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지비카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지비카교(산스크리트어: आजीविक)는 인도 철학나스티카 또는 “이단” 학파 중 하나이다.[1][2][3][4] 기원전 5세기 마칼리 고살라에 의해 창시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학파는 슈라마나 운동의 일종으로 브라만교, 불교, 자이나교의 주요 라이벌이었다.[1][2][5] 아지비카교도는 독립적인 공동체를 형성한 조직적인 출가자들이었다.[1][2][6] 아지비카교의 정확한 정체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그들이 불교의 한 분파인지 자이나교의 한 분파인지도 불분명하다.[7]

아지비카 학파의 원본 경전이 한때 존재했을 수도 있지만, 현재는 구할 수 없으며 아마도 소실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2] 그들의 사상은 고대 인도 문의 2차 자료에서 아지비카교에 대한 언급에서 발췌한 것이다.[1][2][8] 아지비카 운명론자들과 그들의 창시자 고살라에 대한 가장 오래된 묘사는 고대 인도의 불교 경전과 자이나교 경전에서 찾을 수 있다.[1][2][9] 학자들은 아지비카교의 철학과 종교적 관습에 경쟁하고 적대적인 집단(불교와 자이나교 등)에 의해 쓰여졌기 때문에 이러한 2차 자료에 아지비카 철학이 공정하고 완벽하게 요약되어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2][10] 따라서 아지비카교에 대해 이용 가능한 많은 정보가 어느 정도 부정확할 가능성이 있으며, 그들에 대한 평가는 신중하고 비판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2]

아지비카 학파는 절대 운명론 또는 결정론에 대한 니야티(“운명”) 교리,[2][4][11] 자유의지가 없으며, 일어났거나, 일어나고 있거나, 일어날 모든 것이 전적으로 미리 예정되어 있으며 우주 원칙의 함수라는 전제로 유명하다.[2][4][8] 생명체의 예정된 운명과 탄생, 죽음, 윤회의 영원한 순환에서 해탈(모크샤)을 이룰 수 없다는 것은 인도 철학 학파의 주요 특징적인 철학적, 형이상학적 교리였다.[2][11] 아지비카교는 더 나아가 카르마 교리를 오류로 간주했다.[12] 아지비카 형이상학에는 모든 것이 원자로 구성되어 있고, 자질은 원자의 집합체에서 나오지만 이러한 원자의 집합체와 본질은 우주의 법칙과 힘에 의해 미리 결정된다는 원자 이론이 나중에 바이셰시카 학파에서 채택된 원자 이론이 포함되었다.[2][13] 아지비카는 대부분 무신론자로 간주되었다.[14] 그들은 모든 생명체에는 브라만교자이나교의 중심 전제인 아트만이 존재한다고 믿었다.[15][16][17]

아지비카 철학은 기원전 4세기경 마우리아 황제 빈두사라가 통치하던 시기에 그 인기가 절정에 달했다. 그 후 이 학파는 쇠퇴했지만 남인도 카르나타카타밀나두 지역에서는 서기 14세기까지 거의 2,000년 동안 살아남았다.[1][3][12][18] 아지비카 철학은 카르바카 철학과 함께 고대 인도 사회의 전사, 산업 및 상인 계급에게 가장 큰 호소력을 발휘했다.[19]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Johnson 2009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2. Balcerowicz, Piotr (2016). 〈Determinism, Ājīvikas, and Jainism〉. 《Early Asceticism in India: Ājīvikism and Jainism》. Routledge Advances in Jaina Studies 1판.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36–174쪽. ISBN 978-1-317-53853-0. 2022년 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24일에 확인함. The Ājīvikas' doctrinal signature was indubitably the idea of determinism and fate, which traditionally incorporated four elements: the doctrine of destiny (niyati-vāda), the doctrine of predetermined concurrence of factors (saṅgati-vāda), the doctrine of intrinsic nature (svabhāva-vāda), occasionally also linked to materialists, and the doctrine of fate (daiva-vāda), or simply fatalism. The Ājīvikas' emphasis on fate and determinism was so profound that later sources would consistently refer to them as niyati-vādins, or ‘the propounders of the doctrine of destiny’. 
  3. Natalia Isaeva (1993), Shankara and Indian Philosoph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12817, pages 20-23
  4. James Lochtefeld, "Ajivika",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Vol. 1: A–M, Rosen Publishing. ISBN 978-0823931798, page 22
  5. Jeffrey D Long (2009), Jainism: An Introduction, Macmillan, ISBN 978-1845116255, page 199
  6. Basham 1951, 145–146쪽.
  7. Fogelin, Lars (2015). 《An Archaeological History of Indian Buddhism》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26쪽. ISBN 978-0-19-994822-2. 2023년 7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16일에 확인함. 
  8. Basham 1951, Chapter 1.
  9. Basham 1951, 224–238쪽:The fundamental principle of Ājīvika philosophy was Fate, usually called Niyati. Buddhist and Jaina sources agree that Gosāla was a rigid determinist, who exalted Niyati to the status of the motive factor of the universe and the sole agent of all phenomenal change. This is quite clear in our locus classicus, the Samaññaphala Sutta. Sin and suffering, attributed by other sects to the laws of karma, the result of evil committed in the previous lives or in the present one, were declared by Gosāla to be without cause or basis, other, presumably, than the force of destiny. Similarly, the escape from evil, the working off of accumulated evil karma, was likewise without cause or basis.
  10.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dundas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1. Leaman, Oliver, 편집. (1999). 〈Fatalism〉. 《Key Concepts in Eastern Philosophy》. Routledge Key Guides 1판.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80–81쪽. ISBN 978-0-415-17363-6. 2022년 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20일에 확인함. Fatalism. Some of the teachings of Indian philosophy are fatalistic. For example, the Ajivika school argued that fate (nyati) governs both the cycle of birth and rebirth, and also individual lives. Suffering is not attributed to past actions, but just takes place without any cause or rationale, as does relief from suffering. There is nothing we can do to achieve moksha, we just have to hope that all will go well with us. [...] But the Ajivikas were committed to asceticism, and they justified this in terms of its practice being just as determined by fate as anything else. 
  12.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philtar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3. Basham 1951, 262–270쪽.
  14. Johannes Quack (2014), The Oxford Handbook of Atheism (Editors: Stephen Bullivant, Michael Ruse),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644650, page 654
  15. Analayo (2004), Satipaṭṭhāna: The Direct Path to Realization, ISBN 978-1899579549, pp. 207-208
  16. Basham 1951, 240–261쪽.
  17. Basham 1951, 270–273쪽.
  18. Arthur Basham, Kenneth Zysk (1991),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Classical Hinduis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073492, Chapter 4
  19. DM Riepe (1996), Naturalistic Tradition in Indian Thought,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12932, pages 39-40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