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revi/비관리자 종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for|the actual guideline on non-admin closures of deletion discussions|WP:NACD}} {{essay|interprets=[[Wikipedia:closing discussions|closing discussions]]|shortcut=WP:NAC|shortcut2=WP:NADC}}

관리자가 수많은 토론을 종결하긴 하지만, 위키백과의 정책과 관례상 등록된 사용자 중 제재를 받지 않은 사용자는 토론을 종결할 수 있습니다. 실무적으로, 비관리자 (이하 사용자) 는 토론의 결말이 관리자 도구의 사용을 요구하는 경우 최종 결론을 내서는 안 됩니다. 이러한 예로는 문서 관리 요청, 삭제복구 토론, 사용자 관리 요청, 사용자 권한 신청 등이 있습니다. 이 문서는 이러한 문서에서 토론을 종결하려는 사용자에 대한 조언을 제공합니다.

누가 토론을 닫아야 하나요?[편집]

위키백과의 편집에는 여러 역량이 필요하지만, 특히 토론의 결론을 판정할 때에는 그러한 역량이 중요합니다. 위키백과에서 어느 정도의 시간을 보냈거나 몇 회 이상의 기여를 한 사람만 토론을 종결할 수 있다는 공식적인 규칙은 없지만, 토론을 종결할 때 적절하게 닫을 수 있는지의 여부가 있는지 따져 볼 필요가 있습니다. 부적절한 종결은 다른 사용자의 할 일을 늘리거나, 차단 재검토나 복구 토론과 같이 새로운 토론을 통해 위키백과에 기여하는 사람에게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토론을 종결할 때 실수가 일어나는 일은 드물지만, 토론의 종결이 재검토에서 파기되었거나 관리자가 종결을 되돌린 경우에는 토론 종결을 중지하고 관리자와 관련 내용에 대한 이야기를 나눔으로써 사용자가 무슨 실수를 저질렀는지 이해하고 그런 일이 반복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주어야 합니다.

경험 많은 사용자[편집]

공동체의 검토를 거친 경험 많은 사용자로써, 관리자는 일반적으로 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토론을 적절하게 닫을 수 있거나, 자신이 그러한 지식을 가지지 못한 경우 다른 사람에게 위임할 수 있을 정도의 지식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신뢰받습니다. 관리자가 아닌 사용자도 필요한 경험과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만 토론을 종결해야 합니다.

  • 정책에 대한 지식: 위키백과는 관료제가 아니지만, 총의를 문서화한, 가끔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는 정책과 지침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 경우 심각한 후유증(영문)을 불러올 수 있는 법적 요구사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 토론을 종결하는 사용자는 언제 어떻게 이러한 요구사항을 적용해야 할 지, 아니면 적용하지 않아야 할 지 알아야 하며, 이러한 행위를 통해 어떻게 위키백과의 원칙을 지켜갈 수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 절차에 대한 지식: 위키백과의 토론 장소에는 토론의 양식이 어떻게 되어야 하고, 얼마나 오랫동안 토론이 지속되어야 하고, 토론이 시작되기 전, 또는 토론이 끝난 후에 이루어져야 하는 일에 대한 각각의 절차적 규범이 존재합니다. 토론을 종결하는 사용자는 이러한 절차적 지식을 익히고, 토론에 참여함으로써 이러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록이 있어야 합니다.
  • 주제에 대한 지식: 위키백과는 다양한 분야에 기여하는 수많은 기여자에 의해 작성되고 유지됩니다. 각 기여자는 각각 자신이 잘 알거나, 관심 있거나, 학문적으로 전문적인 배경 지식이 있습니다. 매우 전문적인 분야의 토론을 종결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제시된 주장과 근거를 평가할 수 있는 배경 지식이 있는지 검토해 보아야 합니다.

연관되지 않은 사용자[편집]

토론을 종결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토론의 종결에 있어 이해관계의 충돌이 없음을 확실히 해야 합니다. 이해관계의 충돌의 예시를 들자면 토론에 참여한 사용자와 과거에 언쟁을 벌인 적이 있다거나, 토론 대상인 내용과 관련한 분쟁이 있었다거나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토론을 종결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 잠재적, 실제적, 또는 표면적으로 이해관계의 충돌이 있거나 "표면상 부적절" (appearance of impropriety)이 존재하는 경우 총의의 정당성 또는 토론 종결의 정당성이 의심받을 것이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의심을 피하려면, 자신이 투표했거나, 자신이 만들었거나 토론에 참여한 토론을 절대 종결해서는 안 됩니다.

특정한 방향으로 토론을 유도하는 행위가 옳지 않은 만큼, 자신이 부적절하게 알았거나 자신의 중립성이 의심받을 만한 상황에서는 토론을 종결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 주의사항[편집]

부적절한 종결[편집]

비관리자는 다음 상황에서 토론을 종결해서는 안 됩니다.

  1. 비관리자가 이해관계의 충돌이 있음이 입증되었거나, 토론에 참여하거나 그 외 방식으로 연관되어서 중립성이 결여된 경우. 단, (자신을 제외한 모든 사용자가 반대되는 의견을 낸 상태에서) 자신의 요청을 철회하여 종결하는 경우에는 허용됩니다.
  2. 토론의 결론이 모호하거나 토론의 종결에 논쟁의 여지가 있는 경우. 이런 경우에는 관리자가 처리하도록 두는 것이 낫습니다.
  3. 비관리자가 위키백과의 편집 경험이 일천하거나, 토론에 참여한 경력이 오래되지 않은 경우.
  4. 토론의 결론이 관리자의 행위를 요구하는 경우:
    • 삭제
    • 일반 사용자가 수행할 수 없는 이동 (예를 들어, 다른 문서를 삭제하고 그 문서 자리에 이동해야 하는 경우)
    • 문서의 보호 또는 보호 해제
    • 문서 역사 병합
    • 제한의 부과, 차단


함정에 빠지지 마세요[편집]

  1. 토론의 종결이 논쟁의 여지가 있거나 명확하지 않을 여지가 있을 경우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자신이 해당 분야나 절차에 무지하다면 특히) 토론을 종결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주제 자체가 논쟁적이거나, 논쟁적인 토론의 경우 토론을 종결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토론의 주제에서부터 알 수 있는 경우도 있고, 관련된 토론을 읽음으로써 알 수 있을 수도 있습니다.
    • 토론의 결론이 모호한 경우. 10대 2의 토론을 반드시 "만장일치"에 가까우니 닫자고 할 수는 없습니다.
  2. 특히 새 사용자에게 자주 발견할 수 있는 요소로써, 투표는 토론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토론을 종결할 때는 사용자들의 의견의 합치 (총의) 로써 결론을 끌어냅니다. 이러한 절차 상에서 정책에 위반되거나 악의적인 의견은 무시될 수 있습니다. 토론을 닫을 때 "이 '투표'를 무시해야 하나?"를 고민하고 있고, 그 투표가 토론의 향방을 결정할 수도 있다면, 관리자가 아닌 사용자가 닫을 만한 토론은 아닌 것입니다.
  3. "총의 없음" 종결은 (삭제 토론의 장기간 미토론에 의한 총의 없음을 제외하고) 가능하면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종결은 일반적으로 총의에 대한 자세한 판단이 요구됩니다.
  4. 특정한 주제에 대한 의견을 가지고 있거나 한 경우 토론을 종결하지 마십시오. 종결의 형식으로 투표하는 행위는 좋지 않습니다.


삭제 토론[편집]

삭제 토론이 열린 지 2개월 정도 이상이 지나면, 백:삭제 토론/장기 미완료 토론으로 이동되며, 오랜 기간 토론이 이어지지 않은 토론은 비관리자 종결이 가능할 수 있게 됩니다. 그 외의 경우에는 토론의 참여자 모두가 "유지", "이동", "넘겨주기" 의견을 낸 경우, 토론 참여자가 토론을 종결할 수 있습니다. 그 외의 경우에는 관리자가 토론을 종결해야 합니다.


문서 이동 요청[편집]

일반적으로 문서 이동에는 관리자 권한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문서 이동 요청이 관리자 요청의 일부이기는 하지만, 경험 많은 중립적인 사용자는 자신이 처리할 수 있는 이동 요청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경우 (대상 문서가 삭제되어야 하는 경우 등) 에는 관리자가 문서의 이동을 처리해야 합니다.

의견 요청[편집]

연관되지 않은 사용자 누구나 의견 요청을 종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종결이 골치아픈 일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종결의 필요성: 위키백과의 다른 요청과 다르게, 의견 요청에 종결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종결을 하는 게 비효율적일 수도 있습니다. 종결이 필요한 지 검토해 보세요. 토론이 자연스럽게 끝나 토론 참여자들 간에 총의가 형성되어 종결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 총의의 범위: 위키백과에서 가장 일반적인 준-공식적 토론의 방식으로써 의견 요청은 총의를 해석하고 정책을 정하기 때문에 가장 범위가 넓고 오랜 기간 지속되는 총의를 만드는 방식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의견 요청의 결론을 내기 위해서는 자신의 총의 해석이 올바른지만 검토할 것이 아니라, 형식적으로 관리자가 종결하는 것이 더 적절한지도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 의견 요청의 성격: 의견 요청의 특성상 그 질문과 토론의 형태는 열린 형태인 경우가 많습니다. 많은 의견 요청이 단순한 가부 결정을 넘어서, 여러가지 다른 결론 중 하나를 지지할 것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의견 요청의 초기에 제시된 의견과 완전히 다른 제3의 의견이 최종 결론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의견 요청의 개시는 토론의 '자극제'이며, 초기의 선택지가 곧 결론이 될 것이라고 단정지어서는 안됩니다.
    의견 요청을 제시하는 자의 의견이 의견 요청의 결론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의견 요청은 중립적인 방식으로 시작되곤 하지만, 토론을 종결할 때는 의견 요청의 주장 뿐만 아니라 의견 요청의 시작 배경 또한 검토해야 하며, 이러한 의견 요청이 위키백과의 정책과 지침을 준수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의견 요청의 배경이 토론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도 검토하는 것이 좋습니다.
  • 토론의 성격: 일반적으로 의견 요청 봇은 의견 요청을 30일 정도 표시합니다. 토론이 길게 지속되는 경우 의견 요청을 재게시하여 토론을 유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토론이 오랫동안 이루어진다고 하여 초기에 제시된 주장의 중요성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며, 제기된 모든 주장을 검토해야 하는 것 또한 아니라는 것도 알아야 합니다. 자신이 모든 주장을 검토할 만한 시간적/정신적 여유가 되지 않는 경우 그냥 내버려 두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

일반 사용자들이 관리자에게 관리 행위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거나 관리 행위를 비판하는 것이 자유이듯, 관리자 또한 비관리자의 관리행위에 대해 해명을 요구하거나 비판할 수 있습니다. 비관리자는 필요한 경우 자기 자신을 변호할 수 있어야 합니다. 언제나처럼, 해명을 요구하거나 해명을 할 때에는 인신 공격을 해서는 안 되며, 예절]을 지키며, 합리적인 선의를 가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안[편집]

위키백과는 미완성이며, 일반적으로 토론을 반드시 종결해야 하는 "데드라인" 같은 것은 없습니다. 토론을 종결하는 데 시간을 쏟기보다 다른 기여를 하는 것이 좋을 수도 있습니다. 몇몇 사용자들 간에 특정 주제에 대하서 이루어진 합의는 그 적용과 영향력이 제한적인 경우가 있으며, 역으로, 정책과 지침을 고려하지 않고 만들어진 많은 사용자들의 합의가 강력한 지지를 받더라도 다른 사용자의 저항을 받거나 합의가 실행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