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朴孝瑨/진찬연 절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奉壽堂 進饌 절차

의례순서 의례내용 음악 정재
연회준비 및 알림 -혜경궁과 임금을 제외한 이들은 예복을 갖추고 각자 자리에 위치

-여집사가 혜경궁에게 연회준비가 되었음을 알림

연회시작 -혜경궁 입장 여민악령

(與民樂令)

배례 -내외명부 재배

-의빈척신 배위(拜位)에서 대기

-임금 입장

-임금 배위에서 대기

여민악령

(與民樂令)

임금을 따라 의빈척신 재배 낙양춘곡

(樂陽春曲)

진상(進上) -혜경궁에게 휘건을 올림 여민악령

(與民樂令)

-혜경궁에게 찬안을 올림 여민악만

(與民樂慢)

-혜경궁에게 꽃을 올림 여민악령

(與民樂令)

선창(先唱) -두명의 여령이 장악장을 노래함
진작(進爵) -여관을 통해 수주(壽酒)를 따라 혜경궁 앞에 올림 여민악령

(與民樂令)

치사(致詞)와 선지(宣旨) -여집사가 임금을 대신해 치사(致詞)를 혜경궁에게 읆음

-여관이 해경궁을 대신해 선지를 내림

거작(擧爵) -혜경궁이 술을 들어 마심 여민악 천세만세곡

(與民樂 千歲萬歲曲)

삼고두(三叩頭)와 산호(山呼) -임금이 세 차례에 걸쳐 머리가 땅에 닿도록 절하면 의빈척신도 이와 같이 함

-안내에 따라“천세(千歲)”, “천세(千歲)”, “천천세(千千歲)”를 혜경궁을 제외한 모든 사람이 외침

임금이 재배하면 의빈척신과 배종백관들도 모두 이와 같이 함 낙양춘곡

(樂陽春曲)

진상(進上)

-임금에게 휘건을 올림 여민악령

(與民樂令)

-임금에게 찬안을 올림 여민악만

(與民樂慢)

-임금에게 꽃을 올림 여민악령

(與民樂令)

진찬(進饌) -의빈척신의 찬탁(饌卓)을 설치
-배종백관들이 탕(湯)을 혜경궁께 올림 여민악만

(與民樂慢)

제1작 -혜경궁은 임금이 올린잔을 마신뒤 임금에게도 술을 내림

-임금이 술을 마시면 내외명부와 의빈척신에게 술을 돌림

여민악 환환곡

(與民樂 桓桓曲)

헌선도 정재

(獻仙桃 呈才)

제2작 -진작명부가 혜경궁에게 술을 올림 여민악 청평악

(與民樂 淸平樂)

금척 정재

(金尺 呈才)

수명명하왕은 정재

(受明命荷皇恩 呈才)

제3작 -외명부대표가 혜경궁에게 술을 올림 여민악 오운개서조곡

(與民樂 五雲開瑞朝曲)

포구락 정재

(抛毬樂 呈才)

무고 정재

(舞鼓 呈才)

제4작 -종친대표가 혜경궁에게 술을 올림 천세만세곡

(鄕唐交奏井千歲萬歲曲)

아박 정재

(牙拍 呈才)

향발 정재

(響鈸 呈才)

제5작 -의빈 대표가 혜경궁에게 술을 올림 여민악 유황곡

(與民樂 惟皇曲)

학무 정재

(鶴舞 呈才)

제6작 -척신 대표가 혜경궁에게 술을 올림 여민악 항항곡

(與民樂 恒恒曲)

연화대 정재

(蓮花臺 呈才)

제7작 -배종관 대표가 혜경궁에게 술을 올림 여민악 하운봉곡

(與民樂 夏雲峰曲)

수연장 정재

(壽延長 呈才)

정읍악 여민악

(鄕唐交奏井邑樂 與民樂)

처용무(處容舞)
낙양춘곡

(樂陽春曲)

첨수무(尖袖舞)
후창(後唱) 두 여령이 관화장(觀華章)노래함
철찬(撤饌) 찬탁(饌卓)을 치움 여민악

(與民樂)

예필(禮畢) 임금과 의빈척신이 배위로 내려와 재배 낙양춘곡

(樂陽春曲)

임금이 나와 합으로 퇴장 여민악령

(與民樂令)

의빈척신과 내외명부가 배위로 돌아와 재배 낙양춘곡

(樂陽春曲)

퇴위(退位) 여관이 혜경궁에게 예식의 끝을 알림
혜경궁은 내려와 합으로 퇴장 여민악령

(與民樂令)

3. 봉수당진찬도(奉壽堂進饌圖)에 나타난 봉수당진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