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쥐박멸전담반/남한 대토벌 작전/문서/남한 대토벌 작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한 대토벌 작전(南韓大討伐作戰)이란, 일본 제국1909년 9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약 2달간에 걸쳐서 대한제국전라남도와 그 외곽지대에서 저항을했던 항일의병들을 진압하기 위해 세운 토벌작전이다.


개요[편집]

배경[편집]

1907년 대한제국 군대 해산이후, 해산된 군인들이 의병에 합류하면서 의병의 활동은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갔다. 이에따라서 1907년에서 1909년 전반기에 이르기까지 약 2년간은 전국적으로 의병투쟁 과정에서 가장 격렬한 투쟁이 전개된시기였다.

1907년에서 1909년까지 의병의 대일본군 전투횟수는 무려 약 2천 7백회나 되었고, 참가 의병들 숫자만해도 약 14만여명에 이르렀다. 이들 항일의병 투쟁은 서울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활발했었는데, 특히 전라 남북도 지방이 다른 여러지방보다 전투횟수나 항일의병들수가 압도적인만큼 격렬하게 저항했었다.

일제의 의병 토벌작전[편집]

이에 일본 제국은 1909년9월 1일부터 약 2개월동안 소위 '남한 대토벌 작전'이라는 명칭으로 항일의병이 가장 격렬한지역인 전라남도 지역에 대대적인 탄압을 가했다. 2,000여 명의 군대를 동원하여 3단계에 걸친 작전으로 전라남도 지역에 항일의병들을 진압했는데, 제1단계 작전은 전남남원을 기점으로 고흥,광주,영광등으로 이어지는 외곽지대, 제2단계는 고흥,광주,영광 근방을 기점으로 남서해안에 이르는 지대, 제3단계는 전라남도 서쪽지방으로 탈출하는 항일의병들을 섬멸하기 위해 무인도 지역까지를 대상으로 한 이른바 '초토화 작전'이었다. 일본 제국군대는 압도적인 화력의 우세로 잔학한 방법을 동원하여, 양민과 민가에 무참히 살육하고 방화하고 심지어 약탈등 일삼으면서 수많은 민간인,양민들이 학살당했다.

이과정에서 항일의병장들만도 103명이 희생되었는데, 그중 항일 의병장 전해산 등 23명은 일본군에 체포되어 형장에서 순국했다. 이때, 일본군에 잡힌 항일의병들은 강제노동을 당하기도 했는데, 그 대표적 경우가 해남에서 장흥,보성,낙안,순천을 경유하는 광양에서 하동까지의 도로작업에 강제노역 동원된것이었다. 뒷날, 일본군들은 이 도로를 '폭도 도로'라고 명명했다.

결과[편집]

1907년에서부터 1909년말, '남한 대토벌 작전'으로 일본 제국 군대에 의해 사망한 항일의병들 수는 약 16000여명, 부상자는 약 36000명에 달했으며, 수많은 의병 근거지들은 일본군에 의해 방화되거나 약탈되었다.

이러한 일본군의 잔인한 토벌 작전으로 항일 의병활동은 국내에서 크게 줄어들수밖에없었다. 결국, 1910년에 들어가면서 항일의병들의 전투횟수나 참여하는 항일 의병들 수도 크게 격감하면서 위축된다.

이렇게되자, 국내에서의 의병활동이 사실상 어려워지면서 항일 의병에 뜻이 있는사람들은 만주에 북간도,서간도등 혹은 연해주등지로 이주하여 훗날, 독립군으로 무장 독립투쟁을 계속하게된다.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