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득경 초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심득경 초상
(沈得經 肖像)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제1488호
(2006년 12월 29일 지정)
수량1점
시대조선시대
소유국유
참고세로 160.3센티미터, 가로 87.7센티미터
주소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
국립중앙박물관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심득경 초상(沈得經 肖像)은 조선 후기의 화가 윤두서1710년에 심득경을 그린 초상화이다. 2006년 12월 29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488호로 지정되었다.[1]

개요[편집]

심득경(沈得經 1673년-1710년 10월 13일(음력 8월 21일))의 본관은 청송(靑松)이며 자세한 행적은 전하지 않는다. 이 초상은 동파관에 유복 차림을 하고 의자에 앉아 있는 좌안칠분면 전신좌상이다. 화면 상단에 “定齋處士沈公眞”이라고 예서로 쓰여 있다. 그리고 우측 상단에는 이서(李漵: 1663년 1월 11일(음력 1662년 12월 3일)~1723년 4월 16일(음력 3월 12일))가 지은 찬을 윤두서(尹斗緖 1668-1715)가 썼으며, 왼쪽 상단에 다시 이서의 찬이 적혀있다. 그리고 우측 아래 쪽에 “維 王三十六年庚寅十一月寫時 公歿後第四月也海南尹斗緖謹齋心寫”라고 쓰여 있어 윤두서가 숙종 36년인 1710년 11월에 추화(追畵)한 것임을 알 수 있다.[1]

얼굴이나 의복의 묘사는 다소 과장과 형식화가 엿보이고 있어서 사실적 묘사로서의 초상화의 특징과 유형화된 표현을 위주로 하는 일반 인물화의 요소를 함께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남태응(南泰膺)의 청죽화사(靑竹畵史)에 이 초상에 대하여 적혀있는데 친구 심득경이 죽은 후 윤두서가 그의 초상을 그리니 심득경 가족들이 이를 보고 모두 울었다고 전한다.[1]

조선후기 대표적 문인화가인 윤두서가 그린 초상화로서 의미가 크며 회화성도 높은 중요한 작품이다.[1]

심득경과 윤두서는 친척 관계[편집]

  • 심득경(沈得經)은 경종영조 때 이조판서, 판의금부사, 판중추부사, 기로소, 봉조하를 역임한 남인과 소론의 거두 추우당 심단(追尤堂 沈檀)의 둘째 아들로 진사에 급제하였다.
  • 심단(沈檀)은 남인 산림 예조참의 고산 윤선도(孤山 尹善道)의 외손자이다. 심단의 아버지 심광면(沈光沔)이 윤선도의 사위이다. 그러므로, 심득경은 윤선도의 외증손자이다.
  • 심광면의 사촌 심광사(沈光泗)의 사위 윤이석(尹爾錫)의 아들이 바로 윤두서(尹斗緖)이다. 즉, 윤두서는 심광사의 외손자이다. 또한, 윤이석은 윤선도의 손자이므로 윤두서는 윤선도의 증손자이다.
  • 심득경은 심광면(沈光沔)의 손자이고 윤두서는 심광사(沈光泗)의 외손자이다. 또한, 심득경은 윤선도의 외증손자이고 윤두서는 윤선도의 증손자이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문화재청고시제2006-112호,《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6410호, 1191면, 2006-12-29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