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Skky999/역사/내용과 구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역사 문서의 구조를 설명합니다. 무조건 따라야 되지는 않지만 역사 문서들은 대체로 이러한 내용과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곳에 나와있지 않은 정보를 위키백과에 추가해도 됩니다. 참고로 이 문서는 전쟁을 제외한 역사적 사건 문서를 다룹니다.

도입[편집]

먼저 '''사건 이름'''과 같이 사건의 이름을 굵게 해줍니다. 괄호를 통해 다른 언어로도 표시를 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 언제 무슨 사건이 어떻게 일어났는 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결과는 어떻게 되었는 지 간단한 설명을 써 줍니다. 어떻게 불리는 지 다른 명칭을 써 주어도 좋습니다.

을미사변(乙未事變)은 1895년 음력 8월 20일(양력 10월 8일) 일본 제국조선을 침략하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인 명성황후 민씨경복궁(景福宮)에서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가 지휘하는 일본 낭인 등에게 시해된 사건이다. 명성황후 시해참변 또는 명성황후 시해사건이라고도 부르며, 당시에는 을미년의 변(乙未之變) 또는 을미년 팔월의 변(乙未八月之變)[1]이라고 불렀다. 그리고 그때의 암호명은 '여우사냥'이었다.

  1. 《명성황후와 대한제국》, 12쪽.

전개[편집]

사건의 전개를 써 줍니다. 중심 인물과 배경, 그리고 사건의 중요 내용이 잘 조화를 이루게 서술하면 좋습니다.

배경과 원인[편집]

가장 먼저 사건의 배경과 사건이 일어난 원인을 서술합니다. 사건이 일어날 당시 어떤 분위기였는지, 사건은 왜 일어났는지를 쓰면 되겠습니다. 다른 사건과의 비교나 사건이 일어나기까지 다른 주요 사건들을 서술해도 좋습니다.

과정[편집]

사건이 어떻게 진행되었고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사건의 본격적인 전개를 서술합니다. 관련된 이미지를 넣어 주면 더 좋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내용을 빼거나 매우 사소한 일까지 넣는 행동은 자제해 주세요.

결과[편집]

사건이 어떻게 끝났는지, 그리고 사건이 이후 어떤 영향을 끼쳤는 지를 서술합니다.

같이 보기[편집]

* [[문서 1]]와 같은 식으로 편집하고 있는 문서와 관련된 문서로 링크를 해 줍니다. 같이 보기 문서는 얼마든지 추가할 수 있습니다.

주석[편집]

위키백과에서 주석은 출처를 의미합니다. 출처는 각 문장 끝에 달 수 있습니다. 출처가 달리면 자동으로 밑에 주석이 생깁니다. 더 자세한 설명은 백:주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분류[편집]

위키백과에서 문서를 분류하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분류는 문서 최하단에 넣어 줍니다.] 나라별 분류

나라별로 역사를 분류할 수 있습니다.

시대별 분류

시대별로도 역사 문서를 분류할 수 있습니다.

기타 분류는 사용자:Skky999/역사/분류를 참조하세요.

인터위키[편집]

문서 만들기의 마지막 과정은 인터위키 달기입니다. 인터위키란 타 언어 위키백과와의 상호 연결을 의미합니다. 인터위키를 달 때에는 위키데이터를 참조하는 것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