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양산 통도사 서운암 동궁어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산 통도사 서운암 동궁어필
대한민국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종목유형문화재 제640호
(2018년 12월 20일 지정)
수량1책
시대조선시대
관리양산 통도사 서운암 
주소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양산 통도사 서운암 동궁어필(梁山 通度寺 瑞雲庵 東宮御筆)은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에 있는 책이다. 2018년 12월 20일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640호로 지정되었다.[1]

지정 사유[편집]

「동궁어필」은 세자의 글씨를 의미하는데, 여기서는 사도세자(思悼世子: 1735-1762)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도세자의 글씨첩을 말한다. 동궁이란 왕세자를 칭하기도 하고 또는 세자가 거처하는 곳을 동궁이라고 한다. 조선왕조실록의 기록과 능허관만고의 내용을 대조해 볼 때, 「양산 통도사 서운암 동궁어필」은 사도세자가 자신이 지은 글을 직접 쓴 작품이라고 판단된다. 그러므로 사도세자가 14세에 쓴 이른 시기의 친필 작품이라는 사실과 능허관만고에 수록되지 않은 시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자료적 가치가 있으므로“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한다.[1]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경상남도공고제2018-486호, 《경상남도 문화재 지정 고시》, 경상남도지사, 2018-12-20

참고 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