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Mt.Kim/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제학에서 공급(supply)이란 가격과 생산자가 팔고자 하는 재화 또는 서비스의 양을 변수로 하는 함수이다. 주로 공급곡선으로 표현되며, 공급량은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주어진 가격에서 팔고자 하는 재화 또는 서비스의 양이다.

공급지표[편집]

공급지표는 공급자가 특정 가격에서 재화 또는 서비스를 얼마나 공급하려 하는 지 보여준다. [1]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는 관련 상품(중간재, 생산 가능한 다른 재화)의 가격, 생산 비용, 생산 기술의 발달 등이 있다.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편집]

수많은 요인이 공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일반적인 요인 중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관재의 가격: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잘못된 이름입니다, 예: 너무 많습니다다른 재화의 가격 변화에 따라 공급이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팸 생산에 필요한 돼지([[중간재]))는 스팸의 생산과 관련되어 있다. 이 경우 음의 상관관계 또는 역의 관계를 가진다. 돼지의 가격이 올라간다면 생산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팸의 공급은 줄어들 것이다(공급 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연관재는 한 생산자가 생산 가능한 다른 재화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가죽 벨트를 만드는 공장의 매니저가 스마트폰의 가죽 파우치를 만드는 것이 벨트를 만드는 것보다 더 경제적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면, 그 공장은 벨트의 생산을 줄이고 파우치의 생산을 시작할 것이다. 또한, 점착재의 가격 변화도 공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소고기와 소가죽이 점착재이다. 어떤 회사가 소고기와 소가죽을 같이 공급한다면, 스테이크의 가격 상승으로 소고기의 공급(량)을 늘리게 될 것이고 이에 따라 소가죽의 공급도 증가하게 된다.[2]

생산 조건: 여기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생산 기술이다. 어떤 재화를 생산하는 것과 관련된 기술 발전이 있는 경우 공급은 증가한다. 다른 변수도 공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농산물의 경우 날씨가 산출량(공급)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3]
미래 시장에 대한 예측: 공급자의 미래 시장에 대한 예측은 공급과 직결될 수 있다.[4] 만약, 공급자가 자신이 공급하는 재화에 대한 미래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한다면, 머지 않아 공급자는 미래의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로 재화의 생산을 늘릴 것이다. 공급 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주의할 것은 공급 곡선의 이동이 초과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5]
생산 요소의 가격: 생산 요소는 땅, 노동력, 에너지, 자원 등을 의미한다.[6] 투입 요소의 가격이 오르면 공급자는 비용 증가에 따라 더 적은 양을 공급하려 할 것이고 공급 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생산 요소는 생산 함수의 변수가 된다.


공급자의 수: 시장의 공급 곡선은 개별 공급자의 공급곡선의 합이다. 공급자가 늘어나면, 공급 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정부의 정책과 규제: 정부의 개입은 공급에 결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7] 정부의 개입은 환경과 건강에 관련된 규제, 최저임금제, 과세, 전기나 천연 가스 요금 정책, 토지 이용 규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일어난다.[8] 이 뿐만 아니라 공급자의 의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것들을 포함한다.[9]

공급 함수[편집]

공급 함수는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공급과의 관계를 나타낸 함수이다. 예를 들면, 라는 꼴로 나타난다. 여기서 는 재화의 가격을, 는 연관재의 가격을, 는 공급자의 수를 나타낸다. 세로 막대의 오른쪽에 있는 것은 상수로 본다.

공급 곡선의 예시

공급 곡선[편집]

공급 곡선은 재화의 가격과 공급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곡선으로 일반적으로 양의 기울기를 가진다.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가격과 공급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다른 조건이 변하면 공급 곡선 자체가 움직인다. 또한, 시장의 공급곡선은 개별 공급자의 공급곡선의 수평합으로 나타낸다.[10] 한계 수확 체감의 법칙에 의하면 다른 조건들이 일정할 때 투입량을 한 단위 더 늘렸을 때 산출되는 양은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생산량을 한 단위 늘리기 위해서는 더 많은 투입이 필요하다. 이 법칙에 따라, 한계 비용 곡선이 그려진다. The Law of Diminishing Marginal Returns (LDMR) shapes the SRMC curve. The LDMR states that as production increases eventually a point (the point of diminishing marginal returns) will be reached after which additional units of output will be successively smaller. The mathematical relationship is where is the wage rate and is the marginal product of labor. Beyond the point of diminishing marginal returns the marginal product of labor will continually decrease. As decreases with a constant wage rate will increase.

공급 곡선과 공급량의 관계[편집]

무브먼트(movement, 옮김)는 어느 한 공급 곡선을 따라 공급량이 변화하는 것으로 그 재화의 가격 변화에 의해서만 일어난다.[11] 시프트(shift, 바뀜)는 가격을 제외한 다른 요인의 변동으로 인해 공급이 변화하고 공급 곡선 자체가 이동하는 것이다.[11] 예를 들어, 재화의 생산에 필요한 생산 요소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공급 곡선은 왼쪽으로 이동(shift)할 것이다.[12]

Shape of the short-run supply curve[편집]

The Law of Diminishing Marginal Returns (LDMR) shapes the SRMC curve. The LDMR states that as production increases eventually a point (the point of diminishing marginal returns) will be reached after which additional units of output will be successively smaller. The mathematical relationship is where is the wage rate and is the marginal product of labor. Beyond the point of diminishing marginal returns the marginal product of labor will continually decrease. As decreases with a constant wage rate will increase.

Elasticity[편집]

Price elasticity of supply measures the responsiveness of quantity supplied to changes in price, as the percentage change in quantity supplied induced by a one percent change in price. It is calculated for discrete changes as and for smooth changes of differentiable supply functions as . Since supply is usually increasing in price, the price elasticity of supply is usually positive. For example if the PES for a good is 0.67 a 1% rise in price will induce a two-thirds increase in quantity supplied.

Significant determinants include:
Reaction time: The PES coeffiecient will largely be determined by how quickly producers react to price changes by increasing (decreasing) production and delivering (cutting deliveries of) goods to the market.

Complexity of Production: Much depends on the complexity of the production process. Textile production is relatively simple. The labor is largely unskilled and production facilities are little more than buildings - no special structures are needed. Thus the PES for textiles is elastic. On the other hand, the PES for specific types of motor vehicles is relatively inelastic. Auto manufacture is a multi-stage process that requires specialized equipment, skilled labor, a large suppliers network and large R&D costs.
Time to respond: The more time a producer has to respond to price changes the more elastic the supply. For example, a cotton farmer cannot immediately respond to an increase in the price of soybeans.
Excess capacity: A producer who has unused capacity can quickly respond to price changes in his market assuming that variable factors are readily available.
Inventories: A producer who has a supply of goods or available storage capacity can quickly respond to price changes.

Other elasticities can be calculated for non-price determinants of supply. For example, the percentage change the amount of the good supplied caused by a one percent increase in the price of a related good is an input elasticity of supply if the related good is an input in the production process.[출처 필요] An example would be the change in the supply for cookies caused by a one percent increase in the price of sugar.

Elasticity along linear supply curves[편집]

The slope of a linear supply curve is constant. The coefficient of elasticity is usually not. If the linear supply curve intersects the y-axis PES will be infinitely elastic at the point of intersection.[13] The coefficient of elasticity decreases as one move "up" the curve.[13] However, all points on the supply curve will have a coefficient of elasticity greater than one.[14] If the linear supply curve intersects the x axis PES will equal zero at the point of intersection and will increase as one moves up the curve.[13] However, all points on the curve will have a coefficient of elasticity less than 1. If the linear supply curve intersects the origin PES equals one at the point of origin and along the curve.

Market structure and the supply curve[편집]

There is no such thing as a monopoly supply curve.[15] Perfect competition is the only market structure for which a supply function can be derived. A function is a rule which assigns to each value of a variable one and only one value of the function.[16] In a perfectly competitive firm the price is given. A manager of a competitive firm can tell you precisely what quantity of goods will be supplied for any price by simply referring to the firm's marginal cost curve. To generate his supply function the seller could simply initially set price equal to zero and then incrementally increase the price at each price level he could calculate the quantity supplied using the supply equation Following this process the manager could trace out the complete supply function. A monopolist cannot replicate this process. A change in demand can result in the "changes in price with no changes in output, changes in output with no changes in price or both".[15] There is simply not a one to one relationship between price and quantity supplied.[17] There is no single function that relates price to quantity supplied.

함께 보기[편집]

References[편집]

  1. Mankiw, N. Gregory (1998). 《Principles of Economics, Wall Street Journal Edition》. Dryden Press, San Diego. 71–73쪽. ISBN 0-03-098238-3. 
  2. Ayers & Collins, Microeconomics (Pearson 2003)at 66.
  3. Rosen, Harvey (2005). Public Finance, p. 545. McGraw-Hill/Irwin, New York. ISBN 0-07-287648-4.
  4. Goodwin, N, Nelson, J; Ackerman, F & Weissskopf, T: Microeconomics in Context 2d ed. Page 83 Sharpe 2009
  5. Goodwin, Nelson, Ackerman, & Weissskopf, Microeconomics in Context 2d ed. (Sharpe 2009) at 83.
  6. Samuelson & Nordhaus, Microeconomics, 17th ed. (McGraw-Hill 2001) at 53.
  7. Samuelson & Nordhaus, Microeconomics, 17th ed. (McGraw-Hill 2001) at 53.
  8. Samuelson & Nordhaus, Microeconomics, 17th ed. (McGraw-Hill 2001) at 56.
  9. Colander, David C. Microeconomics 7th ed. Page 90. McGraw-Hill 2008.
  10. Melvin & Boyes, Microeconomics 5th ed. (Houghton Mifflin 2002) at 56.
  11. Melvin & Boyes, Microeconomics 5th ed. (Houghton Mifflin 2002) at 60.
  12. Melvin & Boyes, Microeconomics 5th ed. (Houghton Mifflin 2002) at 56-62.
  13. Colander, David C. (2008). Microeconomics (7th ed.). McGraw-Hill. pp 132–133
  14. Colander p. 135.
  15. Pindyck & Rubinfeld, Microeconomics 5th ed. (Prentice-Hall 2001) at 335.
  16. Dowling,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Economics 3rd ed. ( McGraw-Hill 1980) at 5.
  17. Pindyck & Rubinfeld, Microeconomics 5th ed. (Prentice-Hall 2001) at 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