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Subway06/101호 작업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곳은 201系의 작업장입니다. 내용의 무단 전제 및 편집을 엄금합니다.


JR 동일본 107계 전동차
닛코선의 107계 0번대
닛코선의 107계 0번대
제작 및 운영
제작 연도 1988년
제원
양 수 기본 2량 편성
차량 정원 (쿠모하 107형) 136명
전장 20,000 mm
전폭 2,832 mm
전고 3,935 mm
차량 중량 (쿠모하 107형) 37.2 t
궤간 (mm) 1,067
성능
전기 방식 직류 1,500V
제어 방식 저항제어
기어비 5.60
기동가속도 2.0 km/h/s
영업 최고 속도 100 km/h
설계 최고 속도 100 km/h
감속도 상용:3.5km/h/s
비상:5.0 km/h/s
전동기 출력 120 kW
편성 출력 480 kW
구동 장치 중공축 평행카르단 구동방식
제동 방식 발전제동, 전자직통제동, 억속제동
MT비 1M1T

동일본 여객철도 107계 전동차(일본어: 東日本旅客鉄道107系電車)는 1988년에 등장한 동일본 여객철도직류용 통근형 전동차이다.

역사[편집]

도입 배경[편집]

1980년대 말, 닛코 선이나 료모 선간토 지방 북부 노선들의 보통 열차에는 급행 열차의 폐지로 인해 발생한 잉여 165계 전동차가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제작된지 20년이나 지난 탓에 차체는 많이 노후화되었고, 출입문이 2개인 탓에 출퇴근 시간대에 승객 혼잡이 극심하였다. 게다가 편성 최소 단위가 3량 1편성이었기 때문에, 도리어 평시에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과다한 상황이 지속되었다.

이러한 비효율적인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당시 발족한지 얼마되지 않았던 JR 동일본은 수요의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차량의 개발에 나서게 되었다.

0번대[편집]

1988년 6월, 닛코선에서 운행 중이던 165계를 대체하기 위해 2량 1편성, 총 8개 편성(16량)이 투입되었다. 이 차량이 현재 '107계 0번대'(이하 0번대)로 불리는 차량이다.

0번대는 165계가 폐차되면서 발생한 각종 잉여 부품을 재활용하고, 차체 제조 기술의 향상을 위해 오미야 공장(현 오미야 종합 차량센터), 니이즈 차량소(현 니이즈 차량 제작소) 등 JR 동일본의 차량 공장에서 직접 제작이 이루어졌다. 구배가 많은 노선에서 운행하는 점을 고려해 살사장치 등을 설치하였고, 또한 겨울에 전차선에 서리가 얼어 집전에 방해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차량 앞쪽에 서리 제거(霜取)용 팬터그래프가 2기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다만 이 가운데 쿠모하107형-4 ~ 8(5량)은 처음 제작할 때부터 서리 제거용 팬터그래프가 장착되어 있었으나, 본래 장착되어 있지 않았던 쿠모하 107-1 ~ 3의 경우 1998년에 추가되었다.[1]

차체 도색은 시민 공모에 의해서 결정된 아이보리 색 차체에 닛코 지역의 삼나무를 이미지한 초록색으로 '닛코선'의 머릿글자인 'N'을 크게 표기하였다. 아울러 닛코 후타라산 신사를 의미하는 붉은색 스티커를 차량 전면부에 부착하였다.

100번대[편집]

100번대는 다카사키 지사 관내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2량 1편성, 총 19개 편성(38량)이 1988년부터 1990년에 걸쳐서 제작되었다.

0번대와는 달리 살사장치나 서리 제거용 팬터그래프는 장착되지 않았으나, 반면에 눈이 내렸을 때를 대비해 내설(耐雪)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다. 1989년에 도입된 2차 도입분의 경우 창틀의 형태가 변경되었으며, 우스이 고개로 유명한 신에츠 본선 요코가와 역 ~ 가루이자와 역 구간을 운행하기 위해, 통과 차량 식별용 마크(G마크)가 차체 측면의 형식 번호 옆에 표시되어 있었다. 이후 1997년에 해당 구간이 폐지된 이후에는 마크가 다시 제거되었다.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우스이 고개를 통과하는 열차들은 안전상의 이유로 중량이 무거운 차량이 산 아래쪽을 향하도록 해서 운행되었었는데, 107계 100번대는 특이하게도 중량이 무거웠던 M차(쿠모하107형)가 산 쪽을 향하도록하여 운행되었다.

기술적 측면[편집]

차체[편집]

동력부[편집]

주행부[편집]

운용 노선[편집]

바깥 고리[편집]

주석[편집]

  1. 처음 차량을 제작하면서 팬터그래프를 설치하였던 쿠모하107-4 ~ 8의 경우 서리 제거용 팬터그래프에도 집전 기능이 있는 반면, 추후에 쿠모하107-1 ~ 3에 추가로 장착된 팬터그래프는 집전 기능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