 세계에 님 같은 국제위키백과인은 아주 적 (petit)습니다. [Je respecte vous]. 저도 국제위키백과인협회에 참여를 할겄입니다. (그리고 저의 한국어는 서툴읍니다). Merci beaucoup monsieur, Quod vous, c'est possible pour moi a contribute perum (le latin) la wikipedia de l'interlational! Orthodoxy

외래어 표기

토론이라기보다 요청입니다.

  • 프랑스 왕 이름에 "필리프"를 "필립"이라고 한 곳이 많습니다. 고쳐주셨으면 합니다. 이게 제가 착오를 했는데("필립"이 옳은 줄로 알고 있었거든요.) 고쳐주셔서 고맙습니다. --Knight2000 2007년 5월 4일 (토) 19:13 (KST)답변
헉 어떻게 일일이 찾아 고치죠? 영어일 경우 필립이 맞으니 무조건 다 바꿀 수도 없는 노릇이고요. ― Yes0song 2007년 5월 4일 (토) 19:14 (KST)답변
프랑스어 표기가 달린 사람은 대개 프랑스인이겠죠. 그리고 프랑스 왕은 당연히 "필리프"가 맞을 테고요. 참고로 "한국브리태니커백과사전"(또는 다음 백과사전)은 프랑스 사람을 "필리프"로 표기하고 있네요. 조금씩 함께 고쳐나가 보죠. 옆에 "찾기"에서 "필립"일고 넣은 다음 "찾기"를 꾹 눌러주면 어느 정도는 찾을 수 있습니다. --Knight2000 2007년 5월 4일 (토) 19:18 (KST)답변

공정 사용 투표 건에 대해

찬성을 하시고 추가적인 세부 정책이나 라이센스 틀을 같이 만드시는게 낫지 않을까요? 님이 한 표 찬성해주면 큰 도움이 될 거 같은데, 아쉽습니다. 언제 공정 사용이 될려는지... -- 멀뚱이 (토론기여카운터로그e-Mail) 2007년 5월 18일 (토) 19:32 (KST)답변

한자 혼용 위키백과

사용자토론:Yes0song/다지모#한자 혼용 위키백과에 의견 남겨주세요. --마소리스 2007년 5월 20일 (월) 21:41 (KST)답변

메타에 한자혼용 위키백과의 코드명과 공식명칭에 관한 의견도 올려 두었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5월 23일 (목) 20:39 (KST)답변
LERK님과 Ellif님이 동의하셨으니, 이제 Yes0song님만 동의해주신다면 한자혼용 위키백과를 별도로 만들는 것을 다지모 공식 의견에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5월 24일 (금) 22:22 (KST)답변

사용자토론:Yes0song/다지모#한자혼용 위키백과 영문이름 투표에서 한자혼용 위키백과의 영문이름 투표가 있습니다. 투표에 참여해 주세요. --마소리스 2007년 6월 5일 (화) 05:28 (KST)답변

투표가 진행이 안되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마소리스 2007년 6월 12일 (수) 16:21 (KST)답변
아, 진짜 어쩌죠? -_-;; ― Yes0song 2007년 6월 12일 (수) 17:42 (KST)답변
투표가 진행되지 않아 새로운 방식으로 재투표를 하고 있습니다. 투표에 참여해 주세요. --마소리스 2007년 6월 12일 (수) 18:10 (KST)답변
다지모에 한자혼용 위키백과를 만들어야하는 이유에 대해 영어로 적어보았습니다. 이 것을 메타에 적으면 어떨까 합니다. --마소리스 2007년 6월 15일 (토) 20:43 (KST)답변

한문(漢文)을 배우려면?

한문(Classical Chinese)를 배우고 싶은데, 책 추천좀 부탁합니다. 의외로 중학교 교과서가 좋을까요? --마소리스 2007년 6월 17일 (일) 03:53 (KST)답변

먼저 제 한문 실력이 높지 않다는 것을 말씀드립니다. 중학교 교과서는 별로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저희 학과 선생님은 《古文眞寶》를 추천해 주셨습니다. 정통 직역 위주인 성백효 선생님의 역본하고, 이름이 기억이 나지 않는데 이해하기 쉽게 의역을 위주로 한 김?? 선생님 역본을 가지고 함께 공부하면 한문 실력이 어느 정도 늘 수 있다고 하시더군요.
그리고 한문 공부할 때 무작정 글 많이 읽고 해석하고 하는 방법을 쓸 수도 있지만, 현대인들에게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옛날에는 어릴 때부터 서당에서 차근차근 배워서 경험적으로 文理를 트는 게 어려운 게 아니었지만, 현대인들은 아무래도 문법 이론책을 참고하면서 해석하는 것이 나을 것 같습니다. 저는 한문 문법 책으로 《漢文解釋講話》(崔相翼 著, 한울아카데미 刊)를 쓰고 있는데요, 지금 이 책이 어디 갔는지 안 보이네요 -_-a; 뭐, 이 책으로 처음부터 한문 문법의 모든 것을 익히려고 하시지 마시고, 고전을 읽다가 해석이 안될 때 참고하는 수준으로 이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저자 최상익 선생님은 성균관대 중문과(학부) 졸업하시고 동대학원, 대만 국립 정치대 대학원 졸업하신 뒤 강원대 한문교육과 교수를 하고 계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중·고교 한문 교과서 몇 권 내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참고로 저 고3 때 저희 반(문과 중 한문 과목 선택한 학생들의 반)에서 썼던 〈漢文古典〉 교과서는 이 분이 집필자로 참여하신 책입니다.
PS: 문법에 대해 말 나온 김에 제가 기초 문형에 대해 위키책에 글을 써볼까 합니다. 고등학교 때 한문 선생님이 저한테 정리해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하면 될 것 같네요. 한문 학습에 앞서서 이 기초 문형을 공부하고 나면 제 경험상 한문 공부에 여러모로 편리한 점이 많습니다. 기초 문형을 공부하고 나면 제가 방금 추천한 문법 책도 잘 이해가 될 것입니다. ― Yes0song 2007년 6월 17일 (일) 05:15 (KST)답변
추천 감사 드립니다. 한문 공부를 하려고 해도, 아직 상용한자도 제대로 외우지 못해서 한자공부부터 먼저 해야 하겠습니다. 한자를 어느정도 외우게 되면 말씀해 주신 책으로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마소리스 2007년 6월 18일 (화) 22:26 (KST)답변

한자 입력기와 데이터

한자 입력기와 한자 데이터 정리에 관하여 연구할 공간이 필요한데, 다지모에 작성하기에는 백:아님에 따라 다른 회원간의 마찰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허가만 해 주신다면, 현재 Yes0song님의 개인 위키로 사용하고 계시는 한사적을 사용하면 어떨까 생각중입니다. --마소리스 2007년 6월 18일 (화) 22:37 (KST)답변

마침 돈 주고 계정을 마련한 한사적을 놀려놓고 있는 것 같아서 찜찜했습니다. 일단은 한사적에서 마소리스 님의 유저스페이스에서 하셔도 좋겠구요, 상황에 따라서는 한사적: 이름공간에 페이지를 만들어서 할 수도 있겠죠. 저도 시간 나면 가끔씩 연구해 볼 생각입니다. --― Yes0song 2007년 6월 18일 (화) 22:47 (KST)답변
감사합니다. 한자입력기연구라는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6월 18일 (화) 22:54 (KST)답변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정리를 해주신 것은 고마운데, 이 역사 드라마 목록은 가나다 순이 아닌, 시대순으로 정리를 하는게 더 좋은 듯 합니다. 曹操孟德(寧我不人毋人不我)2007년 6월 19일 (수) 17:33 (KST)답변

시대순이라는 말은 드라마가 방영된 순서대로 정리해달라는 말씀이신가요? 그러면 제가 그 순서를 모르기 때문에 제가 수정할 수는 없습니다. 그걸 정확히 아시는 분이 해주셔야 할 것입니다. ― Yes0song 2007년 6월 19일 (수) 23:18 (KST)답변
방영된 순서가 아닌, 배경상의 시대 순서를 말하는 겁니다. 이곳이곳을 비교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어떤 순서인지 금방 이해가 빠르실 것입니다. 위키의 원칙은 해당 언어의 사전 순이 원칙이나 예외적인 것이 있을 것으로 압니다. 제가 보기에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은 예외적인 항목으로 생각이 듭니다. 좋은 시간 되시기 바랍니다. ^^; P.S.: 제가 처음 작업을 시작할 때부터 가나다 순을 배제하고 만들었습니다. 曹操孟德(寧我不人毋人不我)2007년 6월 29일 (금) 02:42 (KST)답변

Erik Mongrain

Hello Yes0song, Sorry to disturb you, but could you please write a stub http://ko.wikipedia.org/wiki/Erik_Mongrain - just a few sentences based on http://en.wikipedia.org/wiki/Erik_Mongrain? Just 2-5 sentences would be sufficient enough. Please! --Antaya 2007년 6월 27일 (수) 07:50 (KST)답변

In Korean, Hangul is used and Latin alphabet is not used if possible. 에릭 몽그레인 is the proper transcription. User:Jtm71 made that article. --― Yes0song 2007년 6월 27일 (수) 13:30 (KST)답변

About the new technical solution for Kor. Hanja WP

The message on here was moved to Meta.
여기에 있었던 메시지는 메타로 이동되었습니다.

제가 Yes0song님을 관리자 선거에 올리려 합니다.

Yes0song님이 활동을 열심히 하시고 관리자인 저보다도(저는 학업 땜시 접속 시간이 적음) 더 열정을 보이시는 것 같아 관리자 선거에 이름을 올리려고 합니다. 올려도 괜찮겠습니까? 만약 괜찮다면 7월 1일 아니면 2일 중으로 이름을 올리겠습니다. -- 김종국 (토론 · 기여) 2007년 6월 30일 (토) 12:33 (KST)답변

고맙습니다만 아직 제가 관리자로 활동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일단 사양하겠습니다. ^^; ― Yes0song 2007년 6월 30일 (토) 14:45 (KST)답변

한자혼용 위키백과 제목표기법

인큐베이터에서 한자혼용 위키백과 제목 표기법과 띄어쓰기에 관한 토론을 계속하였으면 합니다. 다른 회원분들께도 이를 알렸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7월 1일 (일) 10:53 (KST)답변

오프라인 모임

위키백과:오프라인 모임/2007년 7월 21일 문서를 따로 만들었습니다. 모임에 대한 의견 및 참가 여부를 알려주세요. -- 2007년 7월 2일 (월) 21:29 (KST)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ChongDae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ISO 15924 관련하여...

인큐베이터 토론을 참고해 주세요. :) 별도로 참가한다는 의사를 밝히지 못했기 때문에 바꾸자고 바로 말하기는 조심스럽네요. --[[토끼군]] 토론/기여 2007년 7월 23일 (월) 00:43 (KST)답변

답변을 사용자토론:토끼군#Re: ISO 15924 관련하여...에 달았습니다. ― Yes0song 2007년 7월 23일 (월) 15:44 (KST)답변

공정 사용 투표

위키백과토론:공정 사용에서 유일하게 찬성표를 던졌다가 취소하신 분이라서 혹시 지금은 찬성 의사표시를 하실 의향이 없으신지 물어봅니다. 공정 사용 찬성 11대 반대 10으로 아슬아슬해서 한 표의 도움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 WonYong (토론기여총편집횟수로그e-Mail) 2007년 8월 12일 (일) 12:40 (KST)답변

남북한

[1] 대신 남한과 북조선 혹은 두 나라의 전체 이름을 적어주는게 어떨까요? -- ChongDae 2007년 8월 22일 (수) 19:06 (KST)답변

그것도 괜찮겠지요. 저는 어느 쪽으로 하든 상관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ChongDae 님이 고치신다면 다시 제가 쓴 대로 되돌리지는 않겠습니다.
PS: 그런데 표기 방침과 별개로 아일랜드(공화국)의 대외 관계를 한국에만 국한해서 서술하는 건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한국어 위키백과는 한국 위키백과가 아니니까요. 앞으로 누군가가 world-wide하게 내용을 보강해 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 Yes0song 2007년 8월 22일 (수) 19:28 (KST)답변

Request for Help

Greetings Yes0song my good friend,

Can you please help me translate these passages into the beautiful and unique Korean language?


"Receiving the Holy Spirit, evidenced by speaking in tongues, is the guarantee of our inheritance of the Kingdom of Heaven".
"Water baptism is the sacrament for the remission of sins and for regeneration. The baptism takes place in natural living water, such as the river, sea, or spring. The Baptist, whom had already received baptism of water and the Holy Spirit, conducts the baptism in the name of the Lord Jesus Christ. And the person receiving the baptism should be completely immersed in water with head bowed and face downward".
"The Church, established by our Lord Jesus Christ, through the Holy Spirit during the time of the 'latter rain', is the restored true church of the Apostolic time".


Your help would be Gratefully Appreciated; (just try your best effort). --Jose77 2007년 9월 21일 (금) 06:11 (KST)답변

For my first reply, see en:User talk:Jose77#Re: Your request for help. ― Yes0song 2007년 9월 21일 (금) 13:18 (KST)답변
Yes, those passages are part of the ten basic beliefs of True Jesus Church (참예수교회). I think there is a Korean version on their website, but I cannot read Korean therefore I am unable to find it myself.
Here is a list of Korean TJC websites where it may exist:
--Jose77 2007년 9월 21일 (금) 14:18 (KST)답변
For my second reply, see en:User talk:Jose77#Re: Your request for help. ― Yes0song 2007년 9월 22일 (토) 00:44 (KST)답변

한자혼용 위키백과

아시다시피, 제가 9월 3일 언어분과위원회에 한자혼용 위키백과에 관한 명확한 답변을 해 달라고 요청을 하였으나, 아직까지 답변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상황대로라면 한자혼용 위키백과가 만들어 질 수 있을지 여부조차도 확신할 수 없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마소리스 2007년 9월 22일 (토) 19:45 (KST)답변

의외로 한 언어의 방언 또는 다른 표기법임에도 불구하고, 재단이 별개의 위키를 개설하는 것을 허가한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현재 개설된 위키백과들 중에서 그런 예가 얼마나 있는지 조사해 본 다음에, 분과위에 재차 요구해 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 Yes0song 2007년 9월 22일 (토) 21:40 (KST)답변
9월 3일에 글을 적은 이후에도 한자혼용과 관련하여 저에게 답변을 준 관리자 몇 분에게 서너차례 토론이 어떻게 진행중인가 알려달라고 요청하였으나, 모두 무시당했습니다. 제 생각에는 한자혼용 위키백과가 새로운 위키백과로서 적합한가에 대한 것 자체보다는, 언어분과위원회 관리자분들이 한자혼용 위키백과가 생기든 말든 관심없이 없거나, 관련 토론을 진행하는 것을 귀찮아한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언어분과위원회의 관심을 끌기위해 한자혼용 위키백과에 관한 것을 언어분과위원회에게 지속적으로 요청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Yes0song님께서도 언어분과위원회에 관련글을 지속적으로 올려주셨으면합니다. 계속 요청하다보면 귀찮아서라도 답변을 해 주겠지요. --마소리스 2007년 9월 25일 (화) 22:41 (KST)답변
저도 답답합니다. 예, 저도 관련 글을 지속적으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Yes0song 2007년 9월 26일 (수) 00:13 (KST)답변

지금 처럼 한자혼용 위키백과에 대해 제대로된 답변을 계속 받을 수 없는 상황이 지속된다면, 임시방편으로 이곳에 백괴사전처럼 한자혼용을 위한 네임스페이스를 만들어서 인큐베이터에 있는 항목을 이쪽으로 옮기는 것은 어떨까요? 인큐베이터보다 이 곳으로 옮기는 것이 내용을 늘리는데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9월 29일 (토) 22:32 (KST)답변

한국어 위키백과의 여론이 우리의 생각을 이해해 주고 받아줄 것인지 저는 회의적입니다. 굳이 만들어야겠다면 위키아[2]에 개설하는 것이 어떨까요? 현재 위키아에는 클링온[3]도기보나[4] 백과가 개설되어 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위키아에 위키를 개설하는 게 그리 어렵지 않으니 차라리 그게 나을 것 같습니다. ― Yes0song 2007년 9월 29일 (토) 23:28 (KST)답변
위키아에 신청하였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9월 30일 (일) 00:40 (KST)답변
다시 생각해 보았는데, 위키아에서 관리하는 것 보다, 여기에 새로운 네임스페이스를 만들어서 관리하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요? 새로운 네임스페이스를 만들어서 관리하면, 공용의 자료와 인터위키를 사용할 수 있고, 여기에 있는 회원분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으니, 훨씬 좋을 것 같은데요. 만일 새로운 네임스페이스를 만들기로 한다면 링크와, 분류, 틀 등은 어떻게 관리하는 것이 좋을까요? --마소리스 2007년 10월 1일 (월) 19:49 (KST)답변
물론 인터위키, 공용 자료를 생각해 봤을 땐 차라리 한국어 위키백과에 있는 게 나을 수 있겠습니다만, 예전에 자동 변환기 도입 자체부터 강한 반대 여론에 부딪친 전례로 보아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원칙적으로 {{ns:0}}가 아닌 곳에 있는 article로 처리되지도 않는데다가 링크, 분류, 틀 관리도 역시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으니, 한국어 위키백과에 네임스페이스를 만들어 관리하는 것은 그다지 좋은 것 같지 않습니다. 또 article 문제 때문에 한국어 위키백과 내부 뿐만 아니라 재단 측에서도 분명히 반대 의사 표시를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니 일단 공용의 자료, 인터위키 사용 못하는 문제 등은 아쉽지만 당분간 포기하고 위키아에서 활동하는 게 나을 것 같습니다.
물론 가장 좋은 방법은 베르토 드 세라 님의 new solution이 개발돼서 한국어 위키백과에 도입을 하든지, 별도의 위키백과로 만드는 것이 승인이 나는 것이지만 현재로서는 위키아에 만드는 것이 나을 것 같습니다.
일단 마소리스 님이 새로운 네임스페이스를 만든다는 전제하에, 링크·분류·틀 문제에 관해 생각해 달라고 부탁을 하셨으니 이에 관해 생각은 해보았습니다.
링크 걸기의 경우, 틀을 하나 만들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인큐베이터에서는 편하게 링크 걸 수 있는 틀[5][6][7]이 있어서 그동안 무식(?)하게 일일이 [[Wp/ko-kore/문서|문서]]식으로 하지 말고 {{l|문서}}와 같이 입력하면 적절한 링크가 생기는 식이지요. 다른 위키에서 일반적으로 링크 방식인 [[문서]]보다는 복잡하지만 그래도 [[Wp/ko-kore/문서|문서]]식의 '노가다'보다는 훨씬 간편합니다. 우리도 그걸 응용해서 틀을 하나 만들면 될 것입니다.
틀과 분류는 따로 네임스페이스를 만들어서 해결할 문제가 아니라고 봅니다. 아시다시피 이 둘은 특수 기능을 지니고 있고, 사용자 정의 네임스페이스는 이 특수 기능을 그대로 수행할 수 없습니다. 한자혼용판 전용 틀을 새로 만들어 쓰려면(임의로 이것을 중국어 대만 번체용 미디어위키의 번역어를 빌려 範本이라고 하겠습니다) {{範本:틀}} 식으로 입력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따릅니다. 분류의 경우에는 틀보다 상황이 더 심각합니다. 불편하고 말고의 문제를 떠나 아예 새로운 분류 네임스페이스를 만들 수가 없습니다.
결국 틀 문제는 틀: 네임스페이스 안에 한자혼용판과 기존 한글전용판 틀을 모두 허용해달라고 하는 게 나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분류는 그냥 한글 전용판으로만 쓰도록 해야 할 것 같습니다(이럴 거면 이미 말한 바와 같이 위키아에서 하는 게 나을 것입니다). ― Yes0song 2007년 10월 1일 (월) 20:57 (KST)답변
Yes0song님 말씀대로 도입자체도 어렵고, 관리하기도 복잡할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인큐베이터에 있는 항목을 모두 위키아 - 한자혼용 백과사전으로 옮긴다음 그 곳에서 관리하도록 하고, 언어분과위원회에 관련 방안을 마련해줄 것을 지속적으로 요청해야겠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10월 2일 (화) 07:01 (KST)답변

사용자:틀

사랑방에 남겨주신 글에서 힌트를 얻어 사용자:틀 밑에 넘겨주기 페이지만 만들면

{{사용자:틀|사용자틀1|사용자틀2|사용자틀3}}

를 사용할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D

사용자:틀
사용자:틀/사용자틀1
AEOU
HTNS
이 사용자는 언젠가 드보락 자판을 익히고 싶습니다.
사용자:틀/사용자틀4

그런데 드보락희망을 넘겨주기 해서 만든 페이지를 불러오니 저렇게 옆에 뜨네요 :( --퇴프 2007년 9월 23일 (일) 16:02 (KST)답변

약간 손대서 고쳐놨습니다. 맘에 안들면 되돌리세요  :) --퇴프 2007년 9월 28일 (금) 11:25 (KST)답변


Korean with mixed script of Hangul and Hanja

en:Korean with mixed script of Hangul and Hanja를 보강하고 싶은데, 잘 정리된 사이트가 있으면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한자혼용이 처음 시작된 역사라던가, 한글전용으로 전환되는 과정, 그리고 현재 한자혼용이 실제로 얼마나 쓰이고 있는지 자료를 구하고 싶은데 찾기가 쉽지 않네요. 그리고 Yes0song님께서 시간이 있으시다면 한글전용과 국한문혼용 문서도 보강을 해 주셨으면합니다. --마소리스 2007년 10월 5일 (금) 02:08 (KST)답변

그게 잘 정리된 사이트는 보지못했습니다. 다만 일본어판의 '60년 문자 전쟁사'인가 그 부분이 광복 이후의 갈등 양상에 대해 추려져 있는 것 같습니다. 시간이 나는대로 각 언어판 문서들을 보강하도록 하겠습니다. ― Yes0song 2007년 10월 6일 (토) 09:58 (KST)답변
일본어판의 정확한 문서를 찾았습니다. ja:韓国における漢字#「60年文字戦争」입니다. ― Yes0song 2007년 10월 6일 (토) 10:00 (KST)답변

대륙사관 정리 부탁

밑에 몇몇 인용 문서를 달아놓은 것 이외에는 너무 정리가 되어있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몇가지 대륙사관론이 있다고 쓰셨는데, 단순히 인터넷 동아리에 떠도는 풍문을 모은 것인지, 어떤 재야사학자가 어떤 논문이나 저서, 기타 방식으로 설은 전개한 것인지 명확하지 않습니다. 이 부분을 잘 정리해주시길 바랍니다.

중간고사 잘 보세요^^ adidas 2007년 10월 19일 (금) 05:52 (KST)답변

시험 격려 고맙습니다. 그런데 대륙사관에 대해서 정리하는 것은 언제 쯤 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 중간고사 이후로도 레포트 작성 등 해야 할 일들이 몇 가지 있어서요.
그래도 자칫 이 문서를 내버려 두었다가는 독자 연구로 몰릴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중간고사가 끝난 뒤 제가 시간이 나는 한 최대한 빨리 보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재야사학자들 이름과 저서들을 나열하고, 각각의 입장을 간략히 소개하는 것으로 해보겠습니다. ― Yes0song 2007년 10월 19일 (금) 11:46 (KST)답변
이런말하긴 뭣한데, 저랑 같은 학교 다니시네용^^...(저는 휴학중) 저도 고등학교 때 관심있는 분야라 기회가 되면 도와드리도록 하죠. adidas 2007년 10월 19일 (금) 15:24 (KST)답변


위키백과:그리스어의 한글 표기 관련.

안녕하세요? 위키백과토론:그리스어의 한글 표기에 11월 말까지 이의가 없다면 통과시키자는 제안을 했습니다. 그러고 보니 Yes0song님이 가장 많은 활발한 활동을 하셨더군요. 그래서 말인데, Yes0song님께서 이 제안을 보시기에 결함이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 토론을 해 주셨으면 합니다. --해피해피 2007년 11월 7일 (수) 13:55 (KST)답변

한자위키

위키아한자위키를 열었습니다. 지금은 기존의 한자혼용 위키백과 인큐베이터에 있던 내용을 모두 한자위키로 옮긴 상태입니다. 여기에 적힌 현재 관련 상황을 읽어보시고, 의견 남겨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마소리스 2007년 11월 9일 (금) 18:14 (KST)답변

케인즈 인명 표기 관련

'케인스'가 이미 표기가 정해져 있었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Yes0song 2007년 12월 12일 (수) 00:45 (KST)답변

대륙사관

대륙사관에 편집하신 내용에 대해 출처가 요구되었습니다. 적절한 출처가 제시되지 않으면 해당 내용이 삭제될 수 있으니, 번거로우시더라도 처리를 부탁드립니다. 출처 표기가 완료되면 이 틀은 지우셔도 괜찮습니다. :)

--정안영민 2007년 12월 31일 (월) 00:24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