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알렉산드로프-콘체비치-시바르츠-자보론스키 시그마 모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론물리학에서 알렉산드로프-콘체비치-시바르츠-자보론스키 시그마 모형(Алехандров-Концевич-Шварц-Заборонский模形, 영어: AKSZ sigma model, 약자 AKSZ 시그마 모형)은 L∞-준대수의 데이터로 정의되는 위상 양자장론이다.

정의[편집]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콤팩트 매끄러운 다양체
  • 매끄러운 다양체
  • 위의 L∞-준대수 . 즉, 이는 가 되는 L∞-대수이다.
  • 위의 2차 불변 다항식. 즉, 원소 가운데, 이며, 의 꼴이어야 한다. 또한, 위의 비퇴화 이차 형식이어야 한다. (여기서 L∞-대수베유 대수이다.)
  • 가 되는 원소 . 이를 천-사이먼스 원소(영어: Chern–Simons element)라고 한다.

베유 대수에서 슈발레-에일렌베르크 대수로 가는 표준적인 사영 사상

아래의 의 상을 라고 하자.

L-준대수 사상

위의 일련의 미분 형식 장들을 정의한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작용을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임의의 상수이다. 이를 AKSZ 시그마 모형이라고 한다.

[편집]

1차원[편집]

심플렉틱 다양체 심플렉틱 형식 완전 미분 형식이라고 하자.

즉, 여기서 의 천-사이먼스 형식이다.

은 (0차원 벡터 다발에 해당하는) 자명한 리 준대수로 여겨질 수 있으며, 그 슈발레-에일렌베르크 대수

이다.

리 준대수 사상

은 단순히 매끄러운 함수 이며, 이에 대한 1차원 알렉산드로프-콘체비치-시바르츠-자보론스키 시그마 모형의 작용

이다. 이에 대한 운동 방정식은

이다. 즉, 이는 움직이지 않는 입자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공변접다발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가 되며, 이 경우 작용은

가 된다. 이는 입자의 통상적인 작용

에서 무한대 질량 극한

을 취한 것이다. 즉, 입자가 매우 무거워,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된다.

2차원 (푸아송 시그마 모형)[편집]

푸아송 다양체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은 표준적으로 리 준대수를 이룬다. 그렇다면, 리 준대수 사상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 매끄러운 함수 . 그 미분은 이다. 이는 접다발 당김 올다발 값을 갖는 1차 미분 형식이다.
  • 공변접다발 당김 올다발 값을 갖는 1차 미분 형식

의 지표를 로, 의 지표를 로 적을 때, 장들은

이며, 이에 대한 작용은

이다. 여기서 푸아송 다양체의 푸아송 텐서이다.

천-사이먼스 이론[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유한 차원 실수 리 대수 . 이는 한원소 공간 위의 리 준대수이다.
  • 위의 불변 다항식

(예를 들어, 만약 단순 리 대수라면, 킬링 형식의 실수배이다.)

그렇다면, 에 대응하는 천-사이먼스 원소

를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작용은 천-사이먼스 형식이다.

리 준대수 사상

의 개념은 리 대수 값 1차 미분 형식

의 개념과 동치이며, 이에 대한 AKSZ 시그마 모형은 에 대한 천-사이먼스 이론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이차 리 대수 대신 스칼라장을 포함할 수 있는 쿠런트 준대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얻는 작용은 쿠런트 시그마 모형(영어: Courant sigma model)이라고 한다.

역사[편집]

알렉산드로프 · 막심 콘체비치 · 알베르트 시바르츠 · 자보론스키가 도입하였다.[1]

참고 문헌[편집]

  1. Alexandrov, M.; Kontsevich, Maxim; Schwarz, Albert; Zaboronsky, Oleg (1997). “The geometry of the master equation and topological quantum field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Modern Physics A》 (영어) 12 (7): 1405–1429. arXiv:hep-th/9502010. 
  • Ikeda, Noriaki (2012). “Lectures on AKSZ topological field theories for physicists” (영어). arXiv:1204.3714. 
  • Roytenberg, Dmitry (2007). “AKSZ-BV formalism and Courant algebroid-induced topological field theories”. 《Lett.Math.Phys.》 (영어) 79: 143–159. arXiv:hep-th/0608150. 
  • Fiorenza, Domenico; Rogers, Chris; Schreiber, Urs (2013). “AKSZ Sigma-Models in Higher Chern-Weil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Geometic Methods in Modern Physics》 (영어) 10: 1250078. arXiv:1108.4378.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