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Pilover819/허리케인 프레드 (2009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Pilover819/허리케인 프레드
3등급 메이저 허리케인 (SSHWS/NWS)
허리케인 프레드 2009년 9월 9일 오후 12시 50분 (UTC)
발생일2009년 9월 7일
소멸일2009년 9월 12일
최대 풍속1분 평균 풍속: 195 km/h (120 mph)
최저 기압958 hPa (mbar); 28.29 inHg

허리케인 프레드 (Hurricane Fred, 번호 AL072009)는 대서양 동부에서 발생하여 5일 후 소멸한 3등급 케이프 베르데형 허리케인이다. 2009년 9월 7일에 발생하여 12일에 소멸하였다.

프레드로 인한 피해는 별로 없었으나, 북위 30도 남쪽, 서경 35도 동쪽 허리케인 중 가장 강한 허리케인이였다.

허리케인의 진행[편집]

허리케인 프레드는 9월 6일 아프리카에서 진출한 열대 파동으로부터 발생하였다. 주변 환경은 열대저기압 발생에 적합했으며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는 서서히 열대저기압으로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1] 다음 날, 그 열대 파동은 카보베르데 남쪽을 지나갔다. 그 때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는 24시간 내에 열대저기압이 발생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 카보베르데를 지나가는 동안 열대 파동에서 저기압이 발생하였다.[3] 계속된 발달로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는 이 저기압을 2009년 대서양 허리케인의 일곱번째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했다고 발표하였다. 이 때 열대저기압은 카보베르데 최남단 지역에서 남쪽 260 킬로미터 지역에 위치하고 있었다.[4]

아프리카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컴퓨터로 생성된 허리케인 프레드 위성사진 (9월 9일)

그러나 정확한 위치는 파악하기 어려웠다고 미국 허리케인 센터는 발표했다. 열대저기압 제7호는 서진하였고, 약간의 윈드 시어로 인해 대류 활동이 중심의 서쪽에서만 주로 이루어졌다.[5] 몇시간 후,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는 열대저기압 제7호가 열대폭풍으로 발달했다고 발표했고, "프레드"라는 이름을 지정하였다.[6] 이 때 "프레드"라는 이름이 처음 쓰였다. "[7] 열대폭풍으로의 발달은 열대폭풍 주변에 강우대 (降雨帶, rainband)를 생성하였고, 프레드의 중심 주변에 강한 비와 뇌우가 더욱 활발해졌다.[8] 프레드는 계속 발달하였고,[9] 9월 8일이 되자 허리케인의 눈이 생기기 시작하였다. [10] 잠시 후, 프레드는 1등급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였다.[11] 9월 9일 아침 (UTC), 위성사진을 검토한 결과 급격히 발달하면서 프레드가 2등급 허리케인으로 발달하였다고 알려졌다.[12] 이는 낮은 윈드시어와 높은 수온으로 인해 완전히 생성된 지름 19 km의 허리케인의 눈 덕분이다.[13] 발달은 몇시간동안 계속되었고, 그 후 풍속 120 마일, 최저기압 958 hPa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를 맞이함으로써 2009년 대서양 허리케인 중 두번째로 가장 강한 허리케인이 되었다.[14]

약화되고 있는 허리케인 프레드 (9월 10일)

최성기를 맞이한 지 몇 시간 후, 구름이 허리케인의 눈 위에 덮이기 시작해 약화되기 시작하였다. 이 때, 프레드는 북서진을 하기 시작하였다.[15] 건조한 공기로 인해 대류 활동이 줄어들어 계속해서 약화하고 있었고, 위성사진으로는 허리케인의 눈을 더 이상 보지 못하게 되었으며, 윈드시어도 높아지기 시작하였다.[16] 나쁜 주변환경으로 인해 대류활동이 위아래로 벌어지고, 주로 북동쪽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17] 9월 11일, 허리케인 프레드는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다.[18] 윈드시어와 건조한 공기로 인해 9월 12일에 프레드가 급격히 약화되었다.[19] 프레드는 그 후 저기압으로 약화되어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에서는 마지막 주의보 (advisory)를 발령하였다.[20]

9월 13일, 매우 나쁜 환경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류활동이 잠시 활발해져 재발생의 확률이 있었다.[21] 이틀 후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에서는 매우 나쁜 환경이 잠시 좋아져 재발생의 확률이 있다고 발표하였다.[22] 그러나 9월 16일에 대류활동이 다시 약화되었다.[23] 9월 17일, 저기압은 매우 약화되어 소멸하었고 열대저기압으로의 발생 확률은 거의 없어졌다.[24][25] 그러나 몇 시간 후, 저기압이 재발생하였다.[26] 9월 21일, 저기압 프레드와 동반한 비가 미국 플로리다 주 동해안을 접근하였고 몇몇 기상학자들은 미국 남동부에 비가 올 확률이 훨씬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하였다.[27] 며칠 후, 원래는 메이저 허리케인이었던 프레드는 미국 조지아 주에 상륙하여 피해를 입혔다. [28][29] 그리고 드디어 9월 23일에 저기압 프레드는 완전히 소멸하였다.

이동 경로[편집]

<Under Construction>

피해 및 기록[편집]

열대저기압 제7호가 지정되기 몇 시간 전, 그 저기압은 카보베르데에 약한 비를 일으켰다.
그리고 허리케인 프레드가 소멸한 후 남은 저기압은 미국 남동부에 상륙해 며칠 전부터 온 비와 합쳐져 미국 조지아 주에 많은 피해를 끼쳤다.

허리케인 프레드는 1851년 이후 세번째로 서경 35도 동쪽에서 발생하였고, 그 중에서 가장 강한 허리케인이었다. 그러나 위성 사진이 발달한 1960년대 이전에 발견되지 못한 허리케인이 있을 수 있다고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는 발표하였다.

주석[편집]

  • 참고로 아래의 주석들은 모두 영어로 되어 있다.
  1. 파시, 리차드. “Tropical Weather Outlook”.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 |저자=|성= (도움말)
  2. Richard Pasch (2009년 9월 7일). “Tropical Weather Outlook”.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9일에 확인함. 
  3. Daniel Brown (2009년 9월 7일). “Tropical Weather Outlook”.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9일에 확인함. 
  4. Daniel Brown (2009년 9월 7일). “Tropical Depression Seven Public Advisory One”.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9일에 확인함. 
  5. Daniel Brown (2009년 9월 7일). “Tropical Depression Seven Discussion One”.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9일에 확인함. 
  6. Michael Brennan (2009년 9월 7일). “Tropical Storm Fred Public Advisory Two”.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12일에 확인함. 
  7. Oficina Nacional de Meteorología, Centro de Información Huracanes (2004). “Reports of hurricanes, tropical storms, tropical disturbances and related flooding during 2003” (PDF). 2009년 9월 12일에 확인함. 
  8. Michael Brennan (2009년 9월 7일). “Tropical Storm Fred Discussion Two”.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12일에 확인함. 
  9. Richard Pasch (2009년 9월 8일). “Tropical Storm Fred Discussion Three”.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12일에 확인함. 
  10. Eric Blake (2009년 9월 8일). “Tropical Storm Fred Discussion Five”.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12일에 확인함. 
  11. Robbie Berg (2009년 9월 8일). “Hurricane Fred Public Advisory Six”.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12일에 확인함. 
  12. Richard Pasch (2009년 9월 9일). “Hurricane Fred Discussion Seven”.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12일에 확인함. 
  13. Richard Pasch (2009년 9월 9일). “Hurricane Fred Forecast Advisory Seven”.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12일에 확인함. 
  14. Eric Blake (2009년 9월 9일). “Hurricane Fred Public Advisory Eight”.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12일에 확인함. 
  15. Eric Blake (2009년 9월 9일). “Hurricane Fred Discussion Nine”.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12일에 확인함. 
  16. Robbie Berg (2009년 9월 9일). “Hurricane Fred Discussion Ten”.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12일에 확인함. 
  17. Lixion A. Avila (2009년 9월 10일). “Hurricane Fred Discussion Thirteen”.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12일에 확인함. 
  18. Lixion A. Avila (2009년 9월 11일). “Tropical Storm Fred Discussion Seventeen”.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12일에 확인함. 
  19. Eric Blake (2009년 9월 12일). “Tropical Storm Fred Discussion Nineteen”.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12일에 확인함. 
  20. Todd Kimberlain (2009년 9월 12일). “Tropical Depression Fred Discussion Twenty-One (Final)”.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12일에 확인함. 
  21. “Tropical Weather Outlook (update)”.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13일. 2009년 9월 13일에 확인함. 
  22. Daniel Brown (2009년 9월 15일). “Tropical Weather Outlook”.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17일에 확인함. 
  23. Eric Blake (2009년 9월 16일). “Tropical Weather Outlook”.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17일에 확인함. 
  24. Lixion A. Avila (2009년 9월 17일). “Tropical Weather Outlook”.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17일에 확인함. 
  25. Daniel Brown (2009년 9월 17일). “Tropical Weather Outlook”.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17일에 확인함. 
  26. Jack Beven (2009년 9월 17일). “Tropical Weather Outlook”. National Hurricane Center. 2009년 9월 17일에 확인함. 
  27. Jason Brewer (2009년 9월 21일). “Remnants Of Hurricane Fred Near Fla.”. WESH2. 2009년 9월 26일에 확인함. 
  28. J. D. Gallop (2009년 9월 23일). “Record rain today; Brevard eyes cool front next week”. Florida Today. 2009년 9월 26일에 확인함. 
  29. Associated Press (2009년 9월 22일). “Death Toll Rises in Southeast Floods”. CBS News. 2009년 9월 2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