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애기땅빈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애기땅빈대
애기땅빈대(2009년 6월, 건국대학교)
애기땅빈대(2009년 6월, 건국대학교)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장미군
목: 말피기목
과: 대극과
아과: 대극아과
족: 대극족
속: 대극속
종: 애기땅빈대
학명
Euphorbia supina
Raf. (1817)

애기땅빈대는 대극과의 한해살이풀이다. 좀땅빈대, 애기점박이풀이라고도 부른다. 북아메리카 원산이다.

생태[편집]

길가나 밭둑에서 흔하게 자란다. 줄기는 연한 붉은색을 띠며 두 갈래로 갈라지면서 땅을 긴다. 길이는 10~25센티미터쯤 되며 털이 난다. 잎은 마주나며 긴둥근꼴이다. 길이 5~10밀리미터, 너비 2~4밀리미터쯤 되며,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고, 가운데 짙은 갈색 반점이 있다. 꽃은 6~8월에 잎겨드랑이에 몇 개씩 모여 피는데 수술과 암술이 각 1개씩 되는 배상꽃차례라서 1개의 꽃처럼 보인다.[1] 총포는 술잔 모양이며, 암술대는 3개인데 끝이 두 갈래로 깊이 갈라진다.[2] 열매는 삭과인데 밑으로 드리우며,[1] 겉에 굽은 털이 난다. 씨는 달걀꼴이며 네모진다.[2]

비슷한 풀[편집]

  • 땅빈대(Euphorbia humifusa Willd. ex Schltdl.) : 애기땅빈대에 비해 줄기 색이 짙은 적갈색이고, 줄기에 난 잔털이 애기땅빈대보다 적다.[3]
  • 큰땅빈대(Euphorbia prostrata L.) : 애기땅빈대와 달리 줄기가 곧게 서고 열매에 털이 없다.[4]
  • 누운땅빈대(Euphorbia prostrata Aiton) :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애기땅빈대와 달리 잎이 긴둥근꼴이고 열매에 털이 능선부에만 난다.[5]

사진[편집]

각주[편집]

  1. 고경식·김윤식 (1988년 8월 10일). 《원색한국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171쪽. 
  2. 박수현 (2009년 4월 10일). 《세밀화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귀화식물》. 일조각. 200쪽. 
  3. 이동혁 (2007년 6월 5일). 《오감으로 찾는 우리 풀꽃》. 이비컴. 256쪽. ISBN 978-89-89484-57-8. 
  4. 박수현 (2009년 4월 10일). 《세밀화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귀화식물》. 일조각. 196쪽. 
  5. 박수현 (2009년 4월 10일). 《세밀화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귀화식물》. 일조각. 198쪽.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