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Sqncjs/연습장A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 문서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국회의원에 대해 다룬다.

제1대~제5대[편집]

제1대 국회의원[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종로구에는 종로구 갑, 종로구 을 두 개의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종로구의 제헌 국회의원
선거구 이름 정당 임기 비고
종로구 갑[1] 이윤영 조선민주당[2] 1948년 5월 31일-1950년 5월 30일
종로구 을[3] 장면 무소속 1948년 5월 31일-1949년 2월 22일 1949.2.22 주미대사 부임으로 사퇴
이인 무소속 1949년 3월 31일-1950년 5월 30일 1949.3.30 재보궐선거 당선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결과 종로구 갑 선거구에는 조선민주당이윤영 후보가, 종로구 을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장면 후보가 당선되었다. 1949년 2월 22일, 장면 의원이 주미대사로 부임하게 됨에 따라 의원직을 사퇴하였으며 이로 인해 1949년 3월 30일에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 무소속 이인 후보가 당선되었다.

제2대 국회의원[편집]

  1. 청운동, 신교동, 궁정동, 효자동, 누하동, 누상동, 옥인동, 통인동, 창성동, 필운동, 사직동, 체부동, 통의동, 내자동, 적선동, 내수동, 도렴동, 당주동, 서대문2가, 서대문1가, 세종로, 종로1가, 서린동, 청진동, 수송동, 중학동, 관훈동, 인사동, 견지동, 공평동, 종로2가, 관철동, 송현동, 사간동, 안국동, 소격동, 화동, 팔판동, 삼청동, 제동, 가회동
  2. →무소속
  3. 화서동, 권농동, 와룡동, 운니동, 묘동, 돈의동, 경운동, 익선동, 낙원동, 종로3가, 관수동, 장사동, 종로4가, 훈정동, 봉익동, 예지동, 인의동, 원남동, 연지동, 종로5가, 종로6가, 충신동, 효제동, 동숭동, 이화동, 혜화동, 명륜동1가, 명륜동2가, 명륜동3가, 명륜동4가, 계동, 연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