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Nes0903/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학, 익살 등으로 번역되며 프랑스어로는 위무르(humour), 독일어로는 후모르(Humor)라고 한다. 고대 생리학에서 인간의 체내를 흐르는 혈액, 점액, 담즙, 흑담즙 등 4종류의 체액을 의미했는데 이런 채액의 배합 정도에 따라 사람의 기분, 기질등이 변화한다고 믿던 것이 뜻이 점차 변형되어 현재의 유머로서의 뜻을 갖게 되었다. [1]

유머란 우리가 웃을 때면 우리에게 주어진 메시지에 반응하는 것을 말하며[2], 어울리거나 일치되지 않는 생각이나 사건, 상황 등의 메시지를 평가하고 정신적으로 경험하는 것이며[3], 재미있는 장면을 보고 재미있다고 지각하여 그 결과로는 행동을 나타낼 때 까지의 과정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인지적 경험이다.[4]

유머와 웃음의 유발 요인에 관해서는 과거부터 많은 관점들이 존재했는데, 아리스토텔레스플라톤은 ‘기형적인 것, 결함(deformity) 즉 보통의 규범적인 모양을 벗어난 것이 웃음을 유발한다고 보았다[5]. 홉스는 ‘유머의 우월성 이론(superiorioty theory of humor)을 이야기한 바 있다. 이것은 다른 사람에게 있는 기형적 형태, 또는 다른 사람의 불완전함을 자신과 비교함으로써 자기찬양(self- glorification)의 열정을 느낀다고 보는 시각이다. 또한 칸트는 긴장된 기대를 하다가 갑자기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변해 버릴 때 일어나는 감정이 웃음을 유발한다고 본다. 문제가 있어 보이던 것이 사소한 것으로 판명될 때 웃음을 기대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문제 있어 보이던 것이 웃을 만한 것으로 변하는 것을 영국의 철학자 스펜서는 불일치의 감소 (descending incongruity)라고 표현했다. 이와 유사하게, 독일의 철학자 쇼펜하우어는 개념과 지각 간의 불일치가 웃음을 유발한다고 주장했다.


유머의 정의[편집]

유머는 말장난이나, 구조발음상 비슷한 다의의 말을 이용하여, 우스운 상황을 과장하는 것이다 [6]

유머란 우리가 웃을 때면 우리에게 주어진 메시지에 반응하는 것을 말한다.[7]

유머란 사회 문화적 현실 속에서 내적 수정을 요하는 인지적이며 무의식적으로 경험하는 유쾌한 마음의 상태로 문화적 인지에 대한 부조화, 왜곡, 과장 , 또는 사건에 대한 문화적 요소의 비정상적인 결합을 초래한다 [8] 유머란 언어적으로 의사를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황의 부조화를 순간적으로 지각하며 즐거움 또는 웃음을 자극하는 것이다.

사건, 사물, 생각, 사회적 기대감이 정상적이거나 기대된 양식과 일치하지 않을 때 발생하게 된다 [9]. 즉 상황의 부조화를 순간적으로 지각하며 즐거움 또는 웃음을 자극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유머를 일으키는 요소[편집]

진지한 일을 우스꽝스럽게 표현하거나 아니면 우스꽝스런 일을 사뭇 진지하게 나타내면 곧 해학이라는 유머가 발생한다.

이밖에 역설이나 동문서답, 그리고 속된 속어 등이 유머를 일으키는 요소가 된다. 또 무지, 허영, 우연의 일치, 이랬다 저랬다 하는 것, 부주의, 우직한 것, 극단 등의 만화적인 표현과 가치를 바꾸는 것이나 부조화의 표현은 모두 웃음을 자아낸다.[10]

생각하고 있던 말과 실제로 나온 말 사이에서의 불일치를 갑자기 파악했을 때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불일치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예상하고 있는 대화의 전제를 부정하거나, 대화의 원리가 되는 기본적인 격을 위배하는 것으로부터 생겨남으로 유머의 웃음 유발의 원리를 비예측성 상황에서의 불일치로 볼 수 있다.[11] 이처럼 유머의 웃음 유발의 원리는 비예측성에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유머에서는 생산자가 만들어 낼 이야기의 결과를 예측하지 못한 수용자가 허를 찔리게 되는 과정에서 웃음이 발생한다.

손세모돌은 유머의 형성원리를 "의외성"으로 보고 "의외성"을 듣는 이의 예측이 어긋나거나 예측 불허인 상태라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유머란 의도적으로 계산된 웃음 유발 장치로 대화자 상호간에 의외성을 이해할 능력이 없으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다고 말한다.[12] 사람들은 유머가 아닌 상황에서도 잘 웃는다. 따라서 단순히 웃음을 유발한다고 해서 그것들이 모두 유머가 되는 것은 아니다. 유머에 관한 학자들의 정의를 보면 손세모돌은 “의도적으로 계산된 웃음 유발 장치를 가진 이야기"라고 정의한다. 한성일은 유머를 “남을 웃기는 말이나 그 말과 함께 이루어지는 행동의 통칭”으로 정의하면서 ‘유머 텍스트’를 “남을 웃기기 위해 의도적으로 만든 일정한 구조를 갖춘 이야기”라고 하였다.[13] 이재원은 “남을 웃기게 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만든 일정한 구조를 갖춘 이야기”로 정의하고 있다. 이 연구들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요소들을 뽑아보면 ‘의도성’과 ‘웃음’이 유머의 조건임을 알 수 있다.


유머에 대한 이론[편집]

-각성이론: 유머가 축적된 긴장 또는 에너지를 감소시킨다고 보는 견해

-부조화 이론: 유머 자극에 대한 인지적 이해 과정에 초점을 둔것으로 유머의 본질이 예기치 않은 형식으로 본질적으로 서로 다른 두 사상, 개념 또는 상황이 함께 진행됨으로써 유머가 발생한다고 보는 견해.

-우월성 이론: 주로 타인의 약함과 흉함에 대한 반응으로 유머가 유발된다고 보는 견해 [14]

-정신분석적 이론: 유머는 가장된 성적 공격이다.

-언어 이론: 유머는 앞뒤가 맞지 않는 일과 다른 논리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관련된다고 보는 견해[15]

유머의 종류[편집]

기능별 분류[편집]

 -정서 순화형 유머
 -풍자형 유머
 -언어유희형
 -이야기형
 -비교분석형 유머 [16]

언어적 비언어적 요소에 따른 분류[편집]

 -언어적 요소
   -발음, 동음이의어, 단어의 중의성, 사투리, 받침,음성영상,  
    대구 활용하기
 -비언어적 요소
   -[동문서답]하기, 되받아치기, 고정관념 이용하기, 특징 찾아 핵심찌르기, 정곡 찌르기, 우스운 상황 연출하기, 함정만들기, 배경 지식 충돌시키기, 패러디하기 [17]

유머 기술의 요소[편집]

-불합리 absurdity : 넌센스, 논리적 규칙에 반하는 상황
-의인화 anthropomorphism: 사물이나 동물이 인간의 모습을 함
-호언장담bombast : 호언장담하거나 과장된 말
-추격chase: 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쫒아다니거나 추격함
-익살스러운 행동clownish behavior: 활발한 팔다리 움직임이나 과장된 불규칙 신체 행동
-서투름clumsiness: 숙달되거나 우아하지 않음
-우연의 일치coincidence: 우연히 예기치 않은 일이 일어남
-개념적 놀라움conceptual surprise: 갑작스럽게 기대하지 않았던 개념의 변화로 청중을 오해시킴
-실망disappointment: (사소한)실망을 가져오는 상황
-기이함eccentricity: 규범에서 벗어나는 사람, 이상한 등장 인물
-당혹스러움embarrassment: 누군가 불편함이나 창피함을 느끼게 되는 어색한 상황
-과장exaggeration: 과장된 말, 과장된 반응, 어떤 사람이나 사물의 질을 과장함
-기괴한 외양grotesque appearance : 놀라운 특성을 지닌, 이상하거나 괴물 같은 외양을 가진 사람
-무지ignorance: 어리석고 순진하여 속기 쉬운, 유치하게 행동하는 사람
-모방imitation: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어떤 사람의 모습이나 움직임을 따라 함
-분장impersonation: 의도적이든 비의도적이든, 다른 사람의 정체성을 지님
-어린애 같은 언동: 말소리를 어린애 같이 하며 노는 것
-비꼬기irony: 말하는 것과 다르거나 반대되는 것을 의미함
-무관한 행동irrelevant behavior: 귄위나 현존 기준을 적절히 존중하지 않음
-심술궂은 쾌락malicious pleasure: 다른 사람의 불행을 즐거워함, 희생자 유머
-오해misunderstanding: 상황을 잘못 해석함
-재치outwitting: 반박, 응답 또는 되받아칠 때 기지를 발휘하여 압도함
-패러디parody: 문체, 다른 문학 장르, 또는 다른 미디어를 모방함
-독특한 얼굴peculiar face: 우스꽝스러운 얼굴이나 찡그린 표정을 함
-독특한 소리peculiar sound: 만화에서 같이, 우스꽝스럽거나 예기치 않았던 소리
-독특한 목소리peculiar voice: 우스꽝스러운 이상한 소리
-동음이의의 익살pun: 이중의 뜻을 지닐 수 있는 단어의 의미를 활용하는 것
-재치 있는 즉답repartee: 대개 위트 있는 대화 안에 나타나는 언어 유희
-반복repetition: 같은 상황을 반복하거나 다시 보여 줌
-조롱ridicule: 누군가를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으로 놀림
-완고함rigidity: 보수적이고 융통성이 없어 경직된 사고를 하는 사람
-빈정거림sarcasm: 적대적 톤으로 날카롭게 쏘는 말을 함. 항상 언어적 표현
-풍자satire: 잘 알려진 사물, 상황, 또는 공적 인물을 놀리거나 찌름
-규모scale: 사람의 논리적 기대치를 뛰어넘는, 아주 크거나 작은 크기
-성적 암시sexual allusion: 성적이거나 장난스러운 문제를 가리키거나 암시함
-법석 떨기slapstick: 신체적으로 얼굴에 파이 묻히기 등, 누군가의 지위를 격하시킴
-속도speed: 아주 빠르거나 느린 동작으로 걷거나 움직임
-고정관념stereotype: 국가, 성, 집단의 구성원을 고정 관념화, 일반화시켜 표현함
-변형transformation: 어떤 사람이나 사물이 변형되어 다른 형태를 띰
-시각적 놀라움visual surprise: 갑작스럽고 예기치 않은 시각적, 신체적 변화 

[18]

참고자료[편집]

  1. 이상섭, 『문학비평용어사전』, 민음사, 2001년
  2. Berger,C(1987).Humor.American Behavioral Scientist,30(3),6~10
  3. McGhee,P (1979) Humor, its origin and development.
  4. 강문희(1983) "한국 아동의 유머 발달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5. zilmann&Bryant,1991,pp.268이후
  6. Diener, E, Sandvick, E, & Larsen, J (1985) Age and sex affects for emotional intensity, Developmental Psychology, 21(3), 542~546
  7. Berger,C(1987).Humor.American Behavioral Scientist,30(3),6~10
  8. Apete, M. L.(1985) Humor and Laughter: An anthropological approach Ithaca. N.Y.:Cornell University Press
  9. McGhee,P (1979) Humor, its origin and development.
  10. Berger,C(1987).Humor.American Behavioral Scientist,30(3),6~10
  11. 구현정(1999) "유머 담화의 구조와 생성 기제",159~184
  12. 손세모돌(1999) "유머로 보는 한국사회" 한민족문화연구
  13. 한성일(2003)"유머텍스트의 원리와 언어학적 분석",경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4. Lefcourt,H.M & Martin, R.A.(1986). Humor and life stress: Antidote to adversity. New York: Springer-Verlag.
  15. Berger,C(1987).Humor.American Behavioral Scientist,30(3),6~10
  16. 한얼 유머 동호회, 2000
  17. 이도영(1999) "유머 텍스트의 웃음 유발 장치"
  18. Buijzen & Valkenvurg “Developing a typology of humor in audiovisual media”, Media Psychology, pp.147~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