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RedPain/번역 초보자를 위한 조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번역 초보자를 위한 조언

1. 악역과 오역

1.1. 악역

악역이란 번역문이 원문과 의미는 같으나 적절치 못한 표현으로 만들어진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면 연인간에 "I love you."라고 했을 때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로 번역했다면 매우 교과서적으로 번역했지만 악역임이 거의 확실하다.

왜냐하면 한국어 원어민 중 그 누구도 연인에게 이런 식으로 말을 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사랑해", "자기야, 사랑해", "OOO씨 사랑해요" 등등이 올바른 번역일 것이다. 상황에 따라서는 "널 사랑한다고", "사모하오" 등등으로 번역될 수 있을 것이다.

1.2. 오역

오역이란 번역문이 원문과 의미가 다른 경우를 말한다.

2. 직역과 의역

2.1. 직역 : 원문을 있는 그대로 번역한 것

2.2. 의역 : 의미는 같지만 번역가가 원저자의 의도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 또는 번역대상이 되는 언어의 문화에 많게 번역하기 위해 변형을 가하는 것

2.3. 문제점

직역과 의역은 "번역이 반역이다"라는 속담이 나오게 된 번역의 근본적인 문제이고 진정한 인공지능이 만들어지기 전에는 번역기가 번역가를 절대 따라잡을 수 없는 이유이다. 직역의 문제점은 절대 번역이라는 작업이 한 언어의 단어를 다른 언어의 단어로 바꾸고 한 언어의 문법을 다른 언어의 문법으로 바꾸는 작업이 아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한"이라는 단어를 무엇으로 번역할 것인가? RedPain의 영한사전 첫번째 단어는 grudge이다. 다시 한영사전을 보면 "악의, 적의, 원한, 유감"이 나온다. 전혀 다른 느낌의 단어임이 확실하다. 정도에 차이만 있을 뿐 한 언어와 다른 언어 사이에 같은 느낌과 의미를 가지는 단어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두번째 예는 "동물"과 "Animal"은 절대 같은 단어가 아니라는 것이다. "동물"이라는 단어가 "Animal"이라는 단어보다 훨씬 폭넓은 단어이다. "동물"은 포유류, 조류, 어류, 파충류, 양서류 등등 움직일 수 있는 생물을 말하지만 "Animal"은 아마 "네발 짐승"과 가장 근접할 것이다. 근접하다는 것이지 같다는 것은 아니다. 인간은 Animal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지만 네발도 아니고 짐승도 아니다.

3. 일반적인 악역

3.1. 대명사를 줄여라

한국어는 대명사를 싫어한다. 처음에 예를 들었던 "I love you"와 같이 I와 you는 거의 생략하는 것이 좋거나 you는 다른 호칭으로 바꾸어 주는 것이 좋다.

3.2. 이중 수식 구조

"하얀 누나의 비누" 자...당신은 순간 누나가 햐얗다고 생각했는가 아니면 비누가 하얗다고 생각했는가. 문법적으로 둘 다 맞다. 이 문장은 처음부터 두가지로 해석되는 문장이다. 비누가 하얗다면 가장 올바른 방법은 "누나의 하얀 비누"이다. 하지만 문장에 따라 순서를 바꿀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때는 "하얀, 누나의 비누"라고 해주면 된다. 단지 이 방법의 문제는 대부분의 한국어 사용자가 콤마의 의미를 모른다는 데 있지만 한국어 문법 상 정답이다. 어쨌든 이중 수식 구조 때문에 두가지로 해석될 수 있는 문장을 만들지 말라는 것이다.

3.3. "의" 사용을 줄여라

가장 손쉽게 소유격을 나타낼 수 있는 조사지만 연속으로 썼을 경우에는 악역이 되어 버린다. "동생의 학교의 운동장"는 누구나 이해하지만 어색한 문장임은 확실하다. 가장 손쉬운 방법은 "의"를 생략하는 것이다. "동생의 학교 운동장" 또는 "동생 학교의 운동장"로 번역하는 것이다. 하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소유격으로 처리하지 않을 수 있을 때는 소유격으로 처리하지 않는 것이 좋다. "동생이 다니는 학교의 운동장"이 괜찮은 번역이라고 할 수 있다.

3.4. 원문의 품사를 그대로 쓰지 않아도 된다.

수도 없이 많은 경우가 있겠지만 예를 하나 들겠다. 영어의 "have,take,get" + 명사 형태에서 실제로는 명사가 동사로 바꾸어 주고 이를 꾸미는 형용사를 부사로 바꿔주어야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4. 위기 탈출법

4.1. A and B of C

만약 아무리 봐도 C가 A and B를 수식하는 지 B만 수식하는 지 모른다면 "C의 A와 B"나 "A와 C의 B"라고 번역해서는 안 된다. 50%의 확률로 오역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가장 좋은 방법은 C가 정확하게 무엇을 수식하는 지 알아내는 것이겠지만 이미 이런 문장을 만든 사람은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고 원저자 외 그 누구도 알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 간단한 해결책으로 "C의 B와 A"라고 해석하는 것이 가장 좋다. 악역라고 한다면 할 말은 없지만 최소한 오역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