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Yjs5497/연습장/Clozapine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Yjs5497/연습장/Clozapine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8-Chloro-11-(4-methylpiperazin-1-yl)-5H-dibenzo[b,e][1,4]diazepine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5786-21-0
ATC 코드 N05AH02
PubChem 2818
드러그뱅크 DB00363
ChemSpider 10442628
화학적 성질
화학식 C18H19ClN4 
분자량 326.823 g/mol
SMILES eMolecules & PubChem
물리적 성질
녹는점 183 °C (361 °F)
물에 대한 용해도 0.1889 mg/mL (20 °C)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60 to 70%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Hepatic, by several CYP isozymes
생물학적 반감기 6 to 26 hours (mean value 14.2 hours in steady state conditions)
배출 80% in metabolized state: 30% biliary and 50% renal
처방 주의사항
임부투여안전성 C(오스트레일리아)B(미국)
법적 상태
투여 방법 Oral

클로자핀조현증의 치료에 이용되는 비정형적 항정신병제제로서, 가끔씩 오프라벨양극성 장애에도 처방된다. 1989년 FDA는 백혈구 수 검사 및 호중구 검사를 전제로 한 클로자핀의 처방을 승인했다.[1][2] 클로자핀은 과립구감소증의 위험과 그로 인한 지속적인 피 검사의 비용 때문에 다른 항정신병제제에 듣지 않는 환자에게 처방되는 최후약물이지만, 매우 효과적인 약이기도 하다.[3] 2002년에는 FDA가 조현증을 앓고 있는 자살 행동의 위협을 줄이기 위한 용도로도 클로자핀의 처방을 승인했다.

환자들은 처방 후 첫 6주간 1주에 한 번씩 검사를 받고, 검사 상 수치가 떨어지지 않는 경우 그 다음 6주간 2주에 한 번씩 검사를 받게 된다. 그 이후에도 이상이 없으면 환자는 1달에 한 번씩 검사를 받게 된다. [4] 클로자핀은 과립구 감소증, 장 폐색[5] 및 간질[6]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며 아직 그 연관성이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심근염[7]당뇨병[8]과도 연계되어 있다. 또한, 이 제제는 타액분비과다나 체중 증가와 같은 덜 심각한 부작용도 띠고 있다.

References[편집]

Additional reading[편집]

  • Benkert, Hippius: Kompendium der Psychiatrischen Pharmakotherapie (German), 4th. ed., Springer Verlag
  • B. Bandelow, S. Bleich, and S. Kropp: Handbuch Psychopharmaka (German), 2nd. ed. Hogrefe
  • Crilly JF (2007). The history of clozapine and its emergence in the US Market: A review and Analysis. History of Psychiatry, 18(1): 39–60. doi 10.1177/0957154X07070335

External links[편집]

틀:Adrenergics 틀:Cholinergics 틀:Dopaminergics 틀:Histaminergics 틀:Serotonergics 틀:Piperazines 틀:Tricycl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