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화용도/작업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ingles & Sessions 1979–81
델타 5컴필레이션 음반
발매일2006년 1월 26일 (2006-01-26)
녹음1979–1981년
장르
길이45:26
언어영어
레이블
프로듀서
  • 델타 5
  • 롭 워
델타 5 연표
See the Whirl
(1981)
Singles & Sessions 1979–81
(2006)

Singles & Sessions 1979–81》은 2006년 1월 26일 킬 록 스타스에서 발매한 잉글랜드의 밴드 델타 5컴필레이션 음반이다.

배경 및 작업[편집]

1978년 잉글랜드 리즈에서 결성한 밴드 델타 5는 이듬해 인디 레이블 러프 트레이드 레코드와 계약을 맺고 총 세 장의 싱글을 발매했다. 하지만 러프 트레이드가 추후 음반을 제작할 때 충분한 재정을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느끼고, 상업적인 성공을 이루고 싶다고 판단한 밴드는 레이블을 나오고 대형 레이블 카리스마 레코드가 설립한 산하 레이블 프리(PRE)와 계약했다. 1981년 7월 프리에서 발매된 《See the Whirl》은 평론가의 엇갈린 평과 더불어 음반 차트에 입성하지 못했고, 델타 5는 1982년 한 장의 싱글을 더 발매하고 해체했다. 이후 1996년, 로스 알렌은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델타 5의 음악을 재발매할 기회가 있었냐는 질문에 "아무런 생각이 없다"라고 답했다.[1]

한편 2003년, 퍼펙트 사운드 포에버의 제이슨 그로스는 킬 록 스타스와의 협업으로 1993년 스위스에서 발매돼 빠른 시간에 절판된 릴리풋의 《Kleenex/LiLiPUT》와 에센셜 로직의 컴필레이션 음반 《Fanfare in the Garden》을 발매했다.[2]

음악[편집]

발매[편집]

음반은 2006년 1월 26일 킬 록 스타스에서 발매됐다. CMJ 뉴 뮤직 먼슬리는 음반의 발매가 상당히 미루어졌다고 언급했다.[3] CD로 발매된 음반의 라이너 노트에는 1980년 그레일 마커스가 잡지 뉴 웨스트에 기고한 글과 존 랭포드의 회고가 담겨 있다. 밴드의 멤버들은 음반 발매 후 LA 위클리하프 등 여러 잡지와 인터뷰하며 음반을 홍보했지만,[4] 투어와 같은 밴드의 재결합은 없을 것이라고 못박았다.[5]

재발매[편집]

피터 훅(사진)은 맨 레이(Man Ray)라는 가명으로 2009년 〈Mind Your Own Business〉의 리믹스에 참여했다.

《Singles & Sessions 1979–81》은 여러 차례 재발매됐다. 2009년 킬 록 스타스는 〈Mind Your Own Business〉의 3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뉴 오더피터 훅이 맨 레이(Man Ray)라는 가명으로 리믹스한 싱글을 발매했다.[6] 2011년에는 《See the Whirl》 발매 30주년을 기념하면서 블루 애플 뮤직에서 킬 록 스타스의 라이선스를 받아 《Singles And Sessions Plus》라는 이름으로 음반을 발매했다. 새로운 표지와 함께 발매된 음반에는 훅의 리믹스에 더하여 모네이 라마와 디어후프의 〈Mind Your Own Business〉 리믹스, 그리고 켈빈 나이트의 밴드 회고록이 포함됐다.[7] 2019년, 랭포드가 블루 애플 뮤직의 표지와는 다른 새로운 그림을 표지로 한 음반이 킬 록 스타스에서 LP와 카세트로 발매됐다. 리믹스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밴드의 포스터가 증정됐다.[8] 이후 2021년에는 동일한 표지의 CD에 리믹스까지 포함되어 발매됐다.[9]

평가[편집]

전문가 평가
평가 점수
출처점수
대중음악 백과사전3/별[10]
디 A.V. 클럽B+[11]
모조3/별[12]
블렌더4/별[13]
스타일러스 매거진A-[14]
언컷8/10[15]
올뮤직4.5/별[16]
팝매터스7/10[17]
피치포크8.3/10[18]
로버트 크리스트가우(3-star Honorable Mention)(3-star Honorable Mention)(3-star Honorable Mention)[19][a]

《Singles & Sessions 1979–81》은 평론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피치포크의 메이 릴리 클라크는 음반이 만약 《See the Whirl》 대신 발매되었다면 갱 오브 포의 《Entertainment!》만큼 인상적이고 문화적으로 큰 의의가 있는 데뷔를 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더불어 절판된 델타 5의 음악을 제공하기 위한 본래의 목적을 뛰어넘어 "포스트펑크의 전성기에 거의 사라졌던 단명했던 훌륭한 밴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라고 평했다.[18]

소닉 유스킴 고든은 《Singles & Sessions 1979–81》을 추천하면서 "아직도 매우 최신 음악처럼 들린다"라고 언급했다.[21] 슬리터 키니캐리 브라운스타인밴드캠프에 등록된 가장 좋아하는 음악으로 음반에 수록된 〈Now That You've Gone〉을 꼽았다.[22]

곡 목록[편집]

#제목재생 시간
1.Mind Your Own Business3:13
2.Now That You've Gone4:13
3.Anticipation2:11
4.You3:51
5.Try3:05
6.Colour2:03
7.Delta 51:52
8.Make Up2:55
9.Triangle3:20
10.Innocenti2:04
11.Train Song3:01
12.Final Scene3:02
13.Singing the Praises2:59
14.Shadow2:40
15.Circuit1:57
16.Journey3:00
총 재생 시간:45:26
2011년 재발매 트랙
#제목재생 시간
17.Mind Your Own Business (Peter Hook 'Man Ray' Mix)5:33
18.Mind Your Own Business (Featuring Monnei Lamar (remix))3:30
19.Mind Your Own Business (Deerhoof Remix)2:45
총 재생 시간:57:14

참여진[편집]

주해[편집]

  1. 당시 크리스트가우가 컨슈머 가이드를 게재하던 MSN 뮤직에서는 별점 대신 "Honorable Mentions"에 언급됐다.[20]
  2. 존보이(JonBoy)라는 이름으로 기재됐다.

각주[편집]

  1. 아펠스타인 1996, 23쪽.
  2. 그로스 2006.
  3. CMJ 뉴 뮤직 먼슬리 2006, 4쪽.
  4. 달튼 2006; 밀스 2006.
  5. 달튼 2006.
  6. 킬 록 스타스 2009.
  7. 블루 애플 뮤직 2011.
  8. 가르 2020, 40쪽.
  9. 킬 록 스타스 2021.
  10. 라킨 2006, 845쪽.
  11. 머리 2006.
  12. 모조 2006, 121쪽.
  13. 월크 2006, 120쪽.
  14. 오라일리 2006.
  15. 패티슨 2021, 40쪽.
  16. 페어스 2006.
  17. 호닝 2006.
  18. 클라크 2006.
  19. 크리스트가우 2007.
  20. MSN 뮤직 2007.
  21. 무어 & 고든 2006, L2T11쪽.
  22. 커츠 2024.

참고 자료[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