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아카라이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카라이브
영리여부영리
회원 가입선택
사용 언어한국어, 영어, 일본어, 스페인어
본사파라과이의 기 파라과이 아순시온
소유자Umanle S.R.L.
웹사이트arca.live
현재 상태운영중

아카라이브(영어: Arcalive)는 umanle S.R.L.에서 운영하는 커뮤니티 사이트로, 채널이라고 불리는 게시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별도로 회원가입을 받지 않고 나무위키의 아이디를 이용했으나 2018년 10월 21일 아카라이브 자체 로그인으로 변경됐다. 원래 이름은 나무라이브였는데, 2020년 7월 디시인사이드발 마이너 갤러리 접근 제한 사태로 인하여 수많은 디시인사이드 유저들이 유입하면서 마이너타운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아카라이브로 이름이 다시 바뀌었다.

역사[편집]

Umanle S.R.L.의 나무위키 커뮤니티(가칭) 계획에 따라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에는 한국식 게시판 방식(글 작성시간순 정렬)만을 지원했으나 2018년 8월 스레드 플로트형 게시판 방식도 지원한다.[1] 채널은 신설 당시부터 Umanle S.R.L.에서 직접 관리했으나 2018년 7월 이용자가 직접 포인트를 소모하여 생성하는 사설 채널이 만들어지면서[2] 크게 사설 채널과 공식 채널로 나뉜다. 그러나 2018년 8월 Umanle S.R.L.에서 공식 채널 경매를 진행해 공식 채널의 관리권한을 일반 이용자에게 넘겨주면서 Umanle S.R.L. 측에서는 공식 채널 관리를 중단했으며 공식 채널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계획을 밝히었다.[3] 이후, 규모가 큰 채널들이 채널로 지정되었다.

문화[편집]

공식적으로는 나무위키에서 파생된 커뮤니티 사이트라고 하지만, 디시인사이드의 마이너 갤러리 접근 제한 사태로 인해 갈 곳이 없어진 디시인사이드 유저들이 아카라이브로 많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주요 채널들의 문화는 디시인사이드와 비슷한 양상을 띠고 있다.

채널[편집]

디시인사이드의 갤러리와 비슷한 개념이다. 물론 수많은 채널이 있는 만큼 각 채널의 문화는 천지차이다.

2018년 8월에 채널 만들기 기능이 추가되었다.

각주[편집]

  1. *ㅇ (2018년 8월 7일). “사소한 업데이트 - 공지 채널”. 나무라이브. 2018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3일에 확인함. 
  2. *ㅇ (2018년 7월 31일). “개인 게시판 생성 가능합니다”. 나무라이브. 2018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3일에 확인함. 
  3. *ㅇ (2018년 8월 29일). “공식 채널 경매가 진행됩니다.(완료)”. 나무라이브. 2018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3일에 확인함. 
이 문서에는 리브레 위키에서 CC BY-SA 3.0 라이선스로 배포된 아카라이브 문서를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리브레 위키의 기여자 목록은 여기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