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Sukcho/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ukcho/연습장
조용승
조용승 교수
국적대한민국
본관옥천
경력수학자
직업교수
소속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종교기독교
배우자김수남
자녀2남(현배, 인배)
병역대한민국 육군 병장 제대
상훈2015 대한민국옥조근조훈장; 2014 이화여대 학술상
웹사이트http://home.ewha.ac.kr/~yescho/index.html


조용승 (Yong Seung Cho, 趙容承; 본관 옥천, 1949.9.18~) 조용승 교수는 대한민국의 수학자이자 교육자이다.[1]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이며 세계적인 수학자이다. 미국수학회 발행 논문집과 유럽수학회에서 발행하는 Zentralbatt-Mathematics의 논문감수자(reviewer)이다. 2011년도에 "끈 이론으로 우주 생성을 새롭게 규명"으로 EBS 뉴스 및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선정한 올해의 10대 과학기술뉴스에 포함되었다.[2][3][4]


생애[편집]

순천에서 태어나 순천도사초등학교와 순천중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수학선생님이 되고 싶어 경북사대를 진학하였다. 수학이 재미있어 대학원에 진학하였고, 그 후 유학을 가서 미국 시카고대학교(The University of Chicago)에서 기하학적 위상수학으로 박사학위 (Ph.D.)를 받았다. 충북대학교, 경북대학교, 브렌다이스대학교 (미국 Brandeis University)에서의 교수 생활을 거쳐, 이화여자대학교에서 1989년부터 재직하였고, 2015년에 정년퇴임을 하였다. 현재는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이다.

학문적으로 도넬슨(Donalson)의 양밀즈(Yang-Mills) 이론, 사이버그-위튼(Seiberg-Witten) 이론, 그로모브-위튼(Gromov-Witten) 이론 및 퀀텀코호몰로지(quantum cohomology)와 플로에코호몰로지(Floer cohomology)의 연구로 많은 논문을 발표하였다.[5] 그 중에서 끈이론(string theory)을 아인슈타인 일반상대성이론(Einstein general relativity)과 모르스이론(Morse theory)을 이용하여 빅뱅이론(Big Bang Theory)의 확장(expansion), 뒤틀림(shear), 회전(rotation)을 규명하여 주목을 받았다. 또한, 홀수 차원에서 최초로 그로모브-위튼 타입 불변량, 플로에타입 불변량을 연구하여 아놀드타입 정리를 유도하였다. 최근에는 호지 가설 (Hodge Conjecture)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현재까지 140여편의 연구논문, 240여 차례 국내외 학술회의 발표 및 30여권의 연구 저서가 있다.

수학 및 사회활동으로는 대한수학회장,[6]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설립 및 초대소장,[7][8]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위원, 과학영재아카데미 지도교수, 국민일보 논단위원 등을 역임하는 등 한국과학기술 발전과 수학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학술저서 30여권 중에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도서로 4권이 선정되기도 하였다 (2019년 Topology, 2019년 미분다양체, 2011년 대수적 위상수학, 2002년 다양체의 미분위상수학).[9]

학력[편집]

일리노이주 시카고 소재 시카고대학교(The University of Chicago)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조용승 교수는 미국 브랜다이스대 교수를 거쳐 1989년부터 이화여대로 자리를 옮겼다.

  • 박사 (1984.9 -1987.8) 미국 시카고대학교
  • 석사 (1973.3 -1975.2) 경북대학교
  • 학사 (1969.3 -1973.2) 경북대학교

경력[편집]

Professor Cho has dedicated his entire life in researching mathematics, and his specialized field is Geometric Topology (sitting in his office at Ewha Womans University, 2015.)

2015.9 – 현 재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

2015.3 – 현 재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1989.9 – 2015.2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2005.10 - 2008.9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초대소장

2003.1 - 2004.12  대한수학회 회장

2005.5 - 2007.5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위원

2001.1 - 현 재  유럽수학회 Zentralbatt-Mathematics 리뷰어 (논문 감수자)

2002.2 – 2005.1   이화여자대학교 수학연구소 소장

1988.6 -1989.8    경북대학교 조교수

1987.9 -1988.8    미국 브랜다이스대학교 조교수

1979.3 -1987.10   충북대학교 조교수, 수학과 학과장 (1979-1982)

1978.8 -1979.2    전남대학교 강사

1975.8 -1978.6    대한민국 육군, 병장제대

1975.3 -1975.8    경북대학교 강사

연구분야[편집]

조용승 교수는 전 생애를 수학연구에 매진한 순수과학자이며, 끈 이론으로 초기 우주생성 원리 규명한 현대수학의 권위자이기도 하다. 물리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수학의 난제를 풀어온 조용승 교수는 현대수학의 주류인 양밀즈 이론, 사이버그-위튼 이론, 그로모브-위튼 이론 및 퀀텀코호몰로지 등의 연구로 많은 논문을 발표하였다.[10] 그 중에서 끈이론은 아인슈타인 일반상대성이론과 모르스이론을 이용하여 빅뱅이론의 확장, 뒤틀림, 회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초기 우주생성(Big Bang)을 끈이론(Cho-Hong String Theory)으로 새롭게 세계 최초로 규명한 이 연구결과는 미국물리학회지에 즉각 발표되어 호킹-펜로스보다 진일보한 우주생성 이론으로 평가받아 세계적 주목을 받은 바 있다. 또한, 홀수 차원에서 최초로 그로모브-위튼 타입 불변량, 플로에타입 불변량을 연구하여 아놀드타입 정리를 유도하였다. 최근에는 호지 가설 (Hodge Conjecture)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그가 출간한 30여 권의 저서 가운데 「다양체의 미분위상수학」은  2002년도에, 「대수적 위상수학」은 2011년도에 학술원 우수연구도서로 선정되기도 했으며, 「자연과 문명 속의 수학」은 33가지 주제를 통해 문명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수학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해왔는지 서술함으로써 많은 주목을 받았다. 2019년도에는 두 권의 저서인 「Topology」와 「Differentiable Manifolds (미분다양체)」 가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에 선정되었다.

Ewha Womans University and its alumni association recognized his works and scholarly results by conferring “Ewha Academic Award” in 2014, and this award is given only one professor in the year 2014 (left, President of Ewha Kim Sun-wook and right, Professor Yong Seung Cho, 2014/05/30).

수상 및 훈장[편집]

조용승 교수는 아래의 훈장 및 수상을 받았다.

  • 2015 대한민국 대통령 옥조근정훈장
  • 2014 제10회 이화학술상[11][12]
  • 2003 마이크로소프트 수학상
  • 2001 이화여대 최고우수논문상
  • 1992 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 우수논문상
  • 1984-1987 시카고대학교 대학원생 펠로우쉽

가족관계[편집]

1980년 1월 김수남과 결혼하여 자녀는 현배, 인배 두 아들을 두었다. 김수남은 숙명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겸임교수로 재직하였고, 주한미국대사관 아메리칸센터 관장직에서 2019년 퇴직하였다.[13][14][15][16][17] 아들 둘 다 미국에서 치의학박사(Doctors of Dental Surgery) 학위후 치과의사로 활동하고 있다. 장남 (New York University DDS)은 역시 치의학박사 은미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DDS)와 결혼하여 캘리포니아에서 개업의로 활동하며 지아와 수아 두딸을 두고 있다. 차남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DDS)은 현재 텍사스에 거주하고 있다.


각주[편집]

  1. “이화여대 조용승 교수 홈페이지”. 2020년 2월 7일에 확인함. 
  2. 끈이론으로 우주생성 규명, 이화여대 조용승 홍순태 교수, EBS news, 2011.6.11
  3. 끈 이론으로 우주 생성을 새롭게 규명 - 올해의 10대 과학기술뉴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4. 우주 생성 “끈이론” 조용승 교수 정년퇴임, 경향신문 2015년 2월2일
  5. 한국의인물-수학자부문: 이화여자대학교 수학과 조용승 교수, 이슈메이커, 2014년9월4일
  6. 창간축사-“수학대중화의 우군 돼달라” 조용승 대한수학회장, 교수신문 2004.04.12
  7.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대덕 '입성'-2003년부터 3년간 설립 추진...조용승 이대 교수, 초대 소장 '취임', 헬로대덕신문, 2005년11월1일
  8. 수학계 오랜 숙원 푼 '수리과학硏' 개소, 10일 기초硏 강당서 개소식 개최...100여명 참석 '성공 기원', 헬로대덕신문, 2006/06/10
  9. 본교 교수 저서 8종, 2019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이화여자대학교 홈페이지, 2019년 7월12일
  10. 수학과 이론물리학의 상관성, 대한수학회 뉴스레터 제 64 호 1999년 3월 2-9쪽
  11. 이화 창립 128주년 기념식 거행, 이화여대 홈페이지, 2014/05/30
  12. 이화학술상 수상자, 조용승 교수 선정 - 30일 이화여대 창립 128주년 기념식서 시상, News1, 2014년 5월18일
  13. Congratulations to Dr. Kim Su Nam, who is retiring from the Embassy after an amazing 31-year career managing the American Center, U.S. Ambassador Harry Harris to the ROK Twitter “Harry Harris @USAmbROK”, 2019/09/24
  14. Face of America is Korean, The Korea Herald, Jun 30, 2013
  15. 대사관 김수남 관장,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강연, 2010/04/27
  16. 명사특강-김수남 관장, 2011/4/27, 숙명여대 국제관계대학원
  17. 숙대 국제관계대학원 입학 및 전공설명회, 2008/11/7, 숙명여대 숙명News

외부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