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Biointerchange/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두카 롱기폴리아](Madhuca longifolia)


Madhua (Madhuca longifolia)는 식용 꽃과 기름 종자를 위해 주로 남부 아시아의 야생 환경에서 재배되거나 수확되는 다목적 열대 나무로, 인도에서 연간 약 6 천만 톤의 큰 생산 잠재력을 가진 산림 기반의 나무에서 유래한 식용 오일 중 하나다.[1] 마두카는 인도, 네팔, 스리랑카의 산악지역에서 서식하는 낙엽수로 영어로는 버터나무(Butter tree)라고 하며, 식용지방의 원천이기도 하다. 건조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고 인도의 오디샤(Odisha)주에 있는 열대 혼합 낙엽 수림에서 두드러지게 관찰된다.[2]

[형태]

Madhuca는 중간 크기의 낙엽수로 16-20m 높이로 자라며. 지름 80cm의 짧고 튼튼한 몸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무 껍질 회색의 세로로 갈라지고 주름진 얇은 비늘 부분으로 각질을 제거 할 수 있다. 잎은 가지 끝쪽에 모여 매달려 있는 형상이다.[3] 잎 날은 단순하고 길이 10-25cm x 너비 6-12cm이며 직사각형 모양이며 단단하고 두껍고 단단하며 아랫면에 털이 많고 부러지면 유백색 수액이 흘러 나온다. 어린 잎은 분홍빛이 도는 적갈색이며 꽃은 녹색 또는 분홍색의 털복숭이 뭉치 형태로, 각 묶음은 12 개의 향기로운 크림색 꽃모양으로 구성 되어 있다.[4] 꽃은 하룻밤 만 나무에 매달려 있다 땅에 떨어지는데. 건조 된 꽃은 1-4 개의 윤기 있고 기름진 갈색 씨앗을 포함하는 다육하고 녹색을 띤 난형 과일로 변화한다. 씨앗은 길이 3-5cm이고 타원형이며 한쪽이 평평한 모양이다.[5]


[용도]

인도에서는 기원전부터 마두카의 꽃, 껍질, 잎, 씨앗 등일 질병치료, 식용, 피부관리 등에 사용해 왔으며, 많은 유용성 때문에 신성한 존재 (어머니, 여신)로 인식하고 특별히 보호 및 관리해 왔다

또한, 최근 서양 의학의 기술로서 해결하는데 한계를 느낀 현대인들이 직면한 다양한 심신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약물 사용을 최대한 자제하고 건강하고 맑은 정신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동양의학과 전통의학에 주목하고 있는데, 그 중 인도의 고대 전통의학 아유르베다가 다양한 나라의 전통 대체 의학으로 접목되며 큰 집중을 받고있다.

아유르베르다는 천연오일, 허브를 이용한 마사지 크림 등을 바르고 마사지를 받거나 스트레칭과 명상을 통해 몸속의 노폐물을 제거하여 인간의 신체, 정신, 영의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것이 치유의 핵심으로 그 효능은 오랜 역사를 통해 입증되고 있으며 마두카 열매는 아유르베다에서 만병통치약처럼 사용되고 있는 영양가 높은 나무이며 약초로도 널리 알려져 있으며. 식물 화학 연구에 따르면 당이 풍부하고 비타민, 단백질, 알칼로이드, 페놀 화합물 등 항균, 항암, 간 보호, 항 궤양, 항고 혈당, 진통 작용을 위한 식재료로,[6] 인도, 네팔 및 스리랑카 전역의 전통 및 민속 의학 시스템에서 뱀 물림 및 당뇨병과 같은 다양한 약리학적 특성으로 널리 사용되어 온것으로 알려져 있다.[7]

또한 인도 구자르트주의 북동부 마을 사바르칸타 부족은 마두카의 건조된 꽃잎 추출을 이용하여 모발 성장 촉진을 하기 위해 머리에 문지르는 전통이 있는것으로 알려져 왔으며,[8] 실제 현대 연구에 따르면 마두카 씨앗 오일 성분은 식물성 지방 오일 50-61%, 단백질 16.9%, 섬유질 3.2%, 탄수화물 22%, 회분 3.4%, 사포닌 2.5%, 탄닌 0.5% 등으로 [9] 머리의 성장에 도움을 주는것으로 확인 되었다.[10]

구분 성분 효능
<꽃> Vitamins A and C, Alkaloids, Tannin, Proteins, Alkaoids, Carbohydrates, Tanin, Carbohydrates 강장제, 진통제 및 이뇨제로 사용
전통적으로 냉각제, 강장제, 기생충 치료용, 만성 편도선염, 기관지염 등에 사용
<잎> Alkaloid, Carbohydrate, Protein, Saponin, Tannin, Triterpenoids 만성 기관지염, 기관지염, 두통, 치질에 사용
<씨앗> Arachidic, Linolelic, Oleic, Myrisic, Palmitic and Stearic acids, α-Alanine, Aspartic acid, Cystine, Glycine, Isoleucine and

Leucine, Lysine, Methionine, Proline, Serine, Teonine, Myricetin, Quercetin, Mi-saponin A and B, Tannin

피부질환, 두통, 완화제, 습관성 변비, 피부병에 사용
비듬완화 머리의 단백질 보호 즉 가려움과 염증을 치료하는데 사용
고함량의 사포닌 인해 인도 남부에서는 샴푸로 사용
<열매> α-, β- amyrin acetates 편도선염과 인후염에 사용

출처: Biological properties, phytochemistry and traditional uses of Mahua (Madhuca longifolia), academia.edu, 2014.

[연구] 2019년 대한민국 충북산학융합본부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의 공동 연구구팀은 산원자원부 지원 연구결과 마두카 나무 씨앗으로부터 유래되는 계면활성제인 소포로리피드(Sophorolipid)가 탈모증상완화에 효능이 있는 것을 세계최초로 발견했다고 발표 소포로리피드는 마두카 등 식물성 오일을 발효하여 얻어지는 대사물질로 글루코스계열의 당지질이며 락톤 타입(Lactone type)과 산 타입(Acid type)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소포로리피드는 계면활성 및 유화능력 등이 우수하고 자연적 생분해성이 가능한 자연친화적 물질이라는 장점을 바탕으로 화학 계면활성제의 대체물질로서 주목받고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생리학적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1. Center Jatropha Promotion Biodiesel, Churu, Rajasthan, India. CJP, 2007
  2. 1992 Herbs that heal : Natural Remedies for good health (H.K. Bakhru) p129
  3. Flowers of India, 2016. Mahua. Flowers of India
  4. Fern, K. 2014. Madhuca longifolia. Useful Tropical Plants Database 2014
  5. Orwa, C.; Mutua, A.; Kindt, R.; Jamnadass, R.; Anthony, S. 2009. Agroforestree Database: a tree reference and selection guide version 4.0. World Agroforestry Centre, Kenya
  6. Phytochemistry, Ethnomedical Uses and Future Prospects of Mahua (Madhuca longifolia) as a Food : A Review Sinha et al,Jnutr Food Sci 2017, 7:1
  7. Biological, chemical and pharmacological aspects of Madhuca longifolia, Dhruv Jha, 2018
  8. Plants used in traditional phytotherapy for hair care by tribals in Sabarkantha district, Gujarat, India – Indian Journal of Traditional Knowledge Vol.2(1), January 2003, pp. 74-78
  9. Functional characteristics, nutritional value and industrial applications of Madhuca longifolia seeds: an overview. J Food Sci Technol. 2016 May; 53(5) : 2149-2157
  10. Product profile, Mahuwa, Trifed, Ministry of Tribal Affairs, Government of India". Trifed.nic.i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6-19. Retrieved 2013-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