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펌프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방펌프차는 소방펌프, 물탱크, 폼탱크, 동력전달장치, 방수구 등이 차체에 설치되어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 등을 위해 사용되는 자동차이다. 소방펌프차의 상단에 사다리 또는 굴절 붐이 장착된 소방차는 제외한다.[1]

구분[편집]

차량제원[편집]

소방펌프차는 대형, 중형, 소형, 경형펌프차로 구분한다.

구분 전장(mm 이하) 전폭(mm 이하) 전고(mm 이하) 물탱크용량(L) 폼탱크용량(L)
대형펌프차 8,500 2,500 3,400 4,500 이상 200
중형펌프차 8,000 2,500 3,200 2,800 이상 200
소형펌프차 6,800 2,200 2,800 1,200 이상 100
경형펌프차 5,200 1,900 2,800 500 이상 40

소방펌프[편집]

소방펌프의 종류별 규격방수량[2]과 고압방수량[3]은 아래의 표와 같다.

구분 대형펌프차(L/min 이상) 중형펌프차(L/min 이상) 소형펌프차(L/min 이상) 경형펌프차(L/min 이상)
규격방수압력(0.85MPa) 2,800 2,800 2,000 350
고압방수압력(1.4MPa) 2,000 2,000 1,400 180

소방기관별 소방펌프차 보유 현황[4][편집]

[2017. 12. 31. 기준]

합계(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창원
2,115 120 78 70 76 49 45 41 20 330 153 124 216 111 237 257 126 35 27

관련사진[편집]

각주[편집]

  1. 소방자동차 제작표준 및 기술기준(소방청, 2018년 7월)
  2. 규격방수압력에 대응하는 노즐을 사용하여 얻어진 최대방수량
  3. 고압방수압력에 대응하는 노즐을 사용하여 얻어진 최대방수량
  4. 2018년도 소방장비 통계집(소방청, 2018년 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