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Koreancomposers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단법인) 한국작곡가협회

사단법인 한국작곡가 협회는 우리나라에서 활동하는 모든 순수음악 작곡가와 단체를 대표하는 기구로서, 1978년 2월 사단법인으로 인가를 받았으며, 26개의 작곡동인 및 단체가 가입되어 약 1,200명의 작곡가를 회원으로 하는 국내에서 가장 큰 작곡가들의 모임입니다. 지금까지 다수의 국제교류 음악회와 학술 세미나 및 연주회를 개최하여 국제적 문화교류와 더불어 최근 국제적인 음악의 흐름과 새로운 작품을 국내에 소개하고 있습니다.


=== 협회연역 ===

1956 년 한국 작곡가협회 창립 (초대회장 김세형)

1978 년 사단법인 설립허가 (문화공보부 설립허가 제319호), 초대이사장 김세형 취임, 창작음악 세미나 개최 (8회), 신인 작곡상 시상 및 연주회 개최(1회)

1980 년 제2대 이사장 김세형 연임, 창작음악 세미나 개최 (2회), 신인 작곡상 시상 및 연주회 개최 (2회)

1982 년 제3대 이사장 금수현 취임, 창작음악 세미나 개최 (2회), 신인 작곡상 시상 및 연주회 개최 (2회)

1985 년 제4대 이사장 금수현 연임

1988 년 제5대 이사장 금수현 연임, 창작음악 세미나 개최 (1회)

1990 년 제6대 이사장 정윤주 취임, 창작음악 세미나 개최 (1회), 안익태의 날 기념행사 개최

1993 년 제7대 이사장 박은회 취임, 한국작곡가 작품목록집 출판,창작곡 발표회 (2회)

1995 년 제8대 이사장 김용진 취임, 환경가곡제 개최 (2회), 한국작곡가 작품목록집 증보판 출간, 국제음악 학술심포지움 개최 (1회)

1997 년 제9대 이사장 윤해중 취임, 한국-이스라엘 교류 음악학술 심포지움 및 연주회 (1회),작곡실기지도에 관한 세미나

1999 년 제10대 이사장 김정길 취임, 창작음악 활성화를 위한 정책지원세미나, 한국-러시아 작품교류의 밤 (2회), 작곡실기교육에 관한 한·중·일 세미나, 새천년 맞이 한국작곡축제

2001 년 제11대 이사장 최승준 취임, 러시아 페테르부르그 국제음악제 참가 (러시아에서 2회), 한국-러시아 작품교류의 밤 (서울에서 2회)

2003 년 제12대 이사장 최승준 연임, 러시아 페테르부르그 국제음악제 참가 (러시아에서 1회), 제2회 대한민국 작곡축제, 서울국제현대음악축제,페테르부르그 작곡가의 밤

2004 년 제40회 러시아 페테르부르그 국제음악제 참가,(러시아에서 1회), 페테르부르그 작곡가의 밤 (서울에서 1회), 제3회 대한민국 작곡축제

2005 년 제13대 이사장 이만방 취임

2007 년 제14대 이사장 이만방 연임, KCPD 저널 발간, 기금모금을 위한 옥션행사, 대한민국 실내악 작곡제전 (총 10회), 교향악축제 작품 위촉 및 재연

2008 년 대한민국 실내악 작곡제전 (총 10회), 교향악축제 작품 위촉 및 재연,

2009 년 제15대 이사장 진규영 취임, 대한민국 실내악 작곡제전 (총 10회), 교향악축제 작품 위촉 및 재연


=== 사단법인 한국작곡가협회 산하단체 ===

광주작곡가협회, 국제현대음악협회 한국지부, 대전현대음악협회,미래악회, 베리타스큐지케,Vision-C, 신음악학회 (이화작곡가회), 아시아작곡가연맹 한국위원회, 아시아예술학회(극동예술악회), 아음악회, Opus-130-701, 수원음악회, 운지회,21세기악회, 작곡동인 델로스, 작곡동인 소리목, 작곡신세대, 작곡21 (중앙창작회), 작곡동인 지음, 작곡동인 제3세대, 작악회, 젊은 음악인의 모임, 주창회, 창악회, 한국여성작곡가회, 한국작곡가회, 한국전자음악협회, 한국창작오페라단, 한국현대음악작곡연구회, 한러작곡가협회, 향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