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Liuhesiyu/한국에서 맥도날드 실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에서 맥도날드 실패

목차	
1.서론
2.본론
 2.1맥도날드의 역사와 소개
 2.2맥도날드의 국제 마케팅 전략
    2.2.1 100%고객만족을 위한 qsc&v 
    2.2.2최대한 현지인 고용
    2.2.3끝임없는 지역화
3.맥도날드 한국에서 실패 
 3.1맥도날드의 해외전략 실패사례
    3.1.1독일 맥도날드 실패사례
    3.1.2영국 맥도날드 실패사례
 3.2 한국에서 맥도날드 실패 분석
    3.2.1한국에서 주로  해외 서양식 패스트 푸드 소개
         3.2.1.1KFC 
         3.2.1.2맥도날드 
    3.2.2한국 자주 서양식 패스트 푸드(롯데리아)
 세계적으로 맥도날드처럼 지속적인 성장을 계속한 기업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세계 굴지의 맥도날드의 성공비결은 뭐니뭐니해도 세계 어디에서나 동일하게 품질기준을 정한 후 그것을 잘 지켜왔다는 데 있다. 즉 맥도날드는 직영매장뿐만 아니라 프랜차이즈 매장에서도 엄격하게 정해진 기준이 적용되도록 관리해 왔으며 마케팅 전략도 같은 방향으로 추진해 왔던 것이다. 또한 수십 년 동안 어떤 경쟁업체도 맥도날드가 제공하는 품질과 서비스, 그리고 청결도를 따라갈 수 없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사이 맥도날드가 과거 기준에서 약간 벗어나는 느낌을 주면서 동시에 일부 경쟁 기업의 도약이 눈에 띄었다. 또한 햄버거에 대한 수요는 과거 수십 년 동안 끝없이 증가할 것처럼 보였지만 어느 날 햄버거의 성장시대는 끝이 나고 시장은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여기서 우리는 세계적인 기업 맥도날드가 어떻게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최근 이러한 비극적인 상황이 발생한 원인에 대해서 마케팅적인 시각으로 접근해 보고자 한다.
Mcdonalds seoul
Mcdonalds seoul
2.1맥도날드의 역사와 소개
 맥도날드의 역사는 1954년에 시작되었는데 그 시작은 52세인 레이크록을 통해서였다.당시 믹서 판매업자였던 레이크록(ray a.kroc)은 미국 캘리포니아의 샌 버나디노에서 햄버거 식당을 운영 중이던 딕 맥도날드와 맥 맥도날드 형제를 방문했는데, 레이크록은 점포확장 제안을 하고, 이들로부터 프랜차이즈 체인사업권을 사들여 공동경영에 나섰다.크록은 이듬해 일리노이스의 데 플랜즈에 첫 맥도날드 체인 1호점을 개설을 시작으로 1960년에 200번째 매장 의 개설 그리고 그 여세를 타고 1963년 에 햄버거 10억개 판매를 이루었다.그리고 그 후 맥도날드는 미국 외 지역으로 첫발을 내딛게 되고 84년에 500억 개의 햄버거판매를 이루는 등 거침없는 성장을 계속하게 된다.그리하여 결국 1988년에 서울 압구정동에 까지 발을 내딛으며 한국 시장에도 진출하고, 같은 해 10, 번째 매장을 오픈하기에 이른다.그리고 1991년에는 햄버거 800억 개 매출을 이루었고, 1995년 에는 40주년 기념과 동시에 xxxx.xx.xx번째 매장으로 사업을 확장한다.그리고 맥도날드는 세계최초로 공산국가에 진출한 페스트푸드점 이기도 한데, 1982년에 유고슬라비아, 1990년엔 모스크바, 1992년에 중국베이징에 세계 최대 규모의 매장을 개점하면서 그 기반을 확고히 하게 되었다.그리하여 현재 전 세계 121여 개국의 29, 여 매장을 통해 1,100억 개가 넘는 햄버거를 판매하고 있는 세계 최대의 패스트 푸드점으로 입지를 다져왔다.
JKCarl Vollmond 2 800
JKCarl Vollmond 2 800
Leuchtendes Mc-Donalds-Schild Sulzbach
Leuchtendes Mc-Donalds-Schild Sulzbach
맥도날드의 연혁 및 소개 
1954년 레이크락 이 샌 버나디노에 있는 맥도날드 형제를 방문헤 그들이 경영하는 스피디 시스템을 보고 매료돼 프랜차이즈 대행인으로 나섬
1955년 4월 15일 레이크락은 그의 첫 번째 맥도날드 프랜차이즈 매장을 일리노이주 드 플 레인 에 세움 첫매상: $xxxx.xx.xx61년 레이크락이 맥도날드 형제로부터 맥도날의 모든 권리를 2백 7십만불에 매입 햄버 거대학 이 일론이주 엘크 그로브 빌리지매장 지하실에서 시작
1963년 10억개 햄버거판매 달성 맥도날드 마스코트인 로널드 맥도날드(ronald mcdonald) 탄생
1968년 빅맥과 애플파이가 새로운 메뉴로 등장 
1969년 레이 크락이 미국학생들이 가장 되고 싶어하는 사업가로 선정 맥도날드의 연혁 및 소개 
1954년 레이크락 이 샌 버나디노에 있는 맥도날드 형제를 방문헤 그들이 경영하는 스피디 시스템을 보고 매료돼 프랜차이즈 대행인으로 나섬
1955년 4월 15일 레이크락은 그의 첫 번째 맥도날드 프랜차이즈 매장을 일리노이주 드 플 레인 에 세움 첫매상: $xxxx.xx.xx61년 레이크락이 맥도날드 형제로부터 맥도날의 모든 권리를 2백 7십만불에 매입 햄버 거대학 이 일론이주 엘크 그로브 빌리지매장 지하실에서 시작
1963년 10억개 햄버거판매 달성 맥도날드 마스코트인 로널드 맥도날드(ronald mcdonald) 탄생
1968년 빅맥과 애플파이가 새로운 메뉴로 등장 
1969년 레이 크락이 미국학생들이 가장 되고 싶어하는 사업가로 선정
1970년 1일 판매 맥도날드 햄버거 숫자가 4백만게 돌파 
1974년 맥도날드의 사회공헌활동을 담당하는 로널드 맥도날드 하우스 설립 
1975년 창립 20주년
1979년 해피밀 탄생
1984년 맥도날드 창업주인 레이크락 향년 81세로 타계 매 17시간 마다 세계도처에서 맥도 날드매장이 생김 500억개째 햄버거 판매
1991년 800억번째 햄버거 판매
1993년 빅맥의 25주년기념 약 140억개의 빅맥 판매 
1995년 맥도날드 창립 40주년
1998년 빅맥 탄생 30주년
2003년 im lovin it 이란 글로벌 브랜드 캠페인 시작
2.2맥도날드의 국제 마케팅 전략
2.2.1 100%고객만족을 위한 qsc&v 
 전 세계 1만 개가 넘는 맥도날드 햄버거의 어떤 매장엘 가더라도, 즉 뉴욕, 서울, 동경, 모스크바 어디에서나 같은 점포양식, 같은 메뉴, 같은 친절함, 같은 맛을 볼 수 있다.이것은 맥도날드사의 창업자 레이 크록이 항상 주장하던 품질, 서비스, 청결 철학 때문이다.모든 맥도날드 직원들은 이 운영철학을 굳게 실천하고 있다.1984년 그가 사망한 후에도 그의 집무실은 보존되어 있고 거기에는 레이에게 말해 보시오라는 큰 간판이 있다.직원이나 방문객이 레이에게 전화를 걸면 비디오 스크린에 레이가 나와 1시간 반 동안 그의 경영철학에 대해서 연설을 한다고 한다.맥도날드기업의 경영목표인 qsc&v는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고객에게 제공(quality)하고, 친절하고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service)하며, 청결한 분위기를 유지(cleanlines)하며, 가치를 제공하는 메뉴를 제공(value)하는 레이크록이 주장한 기본경영방침이며 오늘날 외식산업 분야뿐 만 아니라 모든 기업에 경영 지침으로 활용되고 있다.그 qsc&v의 첫 번째는 우수한 품질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이다.전 세계적으로 품질을 일관성있게 유지 할 수 있었고, 또한 제품의 가장 뛰어난 맛을 낼 수 있도록 시간을 관리하고 있다.햄버거는 만든 후 10분 이내에 프렌치 프라이는 7분 이내에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이 시간대를 경과한 제품은 버리고 있다.둘째, 친절하고 신속한 서비스의 제공이다.이는 웃는 얼굴로 사업을 해야 번창한 다는 신조 아래 맥도날드는 종업원들에게 웃음을 유지할 것(keep smile)을 강조하고 있다.더 효과적으로 종업원들에게 웃음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서비스는 스마일이고 스마일은 서비스이다 라는 문구를 통해 강조하고 있다.
2.2.2최대한 현지인 고용
 일정한 즉석식품의 메뉴와 경영조직에 의해 같은 것을 팔지만, 자기 나라의 실정에 맞추어서 판매방법을 조정하는 소매업자의 완만한 연합체라고 할 수 있는 것이었다.외국의 공동경영자는 나라에 따라 달랐으나, 표준적은 것은 맥도날드가 50% 출자하고 나머지는 미니 맥도날드로서 영업하는 그 나라의 기업가가 출자하기로 되어 있다.점포는 합작회사가 소유주가 되어 경영까지 하는 경우와 프렌차이지측에 라이센스를 주는 경우가 있다.맥도날드는 외국의 동반자를 선택할 경우 미국에서 경험에 의해 얻는 교훈을 잊지 않았다.곧 전혀 다른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도 창업가 정신이 왕성하면 맥도날드의 동반자가 되어도 대체로 잘한다는 점이다.그리고, 맥도날드는 외국의 동반자에겐 대폭적으로 자유로운 권한을 주었다.그 예로 일본의 경우는 흡사 맥도날드가 일본의 발명인 것 같은 인상을 일본인들에게 주기까지 했었다.즉 일본은 그 나라의 문화방식에 맞게 대처함으로써 독자적으로 경영을 했던 것이다.맥도날드의 진출은 그 나라 문화의 일부인 음식을 바꾸는 것을 뜻하기 때문에 그 지방의 반발을 사기 쉬웠으나 반드시 그 고장의 사람을 고용하는 것을 잊지않았다.즉, 맥도날드는 현지의 기업가를 동반자로 함으로써 거대한 다국적기업이 세계시장의 정복을 노린다는 나쁜 인상을 주지 않고 각국에서 영업하게 되었다.
2.2.3끝임없는 지역화
 예를들어 소를 신성시하는 인도에서는 쇠고기 패티 대신 양고기를 사용하며, 이스라엘 맥도날드는 유대인 율법(kosher)에 따라 처리한 정결한 메뉴만 파는 코셔(kosher) 맥 도날드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 안식일과 종교 휴일을 엄수하고 유제품을 판매하지 않 는 등 철저한 지역화에 애쓰고 있다.또한 이집트에서는 파라펠이라는 콩을 갈아 튀긴 전통 음식을 전형적인 햄버거 빵과 양상치, 토마토를 넣어 맥파라펠(mcfalafel)이라는 새로운 메뉴를 선보이기도 하는등 가까운 일본에서는 데리야키 치킨을 속으로 한 데리 야키 버거도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다.
 또한 서구인들과는 큰 차이를 보이는 식생활과 관련해서 한국인의 독특한 입맛에 호소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함에 따라 한국 맥도날드는 특히 새로운 메뉴개발이나 메뉴 도입 시에 항상 한국 사람의 입맛을 철저하게 고려한다.불고기 버거와 새우버거 그 리고 맥너겟과 김치버거, 맥빙수가 그것인데.97년 출시된 불고기버거와 2001년 2월 에 출시되어 소붚들의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새우버거가 바로 국내에서만 맛볼 수 있는 한국 맥도날드의 고유 메뉴이며 또한 다른 나라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메뉴를 국내 소붚의 입맛에 맞추어 도입한 것이 맥너겟이다.그리고 2001년 11월에 판매 를 시작한 김치버거는 출시 전 철저하게 한국인의 입맛을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설문 조사 과정도 가졌고.여름에만 선보이는 맥빙수도 한국 맥도날드에서만 판매 되는 지역 상품이다.
3.1맥도날드의 해외전략 실패사례
  3.1.1독일 맥도날드 실패사례
 전통을 중시하는 독일인에게 호응를 얻기위해 제품 및 점포디자인을 바꿔서 분위기를 완전히 독일맥주집과 같이 연출했지만 독일인에게는 별 매력이 없었다. 그러다가 미국에서 성공을 거둔것과 같은 메뉴와 점포디자인은 고집함으로써 외국에서도 성공할 수 있다는 현실을 맥도날드 간부들은 알게 되었다.
  3.1.2영국 맥도날드 실패사례
 영국에 맥도날드를 정착시키는 유일한 방법은 근사한 가게를 내어, 보다 많은 매출을 올려 그것을 벌충해야 한다고 처음부터 작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아무리 초호화 가게라도 보수적인 영국인들을 하루아침에 단골로 끌어들일 수는 없었다. 이방법이 효과가 없자 다음은 무료판매를했다. 많은 손님이 몰려왔으나 그때뿐이지 계속되지 않았다. 
 1976년에는 구매객과 영화관람객 관광객 등이 모이는 런던의 웨스트 엔드에 지금까지 지불한 값중에서 제일 비싼 땅값을 지불하고 새로운 점포를 내었다. 웨스트 엔드점포는 쉽게 이익을 올려서 겨우 텔레비젼 CM광고를 할 여유가 생겼다. 그리고 그 CM이 크게 소문이 나서 성적이 나빴던 다른 점포의 매출도 하룻밤 사이에 10%나 증가되었다.
3.2.1한국에서 주로  해외 서양식 패스트 푸드 소개
  3.2.1.1KFC 
 KFC, ( Kentucky Fried Chicken켄터키 주 치킨), 닭은 미국  글로벌 프랜차이즈  식당 중 하나로 세계 2위이자 가장 큰 치킨과 패스트 푸드 프랜차이즈 업체 데이비드는 커널·샌더1930년 스탈린이 켄터키 주 루이스빌에서 주로 생성·햄버거·치킨을 판매하고 감자 튀김 등 고열량 탄산 음료, 에그 타르트 인스턴트 식품이다.
 며 KFC는 펩시 콜라와 얌!브랜드 전략 연맹을 결성하고 제공한 고정 유통. 탄산 음료 펩시2013년 말까지 약 1만 8000개로 매장이 있다.
 전통적인 외식 업체로 전환[1]에 KFC O2O이 최근의 모바일 진출 승전보가 12월 일년 : 2014에 연합 kfc 20—29 적용하고 있는 텐센트에게 크리스마스 때로 럭셔리 선물 받기행사를 불과 열흘 안에 다운로드되고 40초과 즉 APP 4만의 하루 평균 만 다운로드 같은 전통 외식 업체가 있는 100배 가까이 APP.
  3.2.1.2맥도날드
 레이 크록이 1954년 딕 맥도날드와 마크 맥도날드 형제의 레스토랑 프렌차이즈 체인 사업권을 사들여 설립한 미국 패스트푸드 체인으로, 햄버거와 프렌치 프라이, 음료 등을 판매함
Screenshot 2015-12-10-12-33-43 mh1449718461930
Screenshot 2015-12-10-12-33-43 mh1449718461930
  3.2.2한국 자주 서양식 패스트 푸드(롯데리아)
 롯데리아(Lotteria, 일본어: ロッテリア 롯테리아[*])는 주로 동아시아에 분포한 햄버거 중심의 패스트푸드 체인 음식점이다. 일본을 시작으로 대한민국, 중화민국, 베트남 등지에 매장을 두고 있다. 롯데리아의 점포 수는 국가별로 대한민국 753군데, 중화민국 3군데, 베트남 55군데, 중화인민공화국 3군데(2009년 2월 기준), 일본 398군데(2011년 6월 기준)이다.
 커피하우스, 엔제리너스, 스테이크하우스, 한국 T.G.I. Friday's, 나뚜루, 일본 버거킹을 운영하고 있기도 하다.
 1979년부터 한국에서 제1호점 개설 한국은 간 서울에 있는 롯데 백화점 판매가 있다.
 롯데는 2001년 만에 한국에 시장에 안착한 인스턴트의 편리를 차지하며 시 45 % 2006년, 2007년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해 여전히 시장 점유율이10%、16 %에 한국으로 롯데리아는, 60 %한국 맥도날드 패스트 푸드로 세계 1위 업체 패스트 푸드점이 된다.또 2009년 5월 미국 한국을 인수했다. 롯데리아는 한국의 T.G.I. Friday's및 2010년 인수했다. 일본의 버거킹.
 또 정부는 대응하기 위해 사용한 적이 있는 종이 컵 회수할 수 있는 정책에 이르는 것은 사실 한국 음식과 관련된 롯데리아에 대한 고객 산업 속도 약 50~100원을 받는 종이 컵 사용 고객의 경우 보증금을 지원할 수 있일정 시간까지 종이 컵 사용성을 반송할 수 있을 보증금을 되돌려 받지 못해 기한 내에 종이 컵에서 보증금 반환은 이 사회의 공익은 환경 보호 활동을 하고 있다.







참고: http://www.mcdonalds.com/us/en/home.html http://m.yesform.com/forms/viewText.php?menu=repo&rowid=672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97883&cid=43168&categoryId=4316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97886&cid=43168&categoryId=43168 https://zh.wikipedia.org/wiki/%E4%B9%90%E5%A4%A9%E5%88%A9#.E5.8E.86.E5.8F.B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