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금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체를 구성하는 원소의 비율

생체금속(生體金屬, 영어: biometal)은 생물학, 생화학, 의학에서 적은 양이지만 중요하고 측정가능한 양으로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금속이다. 구리, 아연, , 망가니즈는 대부분의 식물동물에서 정상적인 기능에 필수적인 금속들이다. 칼슘, 칼륨, 나트륨과 같은 일부 금속들은 체내에 비교적 많은 양으로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금속은 미량이지만 중요한 양으로 존재한다. 주기율표의 약 2/3는 성질이 서로 다른 다양한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1] 금속(보통 이온의 형태)은 자연계와 의학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된다.

자연에서 발견되는 생체금속[편집]

금속 이온은 보조 인자로서 금속 이온을 필요로 하는 효소금속단백질과 같이 살아있는 생물체에 존재하는 많은 단백질들의 기능에 필수적이다.[2] DNA 복제와 같은 과정은 DNA 중합효소와 같은 효소를 사용하여 수행되는데, 사람에서 DNA 중합효소는 마그네슘아연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3] 또한 다른 생체분자는 사람의 갑상샘 호르몬아이오딘처럼 금속 이온을 분자 내 구조 속에 포함하고 있다.[4]

의학에서 생체금속[편집]

금속 이온 및 금속 화합물은 종종 의학적 치료 및 진단에 사용된다.[5] 리튬 화합물이나 오라노핀과 같은 금속 이온을 함유한 화합물은 의약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6][7] 또한 금속 화합물과 금속 이온은 여러 종류의 금속의 독성 때문에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다.[8] 예를 들어, 비소ATP 생성을 방해하는, 효소 저해제로서의 효과로 인해 강력한 독성 물질로 작용한다.[9]

각주[편집]

  1. “보관된 사본” (PDF). 2021년 3월 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30일에 확인함. 
  2. Banci, Lucia, ed. (2013). Metallomics and the Cell. Series editors Sigel, Astrid; Sigel, Helmut; Sigel, Roland K.O. Springer. ISBN 978-94-007-5560-4. electronic-book ISBN 978-94-007-5561-1 ISSN 1559-0836 electronic-ISSN 1868-0402
  3. Aggett, PJ (1985). “Physiology and metabolism of essential trace elements: an outline”. 《Clin Endocrinol Metab》 14 (3): 513–43. doi:10.1016/S0300-595X(85)80005-0. PMID 3905079. 
  4. Cavalieri, RR (1997). “Iodine metabolism and thyroid physiology: current concepts”. 《Thyroid》 7 (2): 177–81. doi:10.1089/thy.1997.7.177. PMID 9133680. 
  5. http://authors.library.caltech.edu/25052/10/BioinCh_chapter9.pdf Stephen J. Lippard, Department of Chemistry,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ccessed 26 July 2014.
  6. https://www.nlm.nih.gov/medlineplus/druginfo/meds/a681039.html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Lithium. Drug information provided by AHFS Consumer Medication Information, 2014.
  7. Kean, W. F.; Hart, L.; Buchanan, W. W. (1997). “Auranofin”. 《British Journal of Rheumatology》 36: 560–572. doi:10.1093/rheumatology/36.5.560. PMID 9189058. 
  8. http://authors.library.caltech.edu/25052/10/BioinCh_chapter9.pdf Stephen J. Lippard, Department of Chemistry,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ccessed 26 July 2014.
  9. Singh, AP; Goel, RK; Kaur, T (2011). “Mechanisms pertaining to arsenic toxicity”. 《Toxicol Int》 18: 87–93. doi:10.4103/0971-6580.84258. PMC 3183630. PMID 21976811.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