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삼척도호부 관아지

삼척도호부 관아지
(三陟都護府 官衙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사적
종목사적 제562호
(2021년 12월 20일[1] 지정)
면적문화재구역 70필지 29,186m2[2]
시대조선시대
위치
삼척시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삼척시
삼척시
삼척시(대한민국)
주소강원도 삼척시 성내동 8-2번지 일원
좌표북위 37° 26′ 31″ 동경 129° 9′ 38″ / 북위 37.44194° 동경 129.16056°  / 37.44194; 129.16056

삼척도호부 관아지(三陟都護府 官衙址)는 강원도 삼척시 성내동에 소재한 조선시대 지방 행정기관(삼척도호부) 및 의례공간(객사) 건물군이 있던 지역이다. 바로 옆에 보물 제213호 죽서루(竹西樓)와 명승 제28호 오십천(五十川)이 있다.

2010년부터 2016년까지 4차례에 걸친 발굴조사를 통해 객사, 동헌, 내아 등의 주요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삼척읍성 남문 위치, 체성부(體城部, 성벽 본체) 등이 확인됨에 따라 역사적, 학술적 가치를 인정 받아서 문화재청 공고에 따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삼척 객사[편집]

삼척도호부에 설치되어 있던 객사(客舍)를 말한다. 삼척 객사 명칭은 진주관(眞珠觀)이다.[3] 2022년 4월 현재 객사 권역 복원 공사가 진행중에 있다.

삼척 동헌[편집]

조선시대 삼척도호부의 수령이 공무를 보던 청사, 즉 동헌(東軒)과 내아(內衙)를 말한다. 객사 복원을 완료한 후, 동헌 일부에 대한 복원이 예정되어 있다.

각주[편집]

  1. 문화재청 보존정책과 보도자료, 삼척의 통치 중심지 삼척도호부 관아지(三陟都護府 官衙址) 사적 지정, 2021년 12월 30일
  2. 문화재청 공고 제2021-377호, 삼척도호부 관아지 국가지정문화재(사적) 지정 예고, 2021년 10월 29일
  3. 진주(眞珠)는 삼척의 별칭이다. 기록에 따라 삼척 객사의 명칭을 진주관(眞珠館)이라고 하는데, 객사 건물에 걸려 있던 편액의 글자는 진주관(眞珠觀)이었다.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