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Clockoon/번역/핑크 플로이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독일 위키에서 중역.

음악[편집]

기술[편집]

핑크 플로이드는 음악적으로뿐만 아니라 기술적으로도 진보적인 밴드였다. 그들은 작곡할 때 당대의 다양한 새로운 악기들을 도입했다. 예를 들어, "Meddle" 앨범에서 에코 효과를 내기 위해 사용한 Binson사의 Echoric이 있다[1]. 또한 그들은 테이프를 이용한 루프 기술을 자주 사용했는데, 이는 1970년 론 기신에게서 습득한 것이다(론 기신은 Atom Heart Mother에서 공동 작곡을 담당했다). 루프 기술이 가장 적극적으로 사용된 앨범은 The Dark Side of the Moon 앨범인데, 현금 계산기 소리가 반복되는 "Money"나 , "Speak to Me" 등에서 두드러진다.

그들은 주로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작업했는데, 그 곳은 비틀즈 등이 작업하면서 당시 최고의 음향기술을 보유한 곳 중 하나였다(Atom Heart MotherThe Dark Side of the Moon도 여기서 녹음되었다). 밴드는 몇몇 앨범에서 쿼드라폰 기술(4 채널 기술)을 시도하였지만, 당시에는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그들은 신디사이저를 메인 악기로 구성한 최초의 락 밴드이기도 했는데, 릭 라이트는 Dark Side 앨범에서 EMS Synthi AKS를 사용하였다.

악기[편집]

데이빗 길모어는 그의 블루스적 성향에 따라, 거의 모든 곡에서 펜더사의 기타를 주로 사용하였다[2]. 그는 대부분 스트라토캐스터와 텔레캐스터로 연주했는데, 그 외에도 몇몇 곡에서 슬라이드 기타를 사용하기도 했으며, 수많은 앰프와 이펙터를 이용했다.

초기 릭 라이트는 주로 해몬드 오르간을 사용했다. 나중에 신디사이저가 도입된 1972년부터 그는 적극적으로 이를 이용하는데, Dark Side 이후의 앨범에서 많은 신디사이저 연주가 첨가되었다.

다른 프로그레시브 락 밴드와는 달리, 핑크 플로이드에서 베이스드럼은 음악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 몇몇 곡을 제외하고는 그저 신디사이저와 기타의 뒤를 받쳐주는 역할을 할 뿐이다. 이는 그들의 음악적 배경과도 관련이 있다. 바흐베토벤, 낭만주의 음악, 재즈의 영향을 받아[3] 정교한 코드를 작곡하는 릭 라이트와는 달리, 로저 워터스는 단순하고 간단한 곡을 쓸 뿐이었다.

보컬[편집]

초창기 핑크 플로이드의 노래는 거의 시드 배릿의 몫이었지만, 그가 밴드를 탈퇴한 후에는 길모어와 워터스가 주로 노래하고, 몇몇 곡에 릭 라이트가 참여하는 식으로 구성되었다. The Dark Side of the Moon 앨범 이후부터는 객원 보컬이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는데, Dark Side 앨범에서의 클레어 토리, Wish You Were Here 앨범에서의 로이 하퍼 등이 대표적이다.

Atom Heart Mother 앨범부터는 코러스도 많이 사용되었다. 로저 워터스가 주도권을 잡은 1973년 이후에는 좀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기 시작했는데, The Wall 앨범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최고조에 이르렀다.

영향[편집]

핑크 플로이드의 음악은 많은 후대 밴드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대부분의 프로그레시브 밴드, 예스툴 (밴드) [4] 등은 핑크 플로이드의 음악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드림 시어터는 2005년 존경의 의미로 The Dark Side of the Moon 앨범 전곡을 공연하기도 했다.

비단 프로그레시브 록 뿐만 아니라 다른 밴드들도 핑크 플로이드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라디오헤드는 종종 핑크 플로이드에 비교되며[5], 반젤리스키타로 등의 뉴에이지 아티스트도 그들에 대한 영향을 언급하곤 했다[6]. 많은 밴드들이 그들의 곡을 리메이크했는데, 펄 잼("Interstellar Overdrive"), 푸 파이터("Have a Cigar") 등을 들 수 있다.

  1. "One of these Days" evolved from some of my experiments with the Binson, as did "Echoes"... “Careful with that Axe” (영어). 2009년 3월 29일에 확인함. 
  2. http://www.ultimate-guitar.com/lessons/guitar_gurus/david_gilmour_guitar_methods.html
  3. Sahner, Paul. 《Pink Floyd – Elektronischer Rock in Vollendung》. München: Heyne. ISBN 3-283-00339-4. 
  4. Die Musik der Band [Tool] ist überaus fortschrittlich, packend, atmosphärisch und komplex [...] Gleiches haben Bands wie Genesis, Yes oder Pink Floyd in den 70er Jahren auch gemacht“metal1.info” (독일어). 
  5. Piero Scaruffi. “The History of Rock Music:Radiohead” (영어). 2009년 3월 29일에 확인함. 
  6. Steve Johnston. “Down Beat, January 1988: Of Outer Space, Nature... And The Synthesizer” (영어). 2009년 3월 2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