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장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장록은 항일 독립운동가이며, 본관은 동복(同福)이다. 참고로, 같이 친일파 척결과 미군정에 반발해 일어난 추수봉기를 하였던 오임탁은 일제시대 항일 운동의 공로를 인정받아 2009년 정부에서 건국포장 서훈을 받았으나, 오장록은 그 인정여부가 불분명하다.

생애[편집]

오장록은 일제시대 때 해남에서 면사무소 서기로 근무하면서 비밀리에 독립운동을 펼치다가, 일본(日本)에서 옥고를 치렀다. 그후 집행유예 기간 3년간 집에서도 밖에서도 철저히 벙어리 행세를 하며 지낸 바, 해방이 되자 인민위원회 농민위원장이 되어 화려하게 나타났다. 해방 후 1946년 친일파 척결과 미군정에 반발해 일어난 추수봉기때는 민선 군수였던 계곡 방춘출신 김정수와 봉기를 사실상 이끌었다. 봉기 이후 해남 황산면 부곡리에서 체포된 그는 장흥교도소 수감 중 탈옥을 하지만 다시 잡혀 사형을 당했다. 11월 추수봉기는 해남 화원면을 제외한 13개 읍면에서 동시로 일어난 농민봉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