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Gaepakchinae/연습장/지연행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지연행동(Procrastination)은 특정한 기한까지 해야 할 일을 회피하는 경향을 말한다.[1] It could be further stated as a habitual or intentional delay of starting or finishing a task despite knowing it might have negative consequences.[2] It is a common human experience involving delay in everyday chores or even putting off salient tasks such as attending an appointment, submitting a job report or academic assignment, or broaching a stressful issue with a partner. Although typically perceived as a negative trait due to its hindering effect on one's productivity often associated with depression, low self-esteem, guilt and inadequacy;[3] 또한 위험하거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거나 새로운 정보를 기다려야 할 필요가 있는 어떤 일에 대한 이유 있는 반응으로 볼 수도 있다. it can also be considered a wise response to certain demands that could present risky or negative outcomes or require waiting for new information to arrive.[4]

문화적 측면으로는, 학생들은 서구권, 비서구권을 막론하고 학업적 지연행동을 보였지만, 이유는 제각각이다. 서구권의 학생들은 그들이 해야 하는 만큼 배우는 데 실패한 후, 혹은 그 전에 그동안 해온 만큼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지연하는 경향이 있지만, 비서구권의 학생들은 무능력자로 보이지 않기 위해, 혹은 학우들 앞에서 무능력한 모습을 보이지 않기 위해 지연하는 경향이 있다.[5] 시간관리에 대한 문화적 측면의 차이가 어떻게 지연행동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시간에 관한 multi-active 시각을 가진 문화권에서는 사람들은 어떤 일을 마무리짓기 전에 정확하게 해내는 것에 높은 가치를 두는 경향이 있다. 시간에 관해 선형적 시각을 가진 문화권에서는 사람들은 어떤 업무에 특정한 양의 시간을 지정하고, 시간이 지나면 일이 끝나든 말든 멈추는 경향이 있다.[6]

지연행동의 (학업적/비학업적, 행동적/결정적 따위의) 다양한 유형은 제각각 기저를 이루는 원인, 영향이 있다. 오늘날의 문헌들 중에서 제일 저명한 설명은 "Intemporal discounting, task averseness and certain personality traits such as indecisiveness and distractibility"을 지연행동의 일반적인 원인으로 보는 것이다. as the common causes of procrastination.[출처 필요]

보상을 지연했을 경우 비둘기의 행동패턴에 대한 연구는 지연행동은 사람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7] 실험을 통해 비둘기가 "지연행동"을 보인다는 명백한 증거를 찾아냈는데, 비둘기는 쉽지만 당장 해내야 하는 업무보다 복잡하지만 나중에 해도 되는 업무를 고르기를 선호했다.[8]

어원[편집]

라틴어: procrastinare, pro-, '앞으로' 와, "cras", '내일' 에서 유래한 -crastinus, '내일까지'

만연성[편집]

1984년에 출간된, 버몬트 대학교에서 수행된 학업적 지연행동에 관한 연구는 대상의 46%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always" or "nearly always" procrastinate writing papers, while approximately 30% reported procrastinating studying for exams and reading weekly assignments (by 28% and 30% respectively). Nearly a quarter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procrastination was a problem for them regarding the same tasks. However, as many as 65% indicated that they would like to reduce their procrastination when writing papers, and approximately 62% indicated the same for studying for exams and 55% for reading weekly assignments.[9]

1992년의 연구는 "조사 대상이 된 학생들의 52%는 지연행동을 고려한 도움을 줄 필요가 어느 정도, 혹은 많이 있었다. of surveyed students indicated having a moderate to high need for help concerning procrastination."는 것을 보였다[10] It is estimated that 80–95% of college students engage in procrastination, and approximately 75% consider themselves procrastinators.

대학생들을 상대로 수행한 연구에서, In a study performed on university students, procrastination was shown to be greater on tasks that were perceived as unpleasant or as impositions than on tasks for which the student believed they lacked the required skills for accomplishing the task.[11]

산업계에서의 지연행동도 참고할만하다. 한 예술 저널에 올라온 연구,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and Personal Factors on Procrastination in Employees of a Modern Russian Industrial Enterprise published in the Psychology in Russia'는 직원들의 미루는 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식별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요소 중에는 수행 평가의 강도, 회사에서 차지하는 업무의 중요성, 관리와/또는 상위 수준의 결정에 대한 개인적인 인지와 의견 따위가 있었다.[12]

행동에 관한 학업 지연행동 기준[편집]

그레고리 슈로우(Gregory Schraw), 테레사 와킨스(Theresa Wadkins), 로리 올라프슨(Lori Olafson)은 2007년에 학업 지연행동으로 분류될 수 있는 행동에 대한 세 가지 판별 기준을 제안하였다: 비생산적이고, 쓸모 없고, 질질 끌어야 한다.[13] 스틸(Steel)은 지연행동을 정의하기 위한 이전의 모든 시도를 reviewed all previous attempts to define procrastination, 했고, 2007년의 연구에서 지연행동은 ""라고 결론내렸다.and concluded in a 2007 study that procrastination is "to voluntarily delay an intended course of action despite expecting to be worse off for the delay."[14] Sabini & Silver 는 연기와 비합리성은 지연행동의 두 가지 주요 특징이다. 그들은 업무를 미루는 데 합리적인 이유가 있다면 지연행동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동기부여 핵심 이론 몇 가지를 통합하고 지연행동에 대해 메타분석적 연구를 수행하는 접근방식은 temporal motivation theory이라고 불리는데, 지연 행동의 핵심 예측인자 (기대, 가치관, 충동성) 를 수학적인 방정식으로 요약한다. It summarizes key predictors of procrastination (expectancy, value, and impulsiveness) into a mathematical equation.[14]

심리적 측면[편집]

쾌락원칙(:en:Pleasure principle (psychology))은 지연행동을 야기할 수 있다; 사람은 스트레스받는 업무가 야기하는 부정적인 감정을 회피하는 것을 선호한다. 미룬 업무의 마감이 다가올수록 스트레스는 늘어나고, 그리하여 스트레스를 피하기 위해 더더욱 미루는 것을 선택할 수도 있다.[15] 어떤 심리학자들은 대응기제와 같은 그런 행동과 불안이 Some psychologists cite such behavior as a mechanism for coping with the anxiety associated with starting or completing any task or decision.[16] Piers Steel는 indicated in 2010 that anxiety is just as likely to induce people to start working early as late, and that the focus of studies on procrastination should be impulsiveness. 즉, 불안으로 인해 일을 미루는 사람은 충동적인 사람들 뿐이다.[17]

대처 반응[편집]

지연행동에 대한 부정적 대응(:en:Coping (psychology))방식은 과제지향적이거나 문제 해결에 집중하기보다는 회피적이거나 감정적인 경향이 있다. 감정적이고 회피적인 대응은 의도된, 중요한 개인적인 목표를 지연하는 것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인지적 부조화)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선택지는 즉각적인 기쁨을 제공하며, 따라서 성취할 수 있는 목표가 가까이에 있을 때 충동적으로 미뤄버리는 사람들에게는 굉장히 매력적이다.[18][19] 프로이드식 방어기제, 대응 방식, 자기제약(en:self-handicapping)과 유사한 몇 가지 감정 지향 전략이 존재한다.

미루는 사람들의 대응 반응은 다음을 포함한다.[출처 필요]

  • 회피(:en:Avoidance coping): 업무가 자리한 장소나 상황을 회피(e.g. 대학생이 대학교 안으로 들어가기를 회피).
  • 거부(en:Denial)와 진부화(:en:Trivialization (psychology)): 미루는 행동이 실제로는 미루는 것이 아니라 미루는 일보다 더 중요한 업무인 척, 혹은 어떤 업무를 반드시 해내야 하지만 꼭 당장 해야 할 필요는 없는 척 하기
  • 왜곡: 주어진 업무를 떠올리지 않기 위해 다른 행동에 몰두하는 것(e.g. 비디오 게임, 인터넷 서핑(en:Cyberslacking)). The subject is very sensitive to instant gratification and becomes absorbed in coping behaviors beyond self-restraint.
  • 하향식 반사실성(:en:Counterfactual thinking): 미룬 결과를 다른 사람의 더 나쁜 상황과 비교하기 (e.g. "그래. 내가 공부를 미뤄서 B 학점을 받았지만, 다른 누군가처럼 F를 받지는 않았어.")
  • 가치변경(Valorisation): 무언가를 했어야 할 때 한 다른 것을 이루어서 얻은 만족감으로 시선을 돌리기
  • 비난: 외부 요인에 대한 망상적인 탓하기. 예컨대 사람이 통제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선 외부의 강제력 때문이라고 합리화하기 (e.g. "난 보통 일을 미루지는 않는데, 이 과제는 너무 빡세.")
  • 조롱: 미루기를 정당화하기 위해 유머 사용하기. 미루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노력을 비판하고 조롱하기 위해 슬랩스틱이나 엉성한 방식을 사용한다.

미루는 사람은 전망을 떠올릴 때마다 업무, 문제 해결 수단을 실행하려는 부담을 느낀다. 그러한 조치를 취한다면 계속해서 미룰 가능성은 낮아지지만, 다시 미루기 시작할 가능성을 줄이고 없애기 위해 스스로의 행동과 상황을 능동적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2006년에는 신경질성(en:neuroticism)과 지연행동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지 않으며, 둘의 관계는 언제나 성실성(en:conscientiousness)을 사이에 둔다고 제안되었다.[20] 1982년에는 비이성성은 지연행동의 본질적인 특징이라고 제안되었다. "마지막까지마저 미루는 것은 만일 그들이 그 순간만을 take한다고 믿을 이유가 있다면 지연행동이 아니다. Putting things off even until the last moment isn't procrastination if there is a reason to believe that they will take only that moment".[21] Steel et al. explained in 2001, "actions must be postponed and this postponement must represent poor, inadequate, or inefficient planning".[22]

문화적 측면[편집]

홀리 맥그리거(Holly McGregor) & 앤드류 엘리엇(Andrew Elliot) (2002); 크리스토퍼 월터스(Christopher Wolters) (2003) 에 따르면, 대학생들 사이의 학업 지연행동은 수행-회피 지향(performance-avoidance orientation)과 관련이 있는데, 이는 성취지향(:en:achievement orientation)의 네 가지 요소모형 중 한 요소이며, academic procrastination among portions of undergraduate students has been correlated to performance-avoidance orientation which is one factor of the four factor model of achievement orientation.[5] Andrew Elliot and Judith Harackiewicz (1996) 는 수행-회피 지향 성향이 있는 학생들은 그들의 동료와의 비교를 걱정하는 경향이 있다는 걸 보여주었다. 이 학생들은 모자란 것처럼 보이기 원하지 않기 때문에, 또는 능력 부족을 보여주는 것을 피하고 급우들 앞에서 능숙한 모습만을 보여주고 싶기 때문에 지연한다.[5]

Gregory Arief Liem and Youyan Nie (2008) 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문화적인 가치와 신념에 크게 동조하기 때문에 문화적인 특성이 성취지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5] Sonja Dekker and Ronald Fischer가 수행한, 13개의 사회에 대한 메타분석은 (2008) 서구 문화권의 학생들은 meta-analysis across thirteen different societies revealed that students from Western cultures tend to be motivated more by mastery-approach orientation because the degree of incentive value for individual achievement is strongly reflective of the values of Western culture. By contrast, most students from Eastern cultures have been found to be performance-avoidance orientated. They often make efforts to maintain a positive image of their abilities, which they display while in front of their peers.[5] 게다가 헤이젤 로즈 마커스(Hazel Rose Markus)와 키타야마 시노부(1991)는 비서구 문화의 사람들은 성취를 통해 부각을 드러내기보다는, 다양한 대인관계의 일부가 되고, 가까운 사람들과 동조함으로서 동기를 얻는 경향을 보였다.[5]

Research by Sushila Niles (1998) with Australian (Western) students and Sri Lankan (Eastern) students confirm these differences, revealing that Australian students often pursued more individual goals, whereas Sri Lankan students usually desired more collaborative and social goals.[5] Kuo-Shu Yang and An-Bang Yu는 여러 차례 연구를 수행했으며(1987, 1988, 1990), 일본, 중국의 학생들은 대부분 개인적인 성취가 아니라, 가족 관계에 따른 의무와 책무를 만족시키는지에 따라 평가가 좌우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5] Yang and Yu (1987)는 have also shown that Collectivism and Confucianism are very strong motivators for achievement in many non-Western cultures because of their emphasis on cooperation in the family unit and community.[5] Guided by these cultural values, it is believed that the individual intuitively senses the degree of pressure that differentiates his or her factor of achievement orientation.[5]

건강적 측면[편집]

해야 할 일을 미루는 건 어느 정도까지는 정상(:en:Normality (behavior))이며, 업무들 사이에 우선순위를 매기는 수단이 될 수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정말로 가치가 높은 업무일수록 미루는 빈도가 낮기 때문이다.[23] 반면에 지나친 미루기는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정상적인 기능을 저해할 수 있다. 이렇게 될 경우 미루기는 건강 문제, 스트레스,[24] 불안, 죄책감위기의 감각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생산성의 저하, 책임과 약속을 완수하지 못함에 따른 사회적인 반감을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느낌들은 해야 할 일을 더더욱 미루도록 할수도 있으며, 어떤 사람들은 거의 만성(:en:Chronic condition)적으로 미루기도 한다. 어떤 미루는 사람들은 Such procrastinators may have difficulties seeking support due to procrastination itself, but also social stigma and the belief that task-aversion is caused by laziness, lack of willpower or low ambition. In some cases problematic procrastination might be a sign of some underlying psychological disorder, but not necessarily.[14]

미루기의 심리학적 근원에 대한 연구는 충동조절(:en:impulse control), 주의집중, 계획과 같은 전액골 피질(:en:prefrontal cortex)의 역할 Research on the physiological roots of procrastination have been concerned with the role of the prefrontal cortex,[25] the area of the brain that is responsible for executive brain functions such as impulse control, attention and planning. This is consistent with the notion that procrastination is strongly related to such functions, or a lack thereof. The prefrontal cortex also acts as a filter, decreasing distracting stimuli from other brain regions. Damage or low activation in this area can reduce one's ability to avert diversions, which results in poorer organization, a loss of attention, and increased procrastination. This is similar to the prefrontal lobe's role in ADHD, where it is commonly underactivated.[26]

In a 2014 U.S. study surveying procrastination and impulsiveness in fraternal- and identical twin pairs, both traits were found to be "moderately heritable". The two traits were not separable at the genetic level (rgenetic = 1.0), meaning no unique genetic influences of either trait alone was found.[27] The authors confirmed three constructs developed from the evolutionary hypothesis that procrastination arose as a by-product of impulsivity: "(a) Procrastination is heritable, (b) the two traits share considerable genetic variation, and (c) goal-management ability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is shared variation."[27]

관리[편집]

심리학자 윌리엄 J. 크나우스(William J. Knaus)는 대학생의 90% 이상이 공부를 미룬다고 평가하였다.[28] 미루는 학생들의 25%가 만성적으로 미루곤 하며 대개 중퇴라는 형태로 도망쳐버린다.

완벽주의는 미루기의 주된 원인인데,[29] 완벽이라는 이룰 수 없는 목표를 추구한 결과 실패하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이다. 비현실적인 기대는 자아존중감을 파괴하고 스스로를 무시, 경멸하도록 하며 전반적인 우울감을 가져온다. 지연행동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실패의 힘을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한다.[30] 잘못과 흠결에 집중하기를 그만두고, 좀 더 달성하기 쉬운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서 말이다.

미루기를 줄이는 행동과 실천은 다음과 같다:[출처 필요]

  • 미루기로 이어지는 습관과 생각에 대한 인지.
  • 집중에 대한 공포, 걱정, 집중에 대한 어려움, 저조한 시간관리, 유유부단함, 완벽주의 따위의 자기패배적 문제에 필요한 도움 구하기
  • 개인적인 목표, 강점, 약점, 우선순위에 대한 공정한 평가
  • 현실적인 목표와, 업무와 견고하고 의미있는 목표 사이의 긍정적인 연결[31]
  • 매일마다의 활동을 구축하고 조직화[31]
  • 새로운 관점을 위해 주변 환경을 수정하는 것: 소음이나 주의를 흐트러뜨리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고, 관련 있는 문제에 노력을 투자하고, 낮잠을 자지 않기[31]
  •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해 스스로를 다스리는 것[31]
  • 즐길 수 있는 활동, 사교적이고 건설적인 취미를 통한 동기부여
  • 문제 전체를 한 번에 다루려 시도하여 질려버릴 위험부담을 지는 대신 작은 시간단위로 조각조각 나누어 접근하기
  • 지연행동의 재발을 막기 위해, 필요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목표를 강제하고, 균형을 맞추기 위해 스스로에게 업무를 성취했을 때 보상을 주기

업무를 완수하기 위해 견고한 스케줄 형식에 따라 계획을 짜는 것이 모두에게 잘 들어맞지는 않는다. 생산성을 떨어뜨린다고 밝혀진다면 그러한 과정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 사람에 따라서는 계획을 딱딱하게 짜는 대신, 필요한 활동의 목록만을 만든 다음 유연하고 구조화되지 않은 스케쥴에 따라 업무를 실행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다.[32]

피어스 스틸(Piers Steel)은 힘이 나는 시간대("아침형 인간", "올빼미형 인간" 등)를 인지하고 활용하는 등 더 나은 시간관리가 지연행동을 극복할 열쇠라고 말하였다.[33] 좋은 접근법은 신체의 생주기리듬(:en:circadian rhythm)을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것인데, 제일 까다롭고 생산적인 작업에 제일 큰 효과를 발휘한다. 스틸은 문제를 제시간에 다루고 "작은 성공"을 마음 속에 아로새기기 위해 현실적인 목표를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언급하였다. 브라이언 오리어리(Brian O'Leary)는 "워라밸을 맞추는 것은... 좀 더 생산적인 길을 찾는 데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고 보충했으며, 여가활동의 향유를 동기부여로 활용하면 업무 수행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34] 미루는 습관은 불치병이 아니다. 이를 염려하는 사람들은 미루지 않는 법을 배울 수 있고, 일을 미루곤 하는 사람들은 다른 수행방식, 수행전략을 찾아서 집중을 돕고 지연에 대한 충동을 회피할 수 있다.[35]

철학자 존 페리(:en:John Perry (philosopher))는 스스로의 미루는 습관에 대해 고려한 후에 "구조화된 미루기"라고 이름붙인 수필을 집필했는데,[36] 그는 미루기를 방해하기 위한 좀 더 안전한 방법으로 "치트" 방법을 제안하였다: 우선순위에 따라 완수할 필요가 있는 즐겁지 않은 업무를 해내도록 강제하기 위해 피라미드 전략(:en:pyramid scheme)을 사용하는 것이다.

부정적인 영향[편집]

어떤 사람들은 미루는 습성을 그만둘 수 없으며 매일매일 끔찍한 대가를 치르곤 한다. 이럴 경우 미루기는 심리장애의 증상일 수도 있다. 미루기는 우울증, 비이성적 행동, 낮은 자아존중감, 불안이나 ADHD따위의 신경질환과 같은 수많은 질병들과 연관되어 있다. 또한 미루기는 죄책감[37], 스트레스[24]와도 연관되어있다. 따라서 이는 만성적으로 미루는 사람들에게 중요하며,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people whose procrastination has become chronic and is perceived to be debilitating to seek out a trained therapist or psychiatrist to investigate whether an underlying mental health issue may be present.[38] 정신건강의 문제가 존재하는지 아닌지 조사하기 위해 숙련된 심리치료사정신과의를 찾기

미루는 사람들은 마감기한이 멀리 있을 때는 미루지 않는 사람들보다 스트레스와 심리적 고통을 훨씬 적게 겪는다. 하지만 마감기한이 다가올수록 이 관계는 역전된다. 미루는 사람들은 더 많은 스트레스, 많은 심리적인 증상이나 고통을 겪으며 병원에 더 자주 방문하고,[24] 전체적으로 미루는 사람들이 더 많은 스트레스와 건강 문제를 겪는다.

관련요소[편집]

지연행동은 업무선호성에서 낮은 자아존중감, 불안감, 우울감에 이르는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관계의 복잡한 배열과 연관되어 있다.Procrastination has been linked to the complex arrangement of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relationships from task desirability to low self esteem and anxiety to depression.[9] A study found that procrastinators were less future-oriented than their non-procrastinator counterparts. This result was hypothesized to be in association with hedonistic perspectives on the present; instead it was found procrastination was better predicted by a fatalistic and hopeless attitude towards life.[39]

밤에 늦게 자고, 아침에 늦게 일어나곤 하는 사람들을 상대로 지연행동과 저녁형(:en:Morningness–eveningness questionnaire)과의 연관성을 조사한 적이 있었다.[출처 필요] 이를 통해 나이가 들수록 아침형 경향이 강해지고, 미루는 일은 나이가 들수록 줄어든다는 것이 밝혀졌다.[14][40]

완벽주의[편집]

미루기는 전통적으로 완벽주의, 즉 과정과 결과를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자신의 능력을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는 것에 극도의 공포와 회피성을 보이며, 사회적인 자아의식과 불안이 고조되어있고, 우울해하곤 하며, 일중독증에 걸려있는 경향과 깊게 연관되어 있다고 여겨졌다. 하지만 적응성 완벽주의자(adaptive perfectionist), 즉 자아동조성(en:egosyntonic) 완벽주의자는 완벽주의자가 아닌 사람들보다 덜 미루는 경향이 있으며, Traditionally, procrastination has been associated with perfectionism: a tendency to negatively evaluate outcomes and one's own performance, intense fear and avoidance of evaluation of one's abilities by others, heightened social self-consciousness and anxiety, recurrent low mood, and "workaholism". However, adaptive perfectionists—egosyntonic perfectionism—were less likely to procrastinate than non-perfectionists, while maladaptive perfectionists, who saw their perfectionism as a problem—egodystonic perfectionism—had high levels of procrastination and anxiety.[41] In a regression analysis study of Steel, from 2007, it is found that mild to moderate perfectionists typically procrastinate slightly less than others, with "the exception being perfectionists who were also seeking clinical counseling".[14]

학업[편집]

교육학 교수 Hatice Odaci에 따르면, 많은 대학생들이 인터넷을 사용하는 데 있어 효율적으로 시간 관리하는 기술이 모자라기 때문에, 그러한 사람들에게는 대학에 다니는 동안 학업적 지연행동이 중대한 문제가 된다. 또한 Odaci는 대부분의 대학이 24시간 무료 고속 인터넷을 제공하는데, 어떤 학생들은 이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인터넷 사용을 절제하지 못한 결과 학생들은 산만함에 빠지고, 해야 할 일을 미루게 된다고 지적했다.[42]

"학생 증후군(:en:Student syndrome)"은 학생들이 마감 직전에만 업무에 온 힘을 다하기 시작하는 현상을 지칭한다. 이는 개별적인 업무에 소요되는 시간(:en:Duration (project management))을 평가(:en:project management)하는 This negates the usefulness of any buffers built into individual task duration estimates. 2002년에 이루어진 연구를 통해 많은 학생들이 해야 할 일을 미루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며, Results from a 2002 study indicate that many students are aware of procrastination and accordingly set binding deadlines long before the date for which a task is due. These self-imposed binding deadlines are correlated with a better performance than without binding deadlines though performance is best for evenly spaced external binding deadlines. Finally, students have difficulties optimally setting self-imposed deadlines, with results suggesting a lack of spacing before the date at which results are due.[43] In one experiment, participation in online exercises was found to be five times higher in the final week before a deadline than in the summed total of the first three weeks for which the exercises were available. Procrastinators end up being the ones doing most of the work in the final week before a deadline.[22]

Other reasons cited on why students procrastinate include fear of failure and success, perfectionist expectations, as well as legitimate activities that may take precedence over school work, such as a job.[44]

Procrastinators have been found to receive worse grades than non-procrastinators. Tice et al. (1997) report that more than one-third of the variation in final exam scores could be attributed to procrastination.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procrastin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is recurring and consistent. Howell et al. (2006) found that, though scores on two widely used procrastination scales[9][45]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grade received for an assignment, self-report measures of procrastination on the assessment itself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grade.[46]

2005년에 Angela Chu and Jin Nam Choi가 수행하여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에 게재된 연구는, Ellis & Knaus의 1977년의 work에 따라 지연행동을 자율규제된 수행의 부재로 정의하여 일을 미루는 사람들이 업무를 수행하는 방식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들은 연구에서 지연행동을 두 부류로 정의하였다: 전통적인 개념인 수동적인 지연행동, 오직 압박을 받을 때만 목표지향활동에 즐거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저지르는 능동적인 지연행동이다. The study calls this active procrastination positive procrastination, as it is a functioning state in a self-handicapping environment.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active procrastinators have more realistic perceptions of time and perceive more control over their time than passive procrastinators, which is considered a major differentiator between the two types. But surprisingly, active and passive procrastinators showed similar levels of academic performance.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college students and the majority of the sample size were women and Asian in origin. Comparisons with chronic pathological procrastination traits were avoided.[47]

Different findings emerge when observed and self-reported procrastination are compared. Steel et al. constructed their own scales based on Silver and Sabini's "irrational" and "postponement" criteria. They also sought to measure this behavior objectively.[22] During a course, students could complete exam practice computer exercises at their own pace, and during the supervised class time could also complete chapter quizzes. A weighted average of the times at which each chapter quiz was finished formed the measure of observed procrastination, whilst observed irrationality was quantified with the number of practice exercises that were left uncompleted. Researchers found that there was only a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observed and self-reported procrastination (r = 0.35). There was a very strong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exercises completed and the measure of postponement (r = −0.78). Observed procrastination was very strong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urse grade (r = −0.87), as was self-reported procrastination (though less so, r = −0.36). As such, self-reported measures of procrastination, on which the majority of the literature is based, may not be the most appropriate measure to use in all cases. It was also found that procrastination itself may not hav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poorer grades. Steel et al. noted that those students who completed all of the practice exercises "tended to perform well on the final exam no matter how much they delayed."

학생들은 다른 사람들에 비해 미루는 사람들이 널려있으며, 70% 이상의 학생들이 어느 정도는 일을 미룬다고 보고되었다.[48] 독일에서 2014년에 수천 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행된 panel study는 학업적 지연행동이 늘어나면 일곱 가지의 학업적인 비행의 빈도가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는데, 즉, 거짓 핑계, 표절, 컨닝, 시험을 볼 때 금지된 수단을 사용하는 것, 시험장에 금지된 물건을 들고 오는 것, 다른 사람의 숙제의 일부를 베끼는 것, 데이터의 위조 등등이다. 이 연구는 학업적인 비행은 수행장애와 같은 학업적인 지연행동의 부정적인 행동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볼 수 있다고 말한다. from Germany among several thousand university students found that increasing academic procrastination increases the frequency of seven different forms of academic misconduct, i.e., using fraudulent excuses, plagiarism, copying from someone else in exams, using forbidden means in exams, carrying forbidden means into exams, copying parts of homework from others, fabrication or falsification of data and the variety of academic misconduct. This study argues that academic misconduct can be seen as a means to cope with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such as performance impairment.[49]

참고문서[편집]

각주[편집]

  1. Karen K. Kirst-Ashman; Grafton H. Hull, Jr. (2016). 《Empowerment Series: Generalist Practice with Organizations and Communities》. Cengage Learning. 67쪽. ISBN 978-1-305-94329-2. 
  2. Ferrari, Joseph (June 2018). “Delaying Disposing: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rastination and Clutter across Generations”. 《Current Psychology》. (New Brunswick, N.J.) (1046-1310), 37 (2) (2): 426–431. doi:10.1007/s12144-017-9679-4. 
  3. Duru, Erdinç; Balkis, Murat (June 2017) [31 May 2017]. “Procrastination, Self-Esteem, Academic Performance, and Well-Being: A Moderated Mediation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 (2): 97–119. doi:10.17583/ijep.2017.2584 – ed.gov 경유. 
  4. Bernstein, Peter (1996). 《Against the Gods: The remarkable story of risk》. 15쪽. 
  5. Ganesan; 외. (2014). “Procrastination and the 2 x 2 achievement goal framework in Malaysian undergraduate students” (PDF). 《Psychology in the Schools》 51 (5): 506–516. doi:10.1002/pits.21760. 
  6. Communications, Richard Lewis, Richard Lewis. “How Different Cultures Understand Time”. 《Business Insider》. 2018년 12월 5일에 확인함. 
  7. Mazur, James (1998). “Procrastination by Pigeons with Fixed-Interval Response Requirements”. 《Experimental Analysis Behav》 69 (2): 185–197. doi:10.1901/jeab.1998.69-185. PMC 1284653. PMID 9540230. 
  8. Mazur, J E (January 1996). “Procrastination by pigeons: preference for larger, more delayed work requirements.”. 《Journal of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Behavior》 65 (1): 159–171. doi:10.1901/jeab.1996.65-159. ISSN 0022-5002. PMC 1350069. PMID 8583195. 
  9. Solomon, LJ; Rothblum (1984). “Academic Procrastination: Frequency and Cognitive-Behavioural Correlates” (PDF). 2016년 7월 2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10. Gallagher, Robert P.; Golin, Anne; Kelleher, Kathleen (1992). “The Personal, Career, and Learning Skills Need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33 (4): 301–10. 
  11. Norman A. Milgram; Barry Sroloff; Michael Rosenbaum (June 1988). “The Procrastination of Everyday Lif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2 (2): 197–212. doi:10.1016/0092-6566(88)90015-3. 
  12. Barabanshchikova, Valentina V.; Ivanova, Svetlana A.; Klimova, Oxana A. (2018).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and Personal Factors on Procrastination in Employees of a Modern Russian Industrial Enterprise”. 《Psychology in Russia: State of the Art》 11 (3): 69–85. doi:10.11621/pir.2018.0305. 
  13. Schraw, Gregory; Wadkins, Theresa; Olafson, Lori (2007). “Doing the Things We Do: A Grounded Theory of Academic Procrastin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9: 12–25. doi:10.1037/0022-0663.99.1.12. 
  14. Steel, Piers (2007). “The Nature of Procrastination: A Meta-Analytic and Theoretical Review of Quintessential Self-Regulatory Failure” (PDF). 《Psychological Bulletin》 133 (1): 65–94. CiteSeerX 10.1.1.335.2796. doi:10.1037/0033-2909.133.1.65. PMID 17201571. 2013년 4월 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15. Pychyl, T. (2012년 2월 20일). “The real reasons you procrastinate — and how to stop”. 《The Washington Post》. 2012년 2월 20일에 확인함. 
  16. Fiore, Neil A (2006). 《The Now Habit: A Strategic Program for Overcoming Procrastination and Enjoying Guilt-Free Play》. New York: Penguin Group. 5쪽. ISBN 978-1-58542-552-5. 
  17. Steel, Piers (2010). 《The Procrastination Equation: How to Stop Putting Things Off and Start Getting Stuff Done》. New York: HarperCollins. ISBN 978-0-06-170361-4. [쪽 번호 필요]
  18. Gendler, Tamar Szabó (2007). “Self-Deception As Pretense”. 《Philosophical Perspectives》 21: 231–58. doi:10.1111/j.1520-8583.2007.00127.x. 
  19. Gosling, J. (1990). 《Weakness of the Will》. New York: Routledge. [쪽 번호 필요]
  20. Lee, Dong-gwi; Kelly, Kevin R.; Edwards, Jodie K. (2006). “A Closer Look at the Relationships Among Trait Procrastination,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0: 27–37. doi:10.1016/j.paid.2005.05.010. 
  21. Sabini, J. & Silver, M. (1982) Moralities of everyday life, p. 128
  22. Steel, P.; Brothen, T.; Wambach, C. (2001). “Procrastination and Personality, Performance and Mood”.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 95–106. doi:10.1016/S0191-8869(00)00013-1. 
  23. Pavlina, Steve (2010년 6월 10일). “How to Fall in Love with Procrastination”. 2013년 4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18일에 확인함. 
  24. Tice, DM; Baumeister, RF (1997). “Longitudinal Study of Procrastination, Performance, Stress, and Health: The Costs and Benefits of Dawdling”. 《Psychological Science》 8 (6): 454–58. CiteSeerX 10.1.1.461.1149. doi:10.1111/j.1467-9280.1997.tb00460.x. JSTOR 40063233. 
  25. Evans, James R. (2007년 8월 8일). 《Handbook of Neurofeedback: Dynamics and Clinical Applications》. Psychology Press. 293쪽. ISBN 978-0-7890-3360-4. 2012년 6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0월 8일에 확인함. 
  26. Strub, RL (1989). “Frontal Lobe Syndrome in a Patient with Bilateral Globus Pallidus Lesions”. 《Archives of Neurology》 46 (9): 1024–27. doi:10.1001/archneur.1989.00520450096027. PMID 2775008. 
  27. Gustavson, Daniel E; Miyake A; Hewitt JK; Friedman NP (2014년 4월 4일). “Genetic Relations Among Procrastination, Impulsivity, and Goal-Management Ability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ary Origin of Procrastination”. 《Psychological Science》 25 (6): 1178–88. doi:10.1177/0956797614526260. PMC 4185275. PMID 24705635. 
  28. Ellis and Knaus, 1977
  29. Hillary Rettig (2011). The 7 Secrets of the Prolific: The Definitive Guide to Overcoming Procrastination, Perfectionism, and Writer's Block
  30. James Prochaska, 1995
  31. Macan, Therese Hoff (1994). “Time management: Test of a process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9 (3): 381–391. CiteSeerX 10.1.1.455.4283. doi:10.1037/0021-9010.79.3.381. ISSN 0021-9010. 
  32. Burka & Yuen (1990). Procrastination: Why You Do It, What To Do About It
  33. The Procrastination Equation, 2012
  34. “Work-Life: Is Productivity in the Balance?”. 《HBS Working Knowledge》. 2004년 7월 5일. 2018년 8월 24일에 확인함. 
  35. “5 Ways to Finally Stop Procrastinating”. 《Psychology Today》. 2019년 2월 27일에 확인함. 
  36. Perry, John (1996년 2월 23일). “How to Procrastinate and Still Get Things Done”.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2017년 2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18일에 확인함. 
  37. Pychyl, TA; Lee, JM; Thibodeau, R; Blunt, A (2000). “Five Days of Emotion: An Experience Sampling Study of Undergraduate Student Procrastination (special issue)”.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15: 239–54. 
  38. Lay, CH; Schouwenburg, HC (1993). “Trait procrastination, time management, and academic behavior”. 《Trait Procrastination, Time Management, and Academic Behavior》 8 (4): 647–62. 
  39. Jackson, T.; Fritch, A.; Nagasaka, T.; Pope, L. (2003). “Procrastination and Perceptions of Past, Present, and Future”. 《Individual Differences Research》 1: 17–28. 
  40. Duffy, JF; Czeisler, CA (2002). “Age-Related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ircadian Period, Circadian Phase, and Diurnal Preference in Humans”. 《Neuroscience Letters》 318 (3): 117–120. doi:10.1016/S0304-3940(01)02427-2. PMID 11803113. 
  41. McGarvey, Jason A. (1996). “The Almost Perfect Definition”. 2006년 3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2. Odaci, Hatice (2011년 8월 1일).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s Predictors of Problematic Internet Use in University Students”. 
  43. Ariely, Dan; Wertenbroch, Klaus (2002). “Procrastination, Deadlines, and Performance: Self-Control by Precommitment” (PDF). 《Psychological Science》 13 (3): 219–224. doi:10.1111/1467-9280.00441. PMID 12009041. 2010년 2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44. “Procrastination”. 《writingcenter.unc.edu》. The Writing Center at UNC-Chapel Hill. 2012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10일에 확인함. 
  45. Tuckman, BW (1991). “The Development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Procrastination Scale”. 《psycnet.apa.org》. PsycNET. 2018년 12월 26일에 확인함. 
  46. Howell, AJ; Watson, DC; Powell, RA; Buro, K (2006).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Pattern and Correlates of Behavioral Postponemen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0 (8): 1519–30. doi:10.1016/j.paid.2005.11.023. 
  47. Hsin Chun Chu, Angela; Nam Choi, Jin (2005). “Rethinking Procrastination: Positive Effects of "Active" Procrastination Behavior on Attitudes and Performance”.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5 (3): 245–64. CiteSeerX 10.1.1.502.2444. doi:10.3200/socp.145.3.245-264. PMID 15959999. 
  48. “Getting Around to Procrastination”. 2014년 10월 10일에 확인함. 
  49. Patrzek, J.; Sattler, S.; van Veen, F.; Grunschel, C.; Fries, S. (2014). “Investigating the Effect of Academic Procrastination on the Frequency and Variety of Academic Misconduct: A Panel Study”. 《Studies in Higher Education》 40 (6): 1–16. doi:10.1080/03075079.2013.854765. 

참고문헌[편집]

지연행동[편집]

  • Steel, Piers (2010). The Procrastination Equation: How to Stop Putting Things Off and Start Getting Stuff Done. New York: HarperCollins. ISBN 978-0061703621
  • Johnson, Juliet McEwen. “The 9 Reasons People Procrastinate with Social Media”. 
  • Jane B. Burka; Lenora M. Yuen (2008). 《Procrastination: Why You Do It, What to Do About It Now》. Da Capo Lifelong Books. 336쪽. ISBN 978-0738211701. 
  • We're Sorry This Is Late ... We Really Meant To Post It Sooner: Research Into Procrastination Shows Surprising Findings; Gregory Harris; ScienceDaily.com; Jan. 10, 2007 (their source)
  • Why We Procrastinate And How To Stop; ScienceDaily.com; Jan. 12, 2009
  • Perry, John (2012). The Art of Procrastination: A Guide to Effective Dawdling, Lollygagging and Postponing. New York: Workman. ISBN 978-0761171676
  • Urban, Tim (2013). Why Procrastinators Procrastinate. waitbutwhy.com

충동조절[편집]

동기부여[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