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턱신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래턱신경
아래턱신경.
정중선에서 본 아래턱신경. 오른쪽 하단의 작은 그림은 귀신경절.
정보
시작점삼차신경(제5뇌신경)
식별자
라틴어nervus mandibularis
영어mandibular nerve
MeSHD008340
TA98A14.2.01.064
TA26246
FMA52996

아래턱신경(mandibular nerve, V3), 또는 하악신경은 제5뇌신경 (CN V)인 삼차신경의 세 갈래 중 가장 큰 갈래이다. 들신경섬유 성분만 있는 삼차신경의 다른 두 갈래들(눈신경, 위턱신경)과 달리 아래턱신경은 들신경섬유와 날신경섬유 성분을 모두 가진다. 이 신경 섬유들은 아래턱과 얼굴의 구조물들에 분포하는데, 예시로는 , 아랫입술, , 씹기근육(저작근)이 있다.[1]

구조[편집]

큰 감각신경 뿌리는 삼차신경절의 측면에서 나와 타원구멍을 통해 머리안을 빠져나간다. 삼차신경의 작은 운동신경 뿌리는 삼차신경절 아래로 주행하여 타원구멍을 통해 머리뼈를 빠져나가고 머리뼈 바깥에서 감각신경 뿌리와 합쳐진다.[2]

아래턱신경은 즉시 안쪽의 입천장긴장근과 가쪽의 가쪽날개근 사이로 주행하며 신경의 안쪽에서 뇌막가지안쪽날개근신경을 낸다. 그 후 아래턱신경은 작은 앞줄기와 큰 뒤줄기로 나뉜다.

앞갈래는 세 개의 주요 씹기근육들과 뺨의 감각 정보를 전달하는 볼신경으로 가지를 낸다. 뒤갈래는 세 개의 주요 감각신경 가지인 귓바퀴관자신경, 혀신경, 아래이틀신경을 내며 턱목뿔근턱두힘살근 앞힘살로 운동신경 가지를 낸다.

가지[편집]

아래턱신경은 다음과 같은 가지들을 낸다.

분포[편집]

아래턱신경은 다음 구조물들에 분포한다.

앞갈래 (운동신경 분포)

(감각신경 분포)

뒤갈래 혀신경 부분 (맛을 제외한 감각)

아래이틀신경 부분 (운동신경)

(감각신경)

귓바퀴관자신경 부분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Rodella, L. F.; Buffoli, B.; Labanca, M.; Rezzani, R. (2012년 4월 1일). “A review of the mandibular and maxillary nerve supplies and their clinical relevance”. 《Archives of Oral Biology》 (영어) 57 (4): 323–334. doi:10.1016/j.archoralbio.2011.09.007. ISSN 0003-9969. 
  2. Burchiel, Kim J. (2003년 11월 1일). “A New Classification for Facial Pain”. 《Neurosurgery》 53 (5): 1164–1167. doi:10.1227/01.NEU.0000088806.11659.D8. ISSN 0148-396X. 
  3. Illustrated Anatomy of the Head and Neck, Fehrenbach and Herring, Elsevier, 2012, page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