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Motoko C. K./유아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식론적 입장으로서 유아론은 자기 자신의 마음 밖의 어떤 것에 대한 지식이라도 확실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외부 세계와 타인의 마음은 알 수 없으며, 자신 마음의 밖에는 존재하지 않은 수도 있다. 형이상학적 입장으로서 유아론은 더 나아가 세계나 타인의 마음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론에 이른다. 

요점[편집]

물질적 존재의 거부는 그 자체로는 유아론에 해당되지 않는다. 

형이상학적 유아론의 세계관은 타인의 정신을 거부하는 것이다. 개인의 경은 사적이며 언어로 표현될 수 없으므로, 타자의 경험은 오직 유추로 알 수 있을 뿐이다. 

유아론은 널리 지지되는 세 개의 철학적 전제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면밀히 연구될 가치가 있다. 

  1. 나의 대부분의 확실한 지식은 나 자신의 정신의 형태이다. 나의 생각, 경험, 감정 등
  2. 정신적인 것과 신체적인 것 사이, 즉 어떤 의식적인 경험이나 정식적 상태의 발생과 어떤 종류의 육체의 소유나 행동적 성향 사이에 개념적이거나 논리적으로 필요한 연관은 없다. (통 속의 뇌 참고.)
  3. 한 인간의 경험은 필연적으로 그 인간에게 사적이다. 

역사[편집]

고르기아스[편집]

유아론은 소크라테스 이전의 소피스트인 고르기아스가 처음으로 기록하였다. 로마의 회의주의자인 섹스투스 엠피리쿠스는 고르기아스의 주장을 다음과 같이 인용하였다. 

  1.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2. 어떤 것이 존재하더라도, 그것에 대하여 아무것도 알 수 없다. 
  3. 어떤 것을 알 수 있더라도 지식은 다른 사람에게 전달될 수 없다. 

소피스트의 주안을 둔 것은 객관적인 지식은 불가능하다는 보이는 것이었다. 

데카르트[편집]

르네 데카르트

유아론의 토대는 결국 어떤 그리고 모든 심리적인 개념(생각, 의지, 인식 등)에 대한 개인의 이해는 그의 정식적 상태과 비교하면서 이뤄진다는 견해의 토대이다. 이 견해은 데카르트가 반박할 수 없는 확정성에 대한 연구를 인식론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격상시킨 이후로 이후로 철학에서 영향력을 얻었다. 

버클리[편집]

조지 버클리관념론의 입장에서 유물론을 비판하고 데카르트보다 더 극단적인 유아론적인 주장을 하였다. 데카르트는 비물질적 정신(res cogitans)과 신을 인정하는 동시에 물질적 세계(res extensa)의 존재를 인정하여 존재론적 이원론을 옹호하였다. 반면에 버클리는 물질의 존재를 부정하고, 정신의 존재만을 긍정하였다. 

Notes[편집]

[[분류:자기주의]] [[분류:인식론의 이론]] [[분류:형이상학 이론]] [[분류:마음의 형이상학]] [[분류:마음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