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수축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원환면 위에서, 수축 불가능 폐곡선 가운데 길이가 최소인 것은 붉게 표시된 폐곡선이며, 그 길이는 이 원환면이 수축량이다.

기하학에서, 수축량(收縮量, 영어: systole 시스톨[*])은 어떤 거리 공간에서, 상수 함수호모토픽하지 않는 폐곡선의 최소 길이이다.[1][2][3]

정의[편집]

콤팩트 거리 공간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속의 폐곡선

의 길이

를 생각하자.

수축량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점을 가진 공간 기본군이다. 즉, 기본군에서 자명하지 않은 동치류를 갖는 폐곡선의 길이의 하한이다.

차원 연결 콤팩트 리만 다양체 수축량비(收縮量比, 영어: systolic ratio)는 다음과 같은 값이다.

(만약 단일 연결 공간이라면, 수축량비는 무한대이다.)

성질[편집]

임의의 리만 다양체 구조가 주어진 2차원 원환면 을 생각하자. 그 위에는 다음과 같은 뢰브너 부등식(영어: Loewner inequality)이 성립한다.

여기서 는 원환면의 넓이이다.

마찬가지로, 실수 사영 평면 위에는 다음과 같은 푸 부등식([蒲]不等式, 영어: Pu’s inequality)이 성립한다.

각종 곡면에 대하여, 수축량비의 상한은 다음과 같다.

곡면 수축량비의 상한 수축량비의 상한을 포화하는 리만 계량
(기본군자명군)
원환면 정삼각형 격자의 몫 으로 주어지는, 곡률 0의 원환면
실수 사영 평면 대칭 의 대척점에 대한 몫
클라인 병 [4]

보다 일반적으로, 종수 의 콤팩트 가향 곡면 에 대하여, 일 경우 다음이 성립한다.

사실, 충분히 큰 에 대하여, 다음이 항상 성립하게 되는, 종수에 의존하지 않는 두 상수 가 존재한다.

그로모프 부등식[편집]

연결 콤팩트 리만 다양체 에서, 다음이 성립한다면, 본질적 다양체(영어: essential manifold)라고 하자.

자연스러운 군 준동형 아래, 기본류 의 상이 자명하지 않다. 여기서 가향 다양체일 때 이며, 아닐 때 이다. 에일렌베르크-매클레인 공간이다.

그로모프 부등식(영어: Gromov’s inequality)에 따르면, 각 차원 에 대하여, 모든 차원 본질적 다양체들의 수축량비들의 집합은 (차원에만 의존하는) 상한 을 갖는다.

역사[편집]

수축량의 개념은 카를 뢰브너(독일어: Karl Löwner, 체코어: Karel Löwner 카렐 뢰브네르[*], 영어: Charles Loewner 찰스 로브너[*], 1893~1968)가 도입하였다. “수축량”(프랑스어: systole 시스톨[*])이라는 용어는 마르셀 베르제가 1980년에 도입하였다.[1] 이는 원래 생물학에서 심장의 수축을 뜻하는 용어이며, 고대 그리스어: συστολή 시스톨레[*](수축)에서 유래하였다.

참고 문헌[편집]

  1. Berger, Marcel (2008). “What is … a systole?” (PDF). 《Notice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55 (3): 374–376. 
  2. Katz, Mikhail G. (2007). 《Systolic geometry and topology》. Mathematical Surveys and Monographs (영어) 137.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doi:10.1090/surv/137. ISBN 978-0-8218-4177-8. MR 2292367. 
  3. Gromov, Mikhail (1996). 〈Systoles and intersystolic inequalities〉 (PDF). 《Actes de la Table Ronde de Géométrie Différentielle (Luminy, 1992)》. Sémin. Congr. (영어) 1. 파리: Soc. Math. France. 291—362쪽. 2017년 8월 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15일에 확인함. 
  4. Bavard, C. (1986). “Inégalité isosystolique pour la bouteille de Klein”. 《Mathematische Annalen》 (프랑스어) 274 (3): 439–441. doi:10.1007/BF01457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