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진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엄진일(嚴鎭一, ? ~ ?)은 조선 후기의 무신, 군인이다. 창덕장, 동지 등을 거쳐 창덕궁위장을 역임했다. 고종의 계비 순헌황귀비의 큰아버지이며, 엄준원의 생부가 된다. 영친왕의 외종조부이며 민원식의 처종조부가 된다. 본관은 영월(寧越).

생애[편집]

사후 호조참판 의정부찬정에 추증된 엄재우(嚴載祐)와 호군 연동흠(延東欽)의 딸 곡산 연씨(谷山延氏)의 아들로, 엄진오(嚴鎭五), 순헌황귀비의 친정아버지가 되는 엄진삼(嚴鎭三) 등은 그의 친 동생이었다. 그의 큰아버지인 엄재화는 엄주익의 증조부가 된다. 아버지 엄재우에게 추증된 호조참판 벼슬은 엄진일이 출세하여 내려진 증직이었다. 아버지 엄재우는 후일 1901년(광무 4년) 11월 다시 의정부찬정직이 가증되었다.

1869년(고종 6년) 6월 13일 창덕장(昌德將)에 임명되고, 같은 해 6월 24일 동지중추부사에 임명되었다. 그해 12월 21일 다시 동지중추부사에 임명되었다. 1870년(고종 7년) 3월10일 창덕궁위장(昌德宮衛將)에 임명되었다.

1906년(광무 9년) 3월 12일 아들 엄충원(嚴忠源)이 시종원부경에 임명되면서, 그는 특별히 내부협판추증되었다.

가족 관계[편집]

영친왕은 그의 외종손이 된다. 엄주익은 그의 친 사촌의 손자가 된다.

같이 보기[편집]

참고자료[편집]

  • 승정원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