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Propheceer/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로젝트 붉은악마[편집]

프로젝트 1983[편집]

1980년대[편집]

1990년대[편집]

2000년대[편집]

2010년대[편집]

국가별 참가 기록[편집]

대회
국가
홍콩
1956년
대한민국
1960년
이스라엘
1964년
이란
1968년
태국
1972년
이란
1976년
쿠웨이트
1980년
싱가포르
1984년
카타르
1988년
일본
1992년
아랍에미리트
1996년
레바논
2000년
중국
2004년
말레이시아베트남
인도네시아태국
2007년
카타르
2011년
횟수
남예멘 남예멘 ×         6       예멘으로 출전 1
대한민국 우승 우승 3위 준우승 준우승 9위 준우승 7위 3위 6위 3위 3위 12
레바논 레바논 ×                     10       2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5 6             16   3
미얀마 미얀마 ×     준우승                       1
바레인 ×               9       4위 13 10 6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           10                 1
베트남 베트남 ×                         8   2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 4위 4위         베트남으로 출전 2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우승 우승 준우승 우승 준우승 13위 준우승 15위 8
시리아 시리아 ×           5 8 6   9       11 6
싱가포르 싱가포르 ×             7               1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 × × × × × 9위 6위 8위 4위 준우승 15위 12위 13위 8
예멘 예멘 ×                             1
오만 오만 ×                       9 15   4
오스트레일리아 OFC 소속 7 준우승 4
요르단 요르단 ×                       7   6 4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소련의 일원 10 12 5 6 4위 7
이라크 이라크 ×       6 4위         6 7 8 우승 8 9
이란 이란 × × 우승 우승 우승 3위 4위 3위 5위 3위 5위 3위 5위 5위 12
이스라엘 이스라엘 준우승 준우승 우승 3위   비회원국 4
인도 인도 ×   준우승         10             16 4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                   11 11 11 11   4
일본 × × × × × × 10위 우승 5위 우승 우승 4위 우승 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4위     8         12 5
중국 중국 × × × × × 3위 7위 준우승 4위 3위 8위 4위 준우승 9위 9위 10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3위   4위                       2
카타르 카타르 ×           8 5 5 6   8 14 14 7 10
캄보디아 캄보디아       4위                     1
쿠웨이트 쿠웨이트 ×       5 준우승 우승 3위 7   4위 6 10   14 10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 ×                             1
태국 태국 ×       3위         7 12 9 16 10   7
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소련의 일원     12     2
팔레스타인 팔레스타인 비회원국         2
필리핀 필리핀                             1
홍콩 홍콩 3위   4위 5                       3
본선 참가국 수 4 4 5 5 6 6 10 10 10 8 12 12 16 16 16 180

국가별 참가 기록[편집]

대회
국가
오스트레일리아
2015년
아랍에미리트
2019년
횟수
남예멘 남예멘           6       예멘으로 출전 1
대한민국 1 1 3   2   2 9 2   7 3 6 3 3 2 14
레바논 레바논                       10         2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5 6             16       3
미얀마 미얀마       2                           1
바레인                 9       4 13 10 11 6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10                     1
베트남 베트남                           8     2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 4 4         베트남으로 출전 2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1 1 2 1 2 13 2 15 10 10
시리아 시리아             5 8 6   9       11   6
싱가포르 싱가포르               7                   1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9 6 8 4 2   15 12 13 3 10
예멘 예멘                                 1
오만 오만                         9 15   12 4
오스트레일리아 OFC 소속 7 2 1 4
요르단 요르단                         7   6 9 4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소련의 일원 10 12 5 6 4 8 7
이라크 이라크         6 4         6 7 8 1 8 4 9
이란 이란       1 1 1 3 4 3 5 3 5 3 5 5 6 14
이스라엘 이스라엘 2 2 1 3   비회원국 4
인도 인도     2         10             16   4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11 11 11 11       4
일본                 10 1 5 1 1 4 1 5 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4     8         12 13 5
중국 중국           3 7 2 4 3 8 4 2 9 9 7 12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3   4                           2
카타르 카타르             8 5 5 6   8 14 14 7 13 10
캄보디아 캄보디아         4                         1
쿠웨이트 쿠웨이트         5 2 1 3 7   4 6 10   14 15   10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                                 1
태국 태국         3         7 12 9 16 10     7
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소련의 일원     12       2
팔레스타인 팔레스타인 비회원국         16 2
필리핀 필리핀                                 1
홍콩 홍콩 3   4 5                           3
본선 국가수 4 4 5 5 6 6 10 10 10 8 12 12 16 16 16 16 24 180

K리그1[편집]

회차 명칭
제1회 1983년 수퍼리그
제2회 1984년 축구대제전 수퍼리그
제3회 1985년 축구대제전 수퍼리그
제4회 1986년 축구대제전
제5회 1987년 한국프로축구대회
제6회 1988년 한국프로축구대회
제7회 1989년 한국프로축구대회
제8회 1990년 한국프로축구대회
제9회 1991년 한국프로축구대회
제10회 1992년 한국프로축구대회
제11회 1993년 한국프로축구대회
제12회 1994년 코리안리그
제13회 1995년 코리안리그
제14회 1996년 프로축구대회
제15회 1997년 프로축구대회
제16회 1998년 K-리그
제17회 1999년 K-리그
제18회 2000년 K-리그
제19회 2001년 K-리그
제20회 2002년 K-리그
제21회 2003년 K-리그
제22회 2004년 K-리그
제23회 2005년 K-리그
제24회 2006년 K-리그
제25회 2007년 K-리그
제26회 2008년 K-리그
제27회 2009년 K-리그
제28회 2010년 K리그
제29회 2011년 K리그
제30회 2012년 K리그
제31회 2013년 K리그 클래식
제32회 2014년 K리그 클래식
제33회 2015년 K리그 클래식
제34회 2016년 K리그 클래식
제35회 2017년 K리그 클래식
제36회 2018년 K리그1
제37회 2019년 K리그1

K리그1[편집]

1983년 수퍼리그[편집]

1983년 수퍼리그1983년 4월 12일아시아 최초의 프로축구리그로서 출범하였다. 당시 프로구단의 수가 부족한 점을 감안하여 대한축구협회는 최상위권 실업구단들의 수퍼리그 참가를 기획하였다. 이에 따라 수퍼리그 원년에는 프로구단인 할렐루야 독수리유공 코끼리는 물론 실업구단인 포항제철 돌핀스, 대우 로얄즈, 국민은행 까치까지 총 5개 구단이 참가하였다.

5월 8일에 열린 할렐루야 독수리유공 코끼리의 개막전 경기를 시작으로 5개 구단들은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전주, 춘천, 마산안동까지 총 9개 도시를 순회하며 모두 40경기를 벌였다. 순회 중인 도시의 경기장에서 하루에 두 경기씩 토요일일요일에 경기를 갖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실업구단의 참가, 미숙한 경기 운영 등의 측면에서 볼 때 출범 당시 수퍼리그는 온전한 프로리그로서는 부족한 면이 많았다. 하지만, 9월 25일에 열린 유공 코끼리대우 로얄즈의 폐막전 경기까지 수퍼리그는 평균 20,924명의 많은 관중을 모으며 침체기에 있던 한국 축구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1984년 축구대제전 수퍼리그[편집]

1984년 축구대제전 수퍼리그1983년에 아시아 최초의 프로축구리그로 출범한 수퍼리그가 맞이하는 2번째 시즌으로, 공식 리그명이 '수퍼리그'에서 '축구대제전 수퍼리그'로 바뀌었다. 축구대제전 수퍼리그는 원년 대회의 축구 흥행을 이어가고, 1986년 FIFA 월드컵에 대비해 우수한 선수들을 발굴한다는 목표로 3월 31일동대문운동장에서 개막하였다. 서울, 부산, 광주, 대전, 청주, 원주, 울산, 강릉, 전주, 대구, 안동, 마산인천까지 총 13개 도시에서 56일간 112경기가 열렸으며, 주말에 두 경기를 치르면서 선수들의 피로가 극심했던 원년 대회의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리그 구성원에 몇 가지 변화가 생겼다. 우선, 원년 대회 당시 실업구단이었던 대우 로얄즈포항제철 돌핀스가 프로화를 마쳤다. 또한, 신생 프로구단인 럭키금성 황소현대 호랑이가 축구대제전 수퍼리그에 가입하였다. 이 외에도 한일은행 축구단이 전년도 실업축구리그 우승팀 자격으로 합류하였다.

리그 방식에도 변화가 생겼다. 원년 대회에서 시행한 단일 리그 제도를 폐지하고 양대 리그 제도의 일종인 전・후기 리그 제도를 새롭게 도입하였다. 또한 많은 득점을 유도하기 위해 원년 대회와는 달리 승리 시 3점, 유득점 무승부 시 2점, 무득점 무승부 시 1점을 부과하는 방식의 승점제를 도입하였다.

1985년 축구대제전 수퍼리그[편집]

1985년 축구대제전 수퍼리그1983년에 아시아 최초의 프로축구리그로 출범한 축구대제전 수퍼리그가 맞이하는 3번째 시즌이다. 1985년 축구대제전 수퍼리그는 4월 13일에 열린 대우 로얄즈현대 호랑이의 경기로 개막하여, 9월 22일에 열린 럭키금성 황소상무 축구단의 경기로 폐막하였다. 리그에 참가하는 8개 구단은 서울, 인천, 전주, 부산, 마산, 의정부, 경주, 강릉, 포항, 진주, 청주, 구미울산까지 총 13개 도시를 순회하며 모두 84경기를 벌였다.

리그 구성원에 몇 가지 변화가 생겼다. 원년 대회부터 전년 대회까지 참가했던 국민은행 까치가 축구대제전 수퍼리그에서 탈퇴하였으며, 상무 축구단이 전년도 실업축구리그 우승팀 자격으로 합류하였다. 또한 '포항제철 돌핀스'가 공식 구단명을 '포항제철 아톰즈'로 변경했다.

리그 방식에도 변화가 생겼다. 전년 대회에서 시행한 전・후기 리그 제도를 폐지하고 원년 대회의 단일 리그 제도로 회귀하였다. 또한 승점제를 개정하여 전년 대회에서 유득점 무승부 시 승점 2점, 무득점 무승부 시 승점 1점을 부여하던 것을 무승부 시 승점 1점을 주는 것으로 통일했고, 원년 대회와 마찬가지로 승리 시 부여하는 승점을 3점에서 2점으로 변경하였다.

1990년 한국프로축구대회[편집]

1990년 한국프로축구대회1983년에 아시아 최초의 프로축구리그로 출범한 한국프로축구대회가 맞이하는 8번째 시즌이다. 1990년 한국프로축구대회는 3월 17일에 열린 대우 로얄즈포항제철 아톰즈의 경기로 개막하여, 11월 3일에 열린 현대 호랑이럭키금성 황소의 경기로 폐막하였다.

리그 구성원에 몇 가지 변화가 생겼다. 기존의 '광역 지역 연고제'가 폐지되고 단일 도시를 연고지로 한정하는 '도시 지역 연고제'로의 전환이 추진되었다. 그 결과 대우 로얄즈부산직할시를, 럭키금성 황소일화 천마서울특별시를, 포항제철 아톰즈포항시를, 현대 호랑이울산시를 새롭게 연고지로 삼게 되었다.

리그 방식은 전년 대회와 마찬가지로 단일 리그 제도로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총 6개 구단이 모두 90경기를 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