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Nuel92/메르브 전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메르브 전투
페르시아-우즈벡 전쟁의 일부

이스파한체헬소툰 궁전에 그려진 이스마일 1세 샤와 무함마드 샤이바니 칸 사이에서 벌어진 메르브 전투 프레스코
날짜1510년 12월 2일[2]
장소
결과 사파비 왕조의 승리.[1] 사파비 왕조가 호라산을 정복함.
교전국
사파비 왕조 아불 하이르 왕조
지휘관
이스마일 1세 무함마드 샤이바니 칸†
병력
17,000 명[3] 28,000 명[3]
피해 규모
소수 10,000 명[4]

메르브 전투(아제르바이잔어: Mərv döyüşü, 페르시아어: نبرد مرو)는 1510년 12월 2일사파비 왕조아불 하이르 왕조 사이에서 발생한 전투로, 사파비 왕조의 승리로 아불 하이르 왕조의 호라산 침입을 종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이 전투 이후 페르시아는 호라산을 다시 차지할 수 있었다.

배경[편집]

무함마드 샤이바니 칸의 우즈벡 집단이 1495년 이후 트란스옥시아나의 권좌를 차지한 이후 무함마드 샤이바니 칸은 티무르 왕조헤라트를 차지할 기회를 엿보고 있었고, 결국 1507년에 우즈벡의 군세가 헤라트와 그 인근 지역을 점령하는데 성공했다.[5] 이스마일 1세 샤는 1502년아제르바이잔을 장악하고, 1509년에는 이란 전역을 차지하는데 성공했다.[6] 후세인 바이카라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바디 알자만은 헤라트를 잃어버린 이후 이스마일의 궁정으로 망명해 이스마일이 동부 원정을 떠나게 충동질했다.[5]

전투[편집]

이스마일 1세 샤와 무함마드 샤이바니 칸의 싸움

이스마일은 빠른 속도로 호라산에 닿았다. 샤이바니 칸은 메르브로 후퇴하여 그 성채에서 우즈벡 부족들의 지원군을 기다렸다. 사파비조의 군대는 퇴각하는 흉내를 내어, 우즈벡인들이 성에서 나와 추격하게끔 했다. 그러나 우즈벡 군대가 성에서 너무 멀어지자 매복 중이던 이스마일의 키질바쉬들이 그들을 끝장내 버렸다. 사파비조의 군대는 샤이바니 칸의 군대보다 그 수가 훨씬 적었다고 여겨진다. 샤이바니 칸 그 자신은, 전투의 와중에 포로가 되었고, 탈출을 시도하다가 죽임을 당했다. 이스마일은 칸의 시신을 조각내어 제국의 각지에 전시하고, 두개골은 황금과 보석으로 장식하여 술잔으로 만들었다.[3]

결과[편집]

전투 이후 사파비조는 즉각 호라산을 점령했다. 이후 호라산의 많은 주민들이 이스마일의 종교인 시아파 이슬람으로 개종했다.

무함마드 샤이바니 칸의 죽음이 사파비 왕조에 대한 우즈베크인의 위협을 없애지는 못 했다. 이것이 이루어지는 것은 16세기 말이 될때까지 기다려야 했다.[5]

메르브 전투에서 포로가 된 여인 중 한명은 바부르의 여동생, 한자다 베굼이었다. 그녀는 바부르가 샤이바니에게 사마르칸드를 강제로 넘길 때 함께 넘겨져 샤이바니와 결혼했었다. 이스마일 1세는 그녀를 바부르에게 보냈는데, 메르브 전투 소식을 듣고 트란스옥시아나로 오고 있던 바부르와 쿤두즈에서 합류했다. 이때 그녀와 함께 간 이스마일의 대사는, 바부르가 시아파로 개종한다는 조건 하에 트란스옥시아나를 탈환하는데 도움을 주겠다고 제의했다. 바부르와 이스마일의 군대는 곧 트란스옥시아나를 점령했으나, 구즈반 전투에서 우즈벡 집단에게 패배하여 결국 물러났다.[7]

각주[편집]

  1. R. Savory, Iran under the Safavids(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p. 36.
  2. Roger M. Savory, Ahmet T. Karamustafa, “ESMĀʿĪL I ṢAFAWĪ,” Encyclopaedia Iranica, Online Edition, December 15, 1998, available at this.
  3. “이스마일 1세,” 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여기에서 확인 가능.
  4. R. Savory, Iran under the Safavids(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p. 36.
  5. H. R. Roemer, “The Safavid Period,” The Timurid and Safavid Periods, Eds. P. Jackson, L. Lockhart(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p. 217.
  6. 스티븐 데일, “유럽 팽창 시대의 이슬람권,”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케임브리지 이슬람사》, 프랜시스 로빈슨 편집, 손주영, 송경근, 황병하 옮김(서울: 시공사, 2002), p.112-13.
  7. H. R. Roemer, “The Successors of Tīmūr,” The Timurid and Safavid Periods, Eds. P. Jackson, L. Lockhart(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p. 126-27.

http://en.wikipedia.org/wiki/Battle_of_Mar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