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레우로페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올레우로페인
이름
IUPAC 이름
(4S,5E,6S)-4-{2-[2-(3,4-dihydroxyphenyl)ethoxy]-2-oxoethyl}-5-ethylidene-6-{[(2S,3R,4S,5S,6R)-3,4,5-trihydroxy-6-(hydroxymethyl)-2-tetrahydropyranyl]oxy}-4H-pyran-3-carboxylic acid methyl ester
별칭
2-(3,4-Dihydroxyphenyl)ethyl [(2S,3E,4S)-3-ethylidene-2-(β-D-glucopyranosyloxy)-5-(methoxycarbonyl)-3,4-dihydro-2H-pyran-4-yl]acetate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MBL
ChemSpider
ECHA InfoCard 100.046.466
UNII
  • InChI=1S/C25H32O13/c1-3-13-14(9-19(29)35-7-6-12-4-5-16(27)17(28)8-12)15(23(33)34-2)11-36-24(13)38-25-22(32)21(31)20(30)18(10-26)37-25/h3-5,8,11,14,18,20-22,24-28,30-32H,6-7,9-10H2,1-2H3/b13-3+/t14-,18+,20+,21-,22+,24-,25-/m0/s1 예
    Key: RFWGABANNQMHMZ-ZCHJGGQASA-N 예
  • InChI=1/C25H32O13/c1-3-13-14(9-19(29)35-7-6-12-4-5-16(27)17(28)8-12)15(23(33)34-2)11-36-24(13)38-25-22(32)21(31)20(30)18(10-26)37-25/h3-5,8,11,14,18,20-22,24-28,30-32H,6-7,9-10H2,1-2H3/b13-3+/t14-,18+,20+,21-,22+,24-,25-/m0/s1
    Key: RFWGABANNQMHMZ-ZCHJGGQABE
  • O=C(OCCc1ccc(O)c(O)c1)C[C@H]2C(=C/C)\[C@@H](O\C=C2\C(=O)OC)O[C@@H]3O[C@@H]([C@@H](O)[C@H](O)[C@H]3O)CO
성질
C25H32O13
몰 질량 540.51 g/mol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아니오아니오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올레우로페인(영어: oleuropein)은 녹색 올리브 껍질, 과육, 씨앗, 잎, 아르간 오일에서 발견되는 쓴맛이 나는 일종의 페놀성 화합물인 글리코실화된 세코-이리도이드이다.[1] 올레우로페인이라는 용어는 올리브 나무의 학명인 Olea europaea로부터 파생되었다.

올레우로페인의 쓴맛 때문에 올리브를 식용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올레우로페인을 완전히 제거하거나 분해해야 한다. 테이블 올리브로 소비하기 위해 쓴맛이 나고 먹을 수 없는 녹색 올리브를 가공하는 동안 올레우로페인은 잿물에 담그는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올리브에서 제거된다.[2][3]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Rupp R. (2016년 7월 1일). “The bitter truth about olives”. 《National Geographic》. 2019년 6월 24일에 확인함. 
  2. “How olives are made”. California Olive Committee. 2017. 2017년 8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5일에 확인함. 
  3. Colmagro S., Collins G., and Sedgley M. “Processing technology of the table olive” (PDF). 2019년 6월 2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