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Kirschtaria/탐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탐라국(耽羅國[1], ?~ 1404년), 약칭 탐라(耽羅)는 전근대 제주도에 존재했던 왕국으로, 통일신라때까지 한반도의 나라들과 교류를 하고 후삼국 시대고려가 분열된 삼국을 통일한 뒤 으로 복속되었다가, 15세기 초반에 조선태종 시기에 완전 병합되었다. 제주 고씨는 400년 동안 서탐라를 다스린 성주의 성씨이다. 남평 문씨는 400년 동안 동탐라를 다스린 왕자(王子)의 성씨이다. 탐라는 때때로 탐모라국(耽牟羅國[2][3]) 또는 섭라(涉羅[4]), 탁라(乇羅[4]), 담모라(耽牟羅[4]), 담라(憺羅[4])로도 지칭되었는데, 이 이름들은 모두 "섬나라"를 의미하며,[5][6]삼국지》 동이전에서는 주호(州胡[7])라고 적고 있다.

건국 설화[편집]

탐라의 건국이나 초기 역사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발견되지 않았다. 한 전설에 따르면 나라를 건국한 세 명의 신성한 시조인 고(Go), 양(yang), 부(Bu)는 기원전 24세기에 땅의 세 개의 구멍에서 나왔다고 한다. 삼성혈로 알려진 이 구멍은 지금도 제주시에 보존되어 있다.[8][9]

설화에 따르면 양을나(楊乙那)[10]가 제주도에 온 후 반신화적인 상자가 섬 해안에 밀려왔다. 양울라는 상자를 뒤져 여자 세 마리, 말, , 그리고 , 곡식, 기장, 보리, 대나무 등의 농경종자를 찾았다. 이 시작에서 세 사람은 탐라국을 세웠다. 그는 제주 양 본관의 시조인 양당의 전설적인 조상으로 여겨진다.[11][12]

역사학 및 고고학적 기록[편집]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탐라인들은 서기 1세기까지 한반도뿐만 아니라 한나라, 일본, 남인도촐라 왕조와 활발한 무역을 벌였다. 왕국에 대한 최초의 역사적 언급은 서기 3세기에 쓰여진 중국 정사 역사서인 삼국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삼국지에 따르면 한국 근처의 큰 섬에는 주호라고 불리는 이상한 사람들이 살고 있다고 한다.[13] 독특한 언어와 문화를 가진 이들은 본토의 마한과 교역을 했다. 그러나 탐라와 함께 주호의 정체는 주호가 서해의 작은 섬이었다고 주장하는 북한 학자 이지린 등 당국자들에 의해 논란이 되고 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476년 탐라는 모종의 금전으로 보좌관을 내어 한반도 서남부를 지배하던 백제조공국 관계를 맺었고, 일본과도 끈끈한 관계를 가졌다. 이윽고 이들은 탐라에게는 자연스러운 파트너가 되었다. 이후 백제가 쇠퇴하자 탐라는 대신 신라로 눈을 돌렸다. 삼국시대 말기에 탐라는 공식적으로 신라에 복속되었다. 신라는 탐라의 세 왕자에게 성주(星主), 왕자(王子), 도내(都內)라는 칭호를 주었다. 서기 7세기 후반 신라 문무왕 때의 일이라는 설도 있다.[1]

탐라는 935년 신라 멸망 후 잠시 독립을 되찾았다. 그러나 938년 고려에 복속되어 1105년 정식으로 병합되었다. 그러나 왕국은 1404년 조선 태종이 확고한 중앙통제하에 들어가 탐라국을 멸망시킬 때까지 지방 자치권을 유지했다. 탐라 말년에 일어난 흥미로운 사건 중 하나는 1274년 제주도에서 발생한 삼별초의 난이었다.

알렉산더 보빈 (2013)[14]제주도의 옛 이름이 탐무라이며 일본어로 타니무라() 또는 타미무라()이기에 15세기 이전에 한국어 사용자로 대체되기 전에 제주도에 일본어 사용자가 존재했다고 주장한다.

탐라의 주권자와 도지사[편집]

고씨는 탐라를 다스린 왕들의 성으로, 초대 왕은 땅에서 나온 셋 중 하나였다. 그의 후손은 미래의 왕과 탐라 총독이 되었다. 고씨는 탐라를 다스린 왕들의 성으로, 초대 왕은 땅에서 나온 셋 중 하나였다. 그의 후손은 미래의 왕과 탐라 총독이 되었다.

대수 국왕 재위
1 고을나왕 (高乙那王) 2337 BCE–2206 BCE
2 건왕 (建王) 2206 BCE–1767 BCE
3 삼계왕 (三繼王) 1767 BCE–1123 BCE
4 일망왕 (日望王) 1123 BCE–935 BCE
5 도제왕 (島濟王) 935 BCE–771 BCE
6 언경왕 (彦卿王) 771 BCE–619 BCE
7 보명왕 (寶明王) 610 BCE–520 BCE
8 행천왕 (幸天王) 520 BCE–426 BCE
9 환왕 (歡王) 426 BCE–315 BCE
10 식왕 (湜王) 315 BCE–247 BCE
11 욱왕 (煜王) 247 BCE–207 BCE
12 황왕 (惶王) 207 BCE–157 BCE
13 위왕 (偉王) 157 BCE–105 BCE
14 영왕 (榮王) 105 BCE–58 BCE
15 후왕 (厚王) 58 BCE–7 BCE
16 두명왕 (斗明王) 7 BCE–43
17 선주왕 (善主王) 43–93
18 지남왕 (知南王) 93–144
19 성방왕 (聖邦王) 144–195
20 문성왕 (文星王) 195–243
21 익왕 (翼王) 243–293
22 지효왕 (之孝王) 293–343
23 숙왕 (淑王) 343–393
24 현방왕 (賢方王) 393–423
25 기왕 (璣王) 423–453
26 담왕 (聃王) 453–483
27 지운왕 (指雲王) 483–508
28 서왕 (瑞王) 508–533
29 다명왕 (多鳴王) 533–558
30 담왕 (談王) 558–583
31 체삼왕 (體參王) 583–608
32 성진왕 (聲振王) 608–633
33 홍왕 (鴻王) 633–658
34 처량왕 (處良王) 658–683
35 원왕 (遠王) 683–708
36 표륜왕 (表倫王) 708–733
37 형왕 (逈王) 733–758
38 치도왕 (致道王) 758–783
39 욱왕 (勖王) 783–808
40 천원왕 (天元王) 808–833
41 호공왕 (好恭王) 833–858
42 소왕 (昭王) 858–883
43 경직왕 (敬直王) 883–908
44 민왕 (岷王) 908–933
45 자견왕 (自堅王) 933–938
성주·왕자 한자
고자견 高自堅
고말로 高末老
고유 高維
고조기 髙兆基
고정익 髙挺益
고적 髙適
고여림 髙汝霖
고정간 髙貞幹
고순 髙巡
고복수 髙福壽
고인단 髙仁旦
고수좌 髙秀佐
고석 髙碩
고순량 髙順良
고순원 髙順元
고명걸 髙明傑
고신걸 髙臣傑
고봉예 高鳳禮

서탐라의 주권자와 도지사[편집]

제주 고씨는 서탐라를 다스린 성주의 성씨이다.

# 이름 재위 / 재임
이름 지위
1 고말로 성주 938-1024
2 고주물 성주 1024-1029
3 고오노 성주 1029-1063
4 고일 성주 1063-1090
5 고복령 성주 1090-1101
6 고인단 성주 ? -?
7 고복수 성주 ? -?
8 고실개 성주 ? -?
400년 동안 제주 고씨가 지배한 서탐라
? 고봉례 성주 → 좌도지관 ?-1411
? 고상온 좌도지관 1411-1412
? 고충언 좌도지관 1412-1415
? 조선의 관료 좌도지관 1415-1445

* 탐라지(耽羅志), 고려사(高麗史),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바탕으로 함

동탐라의 군주와 도지사[편집]

남평(南平) 문씨는 동탐라를 다스린 왕자(王子)의 성이다.

# 이름 통치 기간
이름 위치(한글/한자)
1 두라 왕자 ?-1043
2 호인 왕자 1043-1053
3 수운나 왕자 1053-1063
4 문착 왕자 ? -?
5 문양부 왕자 ? -?
6 문영희 왕자 ? -?
7 문신 왕자 ? -?
8 문창우 왕자 ? -?
9 문창유 왕자, 성주 ? -?
10 문공재 왕자 ? -?
11 문승서 왕자 ? -?
12 문신보 왕자 ? -?
13 문충보 왕자 ? -?
14 문충걸 왕자 ? -?
마지막 군주 문충세 왕자 → 우도지관 ?-1415
남평 문씨가 400년간 지배한 동탐라
? 조선의 관료 우도지관 1415-1445

* 탐라지(耽羅志), 고려사(高麗史),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바탕으로 함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s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2. 탐라국 - 네이버
  3. “『北史』百濟傳”.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20일에 확인함. 
  4. 탁라 - 네이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5. Book of Sui
  6. 太平御覽, part 四夷部二·東夷二, section 百濟
  7. 『三國志魏書』「東夷傳」馬韓傳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又有州胡在馬韓之西海中大島上
  8. “Jeju (Cheju) Island Travel Information: Samseonghyeol”. 2014년 7월 30일에 확인함. 
  9. Lee, Peter H.; de Bary, William Theodore: Sources of Korean Tradition, Volume I: From Early Times Through the Sixteenth Century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1997), ISBN 978-0-231-10567-5.
  10.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people.aks.ac.kr》. 2020년 7월 19일에 확인함. 
  11. Il-yeon: Samguk Yusa: Legends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translated by Tae-Hung Ha and Grafton K. Mintz.
  12. “Jeju Special Autonomous Province”. 2004년 9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16일에 확인함. 
  13. Schuessler, Axel.
  14. Vovin, Alexander. 2013.

외부 링크[편집]

[[분류:섬나라]] [[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역사]] [[분류:동아시아의 옛 나라]] [[분류:한국의 옛 나라]] [[분류:고대 민족]] [[분류:한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