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Nicola Mitchell/연습장

틴 스캔 성당

틴 스캔 성당 (영어:Tin Can Cathedral); (우크라이나 말:Бляшана Катедра)은 북아메리카 최초의, 독립적인 우크라이나 교회이다. 이 교회는 캐나다의 위니펙에 설립되었고, 유럽의 다른 교회들과는 어떤 소속 관계도 없다.

우크라이나 이민자들이 1891년에 캐나다에 도착하기 시작했는데, 이들은 주로 서(西)우크라이나의 부코비나갈리치아 지역 출신이었다. 부코비나의 새로운 이주자는 동방 정교회, 갈리 치아에서 동방 가톨릭였다. 모두 비잔틴 의식을 즐겨했다. 1903 년까지 캐나다 서부에 우크라이나에서 이민 인구는 종교인, 정치인, 교육자 등의 관심을 끌 정도로 커졌다.

원칙[편집]

시릴 게닛쿠 (1857–1925)

위니펙에서 우크라이나 커뮤니티의 중심적인 인물은 시릴 게닛쿠 (1857-1925)였다. 그는 갈리 치아 출신으로 리비우 우크라이나 아카데믹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첼 두 야치 대학에서 단기간 법을 배웠다[1]. 게닛쿠 우크라이나의 '폭스 미키타" [2] 저자에서 문학 부문에서 노벨상 후보로 거론 된 적이있는 이반 프랑코 친구이다. 프랑코 당시의 성직자에 대한 신랄한 풍자와 사회 주의적 경향은 게닛쿠로 나눈 것으로 보여 게닛쿠는 프랑코의 결혼식 최고의 남자였다. 토지 제도의 개혁과 함께 성직자 집단 해고는 교회 계층과 공모하여 토지 관리를 유지하는 부재 지주의 속박에서 소작농 사람을 해방하는 하나의 방법이었다. 캐나다에 도착한 게닛쿠 캐나다 정부에 의해 고용 된 최초의 우크라이나 인이며, 이민 대행 인으로서 이주민을 농장에 안내했다. 게닛쿠 사촌 이반 보도라구(1874-1952) 와 보도라구 친구 이반 네구릿찌(1875-1946) 는 코로메아 지방의 벼 레즈ィ부 마을 출신으로, 갈리 치아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자격이 있었다[1]. 이 3 명은 우크라이나 커뮤니티 인텔리의 핵을 이루고 삼인조 알려져 있었다. 이 3 명 중 최고령 게닛쿠 만 결혼했다. 그의 아내 폴린 (옛 쯔루코스키)는 사제의 딸 학있는 여성 3 명의 아들과 3 명의 딸이 있었다[3].

다른 주요 인물은 세라핌 주교에서 실명은 스테판 우스토 보르 스키이다. 우스토 보르 스키는 상트 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세이 쿄 회의에 의해 성직을 박탈 당하고 말았다. 그러나 그의 경력은 개인적인 이유에서 아토스 산 여행하고 주교라고 주장하는 성 안휘무에 의해 임명 된 때부터 시작된다. 당시 러시아 세이 쿄 회의와 러시아 황제가 러시아 정교회를 제어하려고 몸부림 치고있어 성 안휘무는 황제에 대한 원망에서 우스토 보르 스키를 임명했다. (적어도 이것이 그가 새로운 세계로 가져온 이야기이다)[4] 주교로 임명되었다 세라핌은 북미 여행 필라델피아 우크라이나 인 주교 곳에 단기 체류했다. 그가 우이 두 페그에 도착했을 때에는 러시아 정교회와 다른 모든 사람들에게 충성심은 없었다. 평원에 사는 우크라이나 인은 기독교의 기원부터 계속되고있는 전통에 따라 그를 순회 성직자로 받아 들였다[5].

결과적으로 틴 스캔 성당 창립 한 이벤트에 참석 한 또 한 명의 인물은 마카리이 · 마루첸코이다. 마루첸코는 집사 또는 선창자로 자신에게 친숙한 교회 예배에서 세라핌을 도왔다. 그는 세라핌과 함께 미국에서 도착했다. 교황와 직접 접촉이 있었다 캐나다 서부의 로마 가톨릭 교구의 길이였다 란제 반 대주교가 세인트 보니훼스 지역에 있었다. 그는 사제들이 우크라이나 인구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이상이라고 판단한[6]. 다른 참여자 뜬 두 페그 장로 교회 매니토바 대학 학장, 닥터 윌리엄 패트릭 매니토바 자유당 북미 러시아 정교회 선교회의 장, 티홍 주교와 러시아 정교회 선교사들로 있다.

이벤트[편집]

하나의 사건이 다음 드라마를 일으킨하면 매니토바 의원 중 한 명인 조셉 바니에가 1902 년에 로마 교회에서 로마와 공유하고있는 그리스 루시 인 (우크라이나 사람은 루신인 라고도했다)의 땅을 사단 법인의 통제하는 제안을 담은 조례를 소개했을 때지도 모른다[7]. 란제 반 대주교는 "루시 사람은 개신교처럼되어서는 안된다. 교회에 땅을 부쳐 가톨릭로 자신을 증명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사제, 주교로부터 독립 하고있는 개인, 평신도위원회에 선언했다[8].평원 우크라이나 인구는 러시아 정교회 선교사에게 매력이 있었다. 그 당시 러시아 정교회는 미국에서 선교 활동 두 년 10 만 달러를 지출했다[4]. 또한 장로 교회 우크라이나 커뮤니티의 젊은이들에게 관심을 갖고 매니토바 대학 (현재 우이 두 페그 대학)에 참석하도록 초청했다. 그곳에서는 교사 (후에 독립 한 그리스 교회 목사)[9] 가되고 싶은 젊은 우크라이나 인을위한 특별 클래스가 열렸다. 독일어 능통 한 대학 학장의 닥터 킹이 독일어에서 후보자, 보도라구과 네구릿찌의 인터뷰를 실시했다. 게닛쿠이 학업 성적서를 폴란드어에서 영어로 번역했다. 그들은 북미 최초의 우크라이나 인 대학생이되었다. 매니토바 대학은 당시 매니토바 대학 의 일부였다.

내부 틴 스캔 성당, 1905

게닛쿠, 보도라구, 네구릿찌는 커뮤니티의 확보에 달려 들었다[10]. 그들은 세라핌을 불렀다. 그는 유럽의 어떤 교회에서도 독립적 평원 우크라이나 이민 오신 영혼을 겨루는 다른 어떤 종교 단체에 충성을 나타내지 않는 교회를 설립하기 위해1903[11]년 4 월 우이 두 페그에 도착했다. 그들의 의향을 충족 세라핌은 긍정적 인 러시아 교회 (러시아 정교회가 아닌)를 출시, 자신이 그 길이되고, 우크라이나 인을 회유했다. 이 교회는 세라핌 교회라고도했다. 그는 교회 회원들에게 그들이 익숙한 동방 정교회의 의식 전례를 제공하고 선창자, 집사를 임명했다. 그리고 1903 년 12 월 13 일, 매니토바와 프 리처드 애비뉴 사이의 마구레고 스트리트의 동쪽 작은 뼈대 건물 (홀리 고스트 교회라고했을지도 모른다)가 정식으로 세라핌 의해 축복 예배 위해 오픈 한[12]. 1904 년 11 월에 그는 그 악명 높은 금속이나 나무 조각으로 만들어진 '틴 스캔 성당 "을 킹 스트리트와 스텔라 애비뉴에 짓기 시작했다[13]. 카리스마 세라핌은 50 명의 사제와 수많은 부제, 대부분은 문맹,을 임명 그들은 성직자의 의무를 각 정착촌에서 수행 독립적 인 정 설과 교회 땅 이사 소유를 폈다. 2 년 동안이 협회는 6 만명의 신자가 있다고 발표했다[14].

알코올에 의한 다양한 경솔한 행동이나 문제에서[10]그는 우이 두 페그에 초대 한 지식인의 신용을 잃고 보도라구ら는 교회를 잃지 않고 그를 제거하기 위해 쿠데타를 일으켰다. 세라핌은 상트 페테르부르크에 가서 평가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러시아 세이 쿄 회의에서 성황리 세라핌 교회를 위해 보조금을 얻으려고했다. 그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이미 매니토바 대학의 신학생이었던 이반 보도라구와 이반 네구릿찌은 앞으로 장로 교회 모델로 이행하는 것을 바탕으로 장로 교회에서 보조금의 보장을 받고 했다. 1904 년 늦가을, 세라핌은 러시아에서 귀환했지만 아무런 보조금도 가져 오지 않았다[15]. 귀환 후 배신을 발견하고 즉시이 배신에 관여 한 모든 성직자를 파문했다. 그는 지역 신문에 마치 범죄자처럼 배신 한 부하의 이름을 가슴에 수평 한 사진을 게재했다[16]. 자신과의 성직자 러시아 세이 쿄 회의에서 파문 된라는 말을 받았을 때, 그의 복수는 그치고 1908 년에 뜬 두 페그를 떠나고 돌아올 수 없었다[14].

결과[편집]

이 사회적, 영적 작은 위기 상황이 평원을 덮 쳤을 때 우크라이나 계 캐나다인 커뮤니티는 일어 섰다. 세라핌 교회의 반역자의 하나 인 이반 보도라구가 독립 교회의 새로운 길이되었다. 그는 장로의 영향으로 복음주의 기독교를 때, 그 나름대로 상당한 카리스마 사제였다. 그는 1950 년대까지 살았다. 독립 교회 건물은 프 리처드 애비뉴와 마구레고 스트리트의 모퉁이에 위치한 세라핌의 첫 번째 교회는 파괴되었지만, 장로교 교부금에 의해 지어진 두번째 건물 뜬 두 페그 노스 엔드 레이버 템플 건너편에 지금도 서[17].

란제 반 대주교 우크라이나 커뮤니티를 로마 카톨릭 산하에 융합하려고 노력했다. 그는 성 니콜라스의 바시리우스 교회를 설립하고 벨기에의 성직자, 아키리 · 데레아 기타를 데려왔다. 그들은 구 슬로베니아 교회의 미사를 읽고 그리스의 의식에 따라 을 입고 폴란드어로 설교를했다. 이 교회 뜬 두 페그 노스 엔드 마구레고 스트리트 성 부라도미아 올가의 독립 우크라이나 가톨릭 성당 맞은 편에 있었다. 이러한 경쟁은 우크라이나 계 캐나다인의 아이들에게 우크라이나어 를 배우는 좋은 기회를 제공 한[16].

당시 로마 카톨릭은 보수당와 연관되며, 우크라이나 인은 란제 반 대주교와는 관련이 없음을 알고 있었다 자유당는 캐나다에서 처음 우크라이나어 신문Kanadiskyi Farmer (캐나다 농가)에 보조금을 냈다. 그리고 그 편집장은 다름 아닌 이반 네구렛찌였다.

세라핌은 1908 년에 사라졌지 만Ukrainskyi Holos 우크라이나의 목소리 (현재도 우이 두 페그 발행) 신문에 그의 후속이 적혀있다. 1913 년경까지 브리티시 컬럼비아 에서 철도 노동자에 성경을 팔고 있었고, 다른 이설은 러시아 에 돌아갔다. 세릴 · 게닛쿠은 장녀와 아들 한 명과 함께 미국 [[노스다코타 주|노스 다코타]에 넘어갔지 만 잠시 떠 두 페그로 돌아가1925 년에 사망했다.

마카리 · 마루첸코은 세라핌이 떠난 후, 세라핌 교회의 새로운 주교라고 자칭했을뿐만 아니라, 총대주교 교황, 에미리트, 왕자 라고 선언했다. 그리고 우리 몸을 지키기 위해, 또는 편애 없도록와 교황과 러시아 세이 쿄 회의를 파문했다[14]. 그는 1930 년경까지 지방 우크라이나 커뮤니티에 가서 커뮤니티가 기대했던 동방 의식을 제공했다는 기록이있다.

각주[편집]

  1. Martynowych, Orest T. Ukrainians in Canada: The Formative Period, 1891-1924. Canadian Institute of Ukrainian Studies Press,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1991, page 170.
  2. Franko, Ivan; Kurelek, William; Melnyk, Bohdan (1978). Fox Mykyta. Tundra Books, Montreal. ISBN 0887761127.
  3. Hryniuk, Stella. Dictionary of Canadian Biography Online, www.biographi.ca/EN/009004-119.01-e.php?id_nbr=8154
  4. Mitchell, Nick. Ukrainian-Canadian History as Theatre in The Ukrainian Experience in Canada: Reflections 1994, Editors: Gerus, Oleh W.; Gerus-Tarnawecka, Iraida; Jarmus, Stephan, The Ukraini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in Canada, Winnipeg, page 226
  5. Mitchell, Nick. The Mythology of Exile in Jewish, Mennonite and Ukrainian Canadian Writing in A Sharing of Diversities, Proceedings of the Jewish Mennonite Ukrainian Conference, “Building Bridges”, General Editor: Stambrook, Fred, Canadian Plains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Regina, 1999, page 188.
  6. Martynowych, Orest T. Ukrainians in Canada: The Formative Period, 1891-1924. Canadian Institute of Ukrainian Studies Press,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1991, page 184.
  7. Martynowych, Orest T. Ukrainians in Canada: The Formative Period, 1891-1924. Canadian Institute of Ukrainian Studies Press,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1991, page 189.
  8. Winnipeg Tribune 25 February 1903.
  9. Martynowych, Orest T. Ukrainians in Canada: The Formative Period, 1891-1924. Canadian Institute of Ukrainian Studies Press,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1991, page 192
  10. Yereniuk, Roman, A Short Historical Outline of the Ukrainian Orthodox Church of Canada, www.uocc.ca/pdf, page 9
  11. Martynowych, Orest T. Ukrainians in Canada: The Formative Period, 1891-1924. Canadian Institute of Ukrainian Studies Press,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1991, page 190
  12. Martynowych, Orest T., The Seraphimite, Independent Greek, Presbyterian and United Churches, umanitoba.ca/...canadian.../05_The_Seraphimite_Independent_Greek_Presbyterian_and_United_Churches.pdf -, page 2
  13. Martynowych, Orest T., The Seraphimite, Independent Greek, Presbyterian and United Churches, umanitoba.ca/...canadian.../05_The_Seraphimite_Independent_Greek_Presbyterian_and_United_Churches.pdf -, page 1
  14. Bodrug, Ivan. Independent Orthodox Church: Memoirs Pertaining to the History of a Ukrainian Canadian Church in the Years 1903-1913, translators: Bodrug, Edward; Biddle, Lydia, Toronto, Ukrainian Research Foundation, 1982, page xiii
  15. Bodrug, Ivan. Independent Orthodox Church: Memoirs Pertaining to the History of a Ukrainian Canadian Church in the Years 1903-1913, translators: Bodrug, Edward; Biddle, Lydia, Toronto, Ukrainian Research Foundation, 1982, page 81
  16. Mitchell, Nick. Ukrainian-Canadian History as Theatre in The Ukrainian Experience in Canada: Reflections 1994, Editors: Gerus, Oleh W.; Gerus-Tarnawecka, Iraida; Jarmus, Stephan, The Ukraini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in Canada, Winnipeg, page 229
  17. Martynowych, Orest T. Ukrainians in Canada: The Formative Period, 1891-1924. Canadian Institute of Ukrainian Studies Press,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1991, photograph 47.

또한보십시오[편집]

서지[편집]

  • Bodrug, Ivan. Independent Orthodox Church: Memoirs Pertaining to the History of a Ukrainian Canadian Church in the Years 1903-1913, translators: Bodrug, Edward; Biddle, Lydia, Toronto, Ukrainian Research Foundation, 1982.
  • Manitoba Free Press, issues of 10 October 1904, 20 January 1905, 28 December 1905.
  • Martynowych, Orest T. (2011). The Seraphimite, Independent Greek, Presbyterian and United Churches.
  • Martynowych, Orest T. Ukrainians in Canada: The Formative Period, 1891-1924. Canadian Institute of Ukrainian Studies Press,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1991.
  • Maruschak, M. The Ukrainian Canadians: A History, 2nd ed., Winnipeg: The Ukraini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in Canada, 1982.
  • Mitchell, Nick. The Mythology of Exile in Jewish, Mennonite and Ukrainian Canadian Writing in A Sharing of Diversities, Proceedings of the Jewish Mennonite Ukrainian Conference, "Building Bridges", General Editor: Stambrook, Fred, Canadian Plains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Regina, 1999.
  • Mitchell, Nick. Ukrainian-Canadian History as Theatre in The Ukrainian Experience in Canada: Reflections 1994, Editors: Gerus, Oleh W.; Gerus-Tarnawecka, Iraida; Jarmus, Stephan, The Ukraini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in Canada, Winnipeg.
  • Winnipeg Tribune, issue of 25 February 1903.
  • Yereniuk, Roman, A Short Historical Outline of the Ukrainian Orthodox Church of Canada.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