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Frei24/작업장9/설명문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용법[편집]

아래의 틀을 붙여넣기하여 필요한 매개 변수를 채워넣으면 문서에 정보상자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각 변수는 비워 두거나 생략하면 표시되지 않습니다.

설명[편집]

대한민국의 정당[편집]

{{{이름}}}
[[파일:{{{고로}}}|{{{로고크기}}}]]
로고
약칭 {{{약칭}}}}
상징색 {{{상징색}}}
이념 {{{이념}}}
당원({{{당원_연도}}}) {{{당원}}}
국가 재정지원
({{{재정_연도}}})
{{{재정지원}}}
당직자
대표 {{{대표}}}
원내대표 {{{원내대표}}}
역사
창당 {{{창당}}}
내부 조직
중앙당사 {{{중앙당사}}}
{{{웹사이트}}}
{{정당 정보
|이름           = {{{이름}}}
|배경색         = <!-- green, 또는 #ff0000 형태로 입력-->
|로고           = {{{고로}}}
|로고크기        = {{{로고크기}}}
|약칭           = {{{약칭}}}}
|대표           = {{{대표}}}
|원내대표        = {{{원내대표}}}
|창당            = {{{창당}}}
|중앙 당사       = {{{중앙당사}}}
|재정지원        = {{{재정지원}}}
|재정_연도       = {{{재정_연도}}}
|당원           = {{{당원}}}
|당원_연도       = {{{당원_연도}}}
|이념           = {{{이념}}}
|국제           = {{{국제}}}
|상징색          = {{{상징색}}}
|의석1_제목     = 국회의원 수
|의석수1        ={{{의석수1}}}<!--{{정당 정보/의석|소속 의원수|국회의원 정수|상징색 또는 막대색}}-->
|광역의회       = {{{광역의회}}}
|기초의회       = {{{기초의회}}}
|웹사이트       = {{{웹사이트}}}
}}






유럽의 정당[편집]

{{{이름}}}
{{{원어 이름}}}
[[파일:{{{고로}}}|{{{로고크기}}}]]
로고
약칭 {{{약칭}}}}
{{{언어1}}}명 {{{언어1_이름}}}
{{{언어2}}}명 {{{언어2_이름}}}
표어 {{{표어}}}
상징색 {{{상징색}}}
이념 {{{이념}}}
스펙트럼 {{{스펙트럼}}}
당원({{{당원_연도}}}) {{{당원}}}
국가 재정지원
({{{재정_연도}}})
{{{재정지원}}}
당직자
대표 {{{대표}}}
의장 {{{의장}}}
원내대표 {{{원내대표}}}
창립자 {{{창립자}}}
{{{지도자1_직명}}} {{{지도자1_이름}}}
{{{지도자2_직명}}} {{{지도자2_이름}}}
{{{지도자3_직명}}} {{{지도자3_이름}}}
역사
창당 {{{창당}}}
내부 조직
중앙당사 {{{중앙당사}}}
청년조직 {{{청년조직}}}
{{{부문조직1_제목}}} {{{부문조직1}}}
{{{부문조직2_제목}}} {{{부문조직2}}}
선거연합 {{{선거연합}}}
외부 조직
자매정당 {{{자매정당}}}
유럽정당 {{{유럽}}}
유럽의회 교섭단체 {{{유럽의회}}}
{{{가입조직1_제목}}} {{{가입조직1}}}
의석
유럽의회 {{{유럽의회의석}}}
의회 {{{의회의석}}}
상원 {{{상원의석}}}
하원 {{{하원의석}}}
{{{웹사이트}}}
{{정당 정보
|이름           = {{{이름}}}
|원어 이름       = {{{원어 이름}}}
|로고           = {{{고로}}}
|로고크기        = {{{로고크기}}}
|약칭           = {{{약칭}}}}
|언어1          = {{{언어1}}}       <!-- 원어 이름외에 다른 언어 이름이 있는 경우,"언어1"를 정하고-->
|언어1_이름      = {{{언어1_이름}}} <!-- "언어1_이름"에 해당 언어 정당명을 기입한다.-->
|언어2          = {{{언어2}}}
|언어2_이름      = {{{언어2_이름}}}
|대표           = {{{대표}}}
|의장           = {{{의장}}}
|창립자          = {{{창립자}}}
|원내대표        = {{{원내대표}}}
|지도자1_직명     = {{{지도자1_직명}}} <!-- "최고위원"이나 "부대표"처럼 정의되지 않은 정당지도자를 기입하는 경우 --> 
|지도자1_이름     = {{{지도자1_이름}}} <!-- "지도자1_직명"에 직책이름을 기입하고,"지도자1_이름"에 해당 정치인 이름기입 --> 
|지도자2_직명     = {{{지도자2_직명}}}
|지도자2_이름     = {{{지도자2_이름}}}
|지도자3_직명     = {{{지도자3_직명}}}
|지도자3_이름     = {{{지도자3_이름}}}
|표어            = {{{표어}}}
|창당            = {{{창당}}}
|중앙 당사       = {{{중앙당사}}}
|청년조직        = {{{청년조직}}}
|부문조직1_제목   = {{{부문조직1_제목}}}
|부문조직1       = {{{부문조직1}}}
|부문조직2_제목   = {{{부문조직2_제목}}}
|부문조직2       = {{{부문조직2}}}
|재정지원        = {{{재정지원}}}
|재정_연도       = {{{재정_연도}}}
|당원           = {{{당원}}}
|당원_연도       = {{{당원_연도}}}
|이념           = {{{이념}}}
|스펙트럼        = {{{스펙트럼}}}
|선거연합        = {{{선거연합}}}
|자매정당        = {{{자매정당}}}
|국제           = {{{국제}}}
|유럽           = {{{유럽}}}
|유럽의회        = {{{유럽의회}}}
|가입조직1_제목   = {{{가입조직1_제목}}}
|가입조직1        = {{{가입조직1}}}
|상징색          = {{{상징색}}}
|의회의석       = {{{의회의석}}} <!-- {{정당 정보/의석|해당의회 의석|해당 의회전체 정원|색}} -->
|하원의석       = {{{하원의석}}}
|상원의석       = {{{상원의석}}}
|광역의회       = {{{광역의회}}}
|기초의회       = {{{기초의회}}}
|유럽의회의석    = {{{유럽의회의석}}}
|의석1_제목     = {{{의석1_제목}}} <!-- 앞에 정의되지 않는 의회의석을 표시하는 경우 "의석1_제목"에 항목을 정의하고-->
|의석수1        = {{{의석수1}}}    <!-- "의석수1"에 의석수 기입 {{정당 정보/의석|해당의회 의석|해당 의회전체 정원|색}} -->
|의석2_제목     = {{{의석2_제목}}}
|의석수2        = {{{의석수2}}}
|의석3_제목     = {{{의석3_제목}}}
|의석수3        = {{{의석수3}}}
|의석4_제목     = {{{의석4_제목}}}
|의석수4        = {{{의석수4}}}
|웹사이트       = {{{웹사이트}}}
}}














전체항목[편집]

베니스 위원회는 헌법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유럽평의회 자문기구이다. 1990년 베를린 장벽이 붕괴되고나서 동유럽에 헌법적 조언이 필요하던 시기에 만들어졌다. 이 위원회의 공식 명칭은 법을 통한 민주주의 위원회이지만, 이 위원회가 창립지인 이탈리아의 도시 베니스의 이름을 따 베니스 위원회라 부른다.

조직[편집]

회원국[편집]

파일:Venice Commission.png
  정회원
  준회원
  옵저버
  특수관계 또는 협력

이 위원회는 유럽평의회 회원국 18개국으로 시작했으나, 2002년 비유럽국가에게도 회원 가입 자격을 개방하면서 정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게 됐다. 2010년(??) 현재 57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47개 유럽평의회 회원국과 키르기즈스탄 (2004년), 칠레 (2005년), 대한민국 (2006년), 모로코, 알제리 (2007년), 이스라엘 (2008년), 브라질, 페루 (2009년), 튀니지, 멕시코 (2010년)가 회원국으로 활동하고 있다. 벨라루스는 준회원국이며, 아르헨티나과 캐나다, 일본, 미국, 우루과이, 카자흐스탄, 바티칸 등 7개국은 옵저버로 참여하고 있다.

위원[편집]

"회원국의 헌법이나 국제법 분야의 저명한 학자나 헌법재판소나 대법원 판사 또는 회원국 의회 의원"[1]이 이 위원회의 위원이 된다. 위원의 임기는 4년으로 회원국이 자국 출신 위원을 임명한다. 현재 말타 전대통령 000, 스위스 전 국회의장 0000 등이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면, 대한민국을 대표해 목영준 헌법재판관이 활동하고 있다.

의장[편집]

베니스 위원회의 의장은 2009년 12월부터 Gianni Buquicchio 맡고 있다.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유럽평의회 본부에 있는 베니스 위원회 사무국은 Thomas Markert가 이끌고 있다.

활동[편집]

위원회는 헌법 초안과 헌법 개정에 대해 주로 다루며, 선거법과 같이 준헌법적 법률도 다룬다.

위원회는 회원국이나 유럽평의회, 다른 국제기구의 요청으로 활동을 시작한다. 위원회의 권고사항은 강제성이 없지만 대부분의 경우 회원국이 수용하는 편이다.

위원회의 활동 영역은 다음과 같다.

헌법적 지원[편집]

베니스 위원회는 민주주의 제도의 작동과 인권의 보호를 위해 개별 국가에게 헌법적 문제에 대해 조언이나 지원을 한다. 위워회는 1991년 창립된 이래 최초로 루마니아 헌법제정에 도움을 줬다.

활동방식[편집]

의견을 제시할 때 위원회는 주용 법안을 준비하는 국가에 조언을 해줄 서기 그룹(주로 회중에서 임명한다)을 임명하는 방식으로 활동한다. 이 활동가 그룹은 해당 국가 기관과 논의 후 그 국가의 법률이 민주적 표준에 맞는 지, 경험상 어떻게 개선 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위원회는 의견서 초안을 작성한다. 이 의견서 초안은 베니스 위원회 총회에 논의 채택된다. 일반적으로 해당 국가의 대표도 이 총회에 참석하게 된다. 수용된 수 의견서는 출판되고, 요청한 기관으로 이첩된다.

비지시적 접근[편집]

해당 법률은 위원회의 의견을 수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기는 하지만, 베니스 위원회는 해결책을 제시하는 방식이 아니라 대화에 기반한 비지시적 접근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때문에 위원회는 상활을 가능한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해당 이슈에 관계된 다양한 정치적 행위자들을 만나게 된다.

법률적 조언을 통한 갈등해결[편집]

갈등을 해결하는 정치적 협약은 법률문서로 보증이되어야 한다.

선거와 국민투표, 정당[편집]

민주적 선거 위원회(CDE)는 베니스 위원회와 [[유럽평의회]의 의회와 지방의회, 지방정부의 대표들로 구성된다. 민주적 선거위원회의 목적은

The Council for Democratic Elections (CDE) is made up of representatives of the Venice Commission, the Parliamentary Assembly and the Congress of Local and Regional Authorities of the Council of Europe. The aim of the Council for Democratic Elections is to ensure co-operation in the electoral field between the Venice Commission as a legal body and the Parliamentary Assembly and the Congress of the Council of Europe as political bodies in charge of election observation, in order to promote the European common values in this field – the principles of the European electoral heritage.

The Commission identifies and develops standards in the area of elections through:

   Codes of good practice on elections, on referendums and on political parties
   Opinions - mostly joint ones with OSCE/ODIHR - on electoral legislation
   Workshops for Central Election Commissions (CEC) and Courts
   Assistance missions to CECs and legal advice to the Parliamentary Assembly of the Council of Europe (PACE)
   “Vota” database of electoral legislation

헌법 및 법률적 정의[편집]

국제적 연구와 보고서 작성, 세미나 조직[편집]

입장 표명[편집]

베니스위원회의 주요 입장표명은 신성모독[2].과 선거구획정에 관한 것이다. 2009년 발표한 입장표명에서 "신성모독은 불법이 되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선거구관련 입장표명은 다음과 같다[3]. 권고사항은 아래와 같다.

투표권의 평등: 선거구간 의석은 균등하게 배분되어야 한다.
  1. 이 규정은 최소한 하원과 광역 및 기초 지방의회 선거에 적용되어야 한다.
  2. 선거구간 의석 분배는 다음의 기준 중 하나에 따라 명확하고 균형있게 배분되어야한다. : 인구, 국민의 수(소수민족 포함), 등록 유권자수, 실제 투표자 수- 이 기준들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3. 지리적 기준이나 행정적 (또는 역사적) 경계를 고려할 수도 있다.
  4. 기준으로부터 10%이상 벗어나서는 안되며, (소수 민족이나 인구가 적은 행정구역을 배려하는 것과 같이) 예외적인 경우에도 15%를 벗어나서는 안된다.
  5. 균등한 선거권의 보장을 위해 적어도 10년에 한번씩은 재배정해야 하며, 가능하면 선거기간 이외에 이루어져야 한다.
  6. 중대선거구제인 경우 가능한 한 기존의 행정구역같은 것을 재획정하지 않고 분배되어야 한다.
  7. 소선거구의 선거구를 재획정할 때에는 공정하고, 소수파를 차별하지 않고, 독립적 위원이 다수인 위원회의 의견을 준중해야 한다. 이 위원회에는 지리학자, 사회학자, 균형을 맞춘 정당의 대표, 필요한 경우 소수민주의 대표가 참여해야 한다.

각주[편집]

바깥 고리[편집]

{{정당 정보
|이름           = {{{이름}}}
|원어 이름       = {{{원어 이름}}}
|배경색         = green 또는 #ff0000 형태로 입력
|로고           = {{{고로}}}
|로고크기        = {{{로고크기}}}
|약칭           = {{{약칭}}}}
|언어1          = {{{언어1}}}
|언어1_이름      = {{{언어1_이름}}}
|언어2          = {{{언어2}}}
|언어2_이름      = {{{언어2_이름}}}
|언어3          = {{{언어3}}}
|언어3_이름      = {{{언어3_이름}}}
|언어4          = {{{언어4}}}
|언어4_이름      = {{{언어4_이름}}}
|당수           = {{{당수}}}
|대표           = {{{대표}}}
|의장           = {{{의장}}}
|총재           = {{{총재}}}
|총비서          = {{{총비서}}}
|원내대표        = {{{원내대표}}}
|원내총무         = {{{원내총무}}}
|창준위원장       = {{{창준위원장}}}
|창주위원장       = {{{창주위원장}}}
|초대대표         = {{{초대대표}}}
|창립자          = {{{창립자}}}
|지도자1_직명     = {{{지도자1_직명}}}
|지도자1_이름     = {{{지도자1_이름}}}
|지도자2_직명     = {{{지도자2_직명}}}
|지도자2_이름     = {{{지도자2_이름}}}
|지도자3_직명     = {{{지도자3_직명}}}
|지도자3_이름     = {{{지도자3_이름}}}
|표어            = {{{표어}}}
|창당            = {{{창당}}}
|해산            = {{{해산}}}
|피병합          = {{{피병합}}}
|분당전          = {{{분당전}}}
|선행조직        = {{{선행조직}}}
|통합정당        = {{{통합정당}}}
|후계정당        = {{{후계정당}}}
|중앙 당사       = {{{중앙당사}}}
|신문           = {{{신문}}}
|학생조직        = {{{학생조직}}}
|청년조직        = {{{청년조직}}}
|부문조직1_제목   = {{{부문조직1_제목}}}
|부문조직1       = {{{부문조직1}}}
|부문조직2_제목   = {{{부문조직2_제목}}}
|부문조직2       = {{{부문조직2}}}
|재정지원        = {{{재정지원}}}
|재정_연도       = {{{재정_연도}}}
|당원           = {{{당원}}}
|당원_연도       = {{{당원_연도}}}
|이념           = {{{이념}}}
|스펙트럼        = {{{스펙트럼}}}
|종교           = {{{종교}}}
|선거연합        = {{{선거연합}}}
|자매정당        = {{{자매정당}}}
|교섭단체        = {{{교섭단체}}}
|국제           = {{{국제}}}
|유럽           = {{{유럽}}}
|유럽의회        = {{{유럽의회}}}
|가입조직1_제목   = {{{가입조직1_제목}}}
|가입조직1        = {{{가입조직1}}}
|상징색          = {{{상징색}}}
|의회의석       = {{{의회의석}}}
|하원의석       = {{{하원의석}}}
|상원의석       = {{{상원의석}}}
|광역의회       = {{{광역의회}}}
|기초의회       = {{{기초의회}}}
|유럽의회의석    = {{{유럽의회의석}}}
|의석1_제목     = {{{의석1_제목}}}
|의석수1        = {{{의석수1}}}
|의석2_제목     = {{{의석2_제목}}}
|의석수2        = {{{의석수2}}}
|의석3_제목     = {{{의석3_제목}}}
|의석수3        = {{{의석수3}}}
|의석4_제목     = {{{의석4_제목}}}
|의석수4        = {{{의석수4}}}
|웹사이트       = {{{웹사이트}}}
}}

매개변수[편집]

이 틀은 다양한 정당을 설명하기 위해 많은 매개 변수가 들어가 있으므로, 특정당당의 정보상자에 모든 매개 변수를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정당을 설명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나, 그 정당의 유명한 정보를 표시하는 변수만을 사용해주세요. 비워 두거나 생략한 매개 변수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매개 변수 설명
이름 정당의 명칭. (비워 두면 문서 이름으로 표시됩니다.)
원어 이름 외국 정당의 경우 원어로 정당명을 표기한다.
배경색 배경색을 입력한다.: green, 또는 #ff0000 형태로 입력
로고 정당의 로고
로고크기 150px. 200px형태로 로고의 크기를 정한다. 기입하지 않으면 기본값 200px가 적용된다.
약칭 정당의 약칭을 적는다.: 예를 들어 민주자유당을 민자당으로, 독일 기독교 민주연합을 기민련이나 CDU로 적는 식이다.
언어1-4 원어 이름외에 다른 언어 이름이 있는 경우,"언어1-4"에 "영어", "독일어" 등을 기입하고 영어명, 독일어명로 항목명이 표시한다.
언어1-4_이름 해당 언어로된 정당명을 기입한다.
당수 해당 정당의 당수 이름.
대표
의장
총재
총비서
당수 호칭에 따라 항목을 정하고 당수의 이름을 기입한다.
원내대표 원내대표의 이름을 기입한다. 원내대표의 호칭이 원내총무인 경우 원내총무를 사용한다.
창준위원장
창주위원장
정당의 창당 준비기구의 위원장 이름을 기입한다.
초대대표
창립자
초대 당대표의 이름을 기입한다
지도자1-4_직명 "최고위원"이나 "부대표"처럼 정의되지 않은 정당지도자를 기입하는 경우 직명을 정의해준다
지도자1-4_이름 해당 정당지도자의 이름을 기입한다.
표어 정당의 표어를 기입한다.: 민주노동당의 "일하는 사람들의 희망"같은 정당의 케치프레이즈를 기입한다.
창당 정당의 창당일을 적는다.
해산 정당이 해산한 경우 해산일을 적는다. 해산일을 적으면 정당 지도자는 전 대표, 전 당수식으로 표시된다.
피병합 이 정당에 병합된 정당이 있는 경우 적는다.
분당전 이 정당이 특정 정당의 정치적 분파가 탈당해 창당한 정당인 경우 분당전 소속 정당을 적는다.
선행조직 정당이 창당되기 전에 이 정당의 모태가 되는 조직이나 정당이 있는 경우 기입한다.
통합정당 이 정당이 다른 정당에 병합된 경우, 통합후 탄생된 정당의 이름을 적는다.
후계정당 이 정당이 해산된 후, 해당 정당을 계승한 정당이 있는 경우 그 이름을 적는다.
중앙 당사 중앙당의 소재지를 기입한다.
신문 당보나 정당과 관계된 신문이 있는 경우 이를 기입한다.
학생조직 정당의 학생조직이 있는 경우 이를 기입한다.
청년조직 정당의 청년조직을 기입한다.: 독일 사민당의 청년사회주의자(JUSO)같은 당 청년조직을 적는다.
부문조직1-2_제목 청년조직외의 부문조직 종류를 적는다: 예를 들어 여성조직이나 노동자조직식으로 적는다.
부문조직1-2 해당 부문조직의 이름을 적으면된다.
재정지원 국고보조를 받는 금액을 적는다.
재정_연도 국고보조를 받은 기록이있는 경우, 지급받은 연도를 기입한다.
당원 당원수를 기입한다.
당원_연도 당원수 자료의 집계 연도를 기입한다.
이념 정당의 정치적 이념을 적는다.: 중도좌파, 중도우파, 극우 등으로 기입한다.
스펙트럼 정치적 스펙트럼을 적는다.
종교 정당의 종교적 성향이 있는 경우 기입한다.
선거연합 정당이 다른 정당과 연합해 선거에 참여하는 경우, 해당 선거연합을 기입한다.
자매정당 자매정당이 있는 경우 기입한다. : 독일의 기민련과 기사련이나, 벨기에의 왈롱 사회당과 플랑드르 사회당의 관계가 자매정당 관계다.
교섭단체 정당이 다른 정당이나 정치세력과 원내 교섭단체를 함께 구성하는 경우나 교섭단체명이 정당명과 다른 경우 기입한다.
국제 정당이 가입한 국제 정당조직의 명칭을 기입한다.
유럽 정당이 유럽지역 정당으로 유럽정당에 소속되어 있는 경우, 유럽정당의 이름을 기입한다.
유럽의회 정당이 유럽연합국가의 정당으로 유럽의회에 의원이 있는 경우 이들이 소속된 유럽의회 교섭단체를 기입한다.
가입조직1_제목 국제 정당조직과 유럽정당 외에 정당이 참여하고 있는 (지역)국제 정당조직이 있는 경우 그 분류를 기입한다.
가입조직1 (지역) 국제 정당 조직을 적는다.
상징색 정당의 상징색이 있는 경우 기입한다.
의회의석 정당이 해당 국가 의회에 의석을 갖고 있는 경우 적는다.{{정당 정보/의석|해당의회 의석|해당 의회전체 정원|색}}으로 기입한다.
하원의석 양원제인 경우 해당 정당의 하원의석수. 의회의석 동일한 방식으로 기입
상원의석 양원제인 경우 해당 정당의 상원의석수. 의회의석 동일한 방식으로 기입
광역의회 정당의 기초의회 의석수. 의회의석 동일한 방식으로 기입
기초의회 정당의 광역의회 의석수: 한국의 경우 시도의회 의원수, 연방국가의 경우 주의회 의원수. 의회의석 동일한 방식으로 기입
유럽의회의석 유럽연합 국가의 정당인 경우 유럽의회 의원수. 의회의석 동일한 방식으로 기입
의석1-4_제목 위의 의회외에 의회가 존재하는 경우 제목을 정의한다.: 일본의회의 경우 상원대신 참의원을 사용하거나, 벨기에 처럼 위에서 언급한 의회외에 언어권의회가 있는 경우 이를 적는다.
의석1-4 해당의회의 의석수를 적는다. 의회의석 동일한 방식으로 기입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 비공식 웹사이트는 문서의 == 바깥 링크 == 단락에 나열합니다.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