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솔방울샘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솔방울샘종
다른 이름Pinealoma
솔방울샘종
진료과종양학
치료수술 절제, 방사선 치료

솔방울샘종(pinealoma), 송과체종, 또는 송과선종은 뇌 속 시상 상부에 위치하는 솔방울샘(송과선)에서 생기는 종양이다. 솔방울샘 영역 종양은 상대적으로 매우 드물며, 다양한 예후를 보이는 여러 세부 질병이 포함될 수 있다.

증상[편집]

솔방울샘은 일주기에 관여하는 호르몬의 일종인 멜라토닌을 분비하는 내분비기관이다. 종양 증식에 의해 솔방울샘이 기능을 하지 못 하게 되면 활동일 주기의 조절 기능을 잃어버릴 수 있다. 소아의 경우, 솔방울샘종에 의해 소아의 솔방울샘이 파괴되면 성조숙증이 생기기도 한다.

기타 증상으로는 물뇌증(수두증), 보행 장애 등이 있다.

종류[편집]

종류는 다음과 같다.[1]

  • 솔방울샘종(pineocytoma)
  • 중간 분화의 솔방울샘 실질 종양(PPTID; pineal parenchymal tumour of intermediate differentiation)
  • 솔방울샘모세포종(송과체모세포종; pineoblastoma)
  • 솔방울샘 부위의 유두상 종양(papillary tumor of the pineal region)
  • 조직형성 점액성 종양(desmoplastic myxoid tumor, SMARCB1-mutant)

진단[편집]

영상의학[편집]

CT에서 솔방울샘에 위치하는 경계가 잘 지어지는 구형의 종괴로 보인다. 석회화를 동반할 수 있다. MRI에서 T1 강조 영상의 저신호강도 또는 등신호강도, T2 강조 영상에서 고신호강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조영증강영상에서 균질한 조영증강을 보여 낭종과 구별할 수 있다.

각주[편집]

  1. Louis, David N.; Perry, Arie; Wesseling, Pieter; Brat, Daniel J.; Cree, Ian A.; Figarella-Branger, Dominique; Hawkins, Cynthia; Ng, H. K.; Pfister, Stefan M. (2021년 8월 2일). “The 2021 WHO Classification of Tumo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a summary”. 《Neuro-Oncology》 23 (8): 1231–1251. doi:10.1093/neuonc/noab106. ISSN 1523-5866. PMC 8328013. PMID 341850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