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기나ㅏㄴ/Translation/빗장밑정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빗장밑정맥
갑상샘과 그 주변부.
두정맥의 발달완료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정보
동맥빗장밑동맥
식별자
라틴어Vena Subclavia

인체 해부학에서 빗장밑정맥(쇄골하정맥, subclavian vein)은 신체의 양쪽에 하나씩 있는 한 쌍의 큰 정맥으로, 상지에서 혈액을 배출하여 이 혈액이 심장으로 돌아가도록 한다. 왼쪽 빗장밑정맥은 가슴관의 림프에 의해 운반된 물질이 혈류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질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빗장밑정맥의 직경은 약 1-2cm이다.[1]

구조[편집]

각 빗장밑정맥은 겨드랑정맥의 연속이며 첫 번째 갈비뼈의 바깥쪽 경계에서 앞 비늘근의 안쪽 경계까지 이어진다.[2] 여기서부터 내경정맥과 결합되어 완두정맥(또는 무명정맥)을 형성한다. 이때의 결합각을 정맥각이라고 불린다.

빗장밑정맥은 빗장밑동맥을 따르며 전사각근에 의해 빗장밑동맥과 분리된다.[2] 따라서 빗장밑정맥은 전사각근의 앞쪽에 있는 반면 빗장밑동맥은 전사각근의 뒤쪽(및 중사각근의 앞쪽)에 있다.[3]

기능[편집]

가슴관의 림프는 왼쪽 내경정맥과의 접합부 근처에서 왼쪽 빗장밑정맥으로 빠져나간다.[4] 림프계로부터 림프를 운반하며, 식이 지방과 지질로부터 장에 형성된 킬로미크론(chylomicron) 또는 유미(chyle)를 혈류로 유입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왼쪽 빗장밑정맥은 이러한 지방과 지질의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오른쪽의 림프관은 경정맥과 오른쪽 빗장밑정맥의 접합부로 림프를 배출한다.

임상적 관련성[편집]

중심 정맥선[편집]

빗장밑정맥은 크고 중앙에 있으며 상대적으로 표면적이 넓기에 우측 빗정밑정맥은 종종 중심 정맥관을 놓는 데 사용된다.[5][6] 기흉과 지혈이 동반되는 빗장밑동맥의 구멍 위험 때문에 오른쪽 경정맥과 같은 다른 접근법보다 잘 사용되지 않는다.[6][7]

흉곽출구증후군[편집]

흉곽출구증후군은 빗장밑정맥이 막히는 현상이다. [8] 이것은 팔이 붓고, 아프고, 청색증을 일으킬 수 있다.[8] 혈전이든 외압이든 흉부배출구증후군의 원인은 시급히 치료되어야 한다.[8]

질환[편집]

상지혈전증에는 빗장밑정맥의 혈전증이 포함되며, 이 경우 대개 과격한 운동으로 발생한다.

같이 보기[편집]

추가 이미지[편집]

참고 문헌[편집]

  1. “Subclavian Vein Anatomy, Function & Location | Body Maps”. 《Healthline》 (영어). 2015년 3월 20일. 2019년 1월 3일에 확인함. 
  2. Jacob, S. (2008년 1월 1일), Jacob, S., 편집., “Chapter 7 - Head and neck”, 《Human Anatomy》 (영어) (Churchill Livingstone), 181–225쪽, doi:10.1016/b978-0-443-10373-5.50010-5, ISBN 978-0-443-10373-5, 2020년 11월 20일에 확인함 
  3. Ahn, Samuel S.; Conley, Milton; Ahn, Justin S. (2011년 1월 1일), Moore, Wesley S.; Ahn, Samuel S., 편집., “Chapter 65 - Axillosubclavian Vein Thrombectomy, Thrombolysis, and Angioplasty”, 《Endovascular Surgery (Fourth Edition)》 (영어) (Philadelphia: W.B. Saunders), 679–686쪽, doi:10.1016/b978-1-4160-6208-0.10065-5, ISBN 978-1-4160-6208-0, 2020년 11월 20일에 확인함 
  4. “What is the Subclavian Vein? (with pictures)”. 《wiseGEEK》 (미국 영어). 2019년 1월 3일에 확인함. 
  5. Reich, David L.; Mittnacht, Alexander J.; London, Martin J.; Kaplan, Joel A. (2008년 1월 1일), Kaplan, Joel A., 편집., “Chapter 9 - Monitoring of the Heart and Vascular System”, 《Essentials of Cardiac Anesthesia》 (영어) (Philadelphia: W.B. Saunders), 167–198쪽, ISBN 978-1-4160-3786-6, 2020년 11월 20일에 확인함 
  6. Wald, Samuel H.; Mendoza, Julianne; Mihm, Frederick G.; Coté, Charles J. (2019년 1월 1일), Coté, Charles J.; Lerman, Jerrold; Anderson, Brian J., 편집., “49 - Procedures for Vascular Access”, 《A Practice of Anesthesia for Infants and Children (Sixth Edition)》 (영어) (Philadelphia: Elsevier), 1129–1145.e5쪽, doi:10.1016/b978-0-323-42974-0.00049-5, ISBN 978-0-323-42974-0, 2020년 11월 20일에 확인함 
  7. Beno, Suzanne; Nadel, Frances (2007년 1월 1일), Zaoutis, Lisa B.; Chiang, Vincent W., 편집., “Chapter 204 - Central Venous Access”, 《Comprehensive Pediatric Hospital Medicine》 (영어) (Philadelphia: Mosby), 1255–1257쪽, doi:10.1016/b978-032303004-5.50208-8, ISBN 978-0-323-03004-5, 2020년 11월 20일에 확인함 
  8. Sanders, RICHARD J. (2007년 1월 1일), Bergan, John J., 편집., “CHAPTER 53 - Subclavian Vein Obstruction: Techniques for Repair and Bypass”, 《The Vein Book》 (영어) (Burlington: Academic Press), 493–498쪽, doi:10.1016/b978-012369515-4/50056-9, ISBN 978-0-12-369515-4, 2020년 11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