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하네스 오케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요하네스 오케겜(Johannes Ockeghem, 1410/1425 – 1497년 2월 6일[1] )은 15세기 후반에 프랑코-플랑드르 학파의 가장 유명한 작곡가였다. 그는 유명한 작곡가였을 뿐만 아니라 가수, 합창단장, 교사이기도 했다.

오케겜은 경력의 길이와 명성을 고려할 때 다작 작곡가가 아니었으며 그의 작품 중 일부는 유실되었다. 이전에 그에게 귀속된 많은 작품은 이제 다른 작곡가의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의 가장 유명한 작곡가들과 마찬가지로 오케겜의 신뢰할 수 있는 작곡의 총 산출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들었다.[2]

오케겜이 모테트 샹송을 작곡한 Binchois(1460)의 죽음을 제외하고는 외부 참조 지점이 거의 없기 때문에 오케겜의 작품이 언제 작곡된 것인지 알기가 어렵다. Missa Caput 은 144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같은 제목의 익명의 영국 미사에 뒤이어 있기 때문에 초기 작품임이 거의 확실하며 그의 후기 미사에는 Missa Ma maistresse 와 Missa Fors seulement가 포함될 수 있다.[2]

오케겜은 그의 미사곡의 약 절반에서 cantus firmus 기술을 사용했다. 이 미사 중 가장 초기의 사람들은 개별 악장의 시작 부분에 머리 모티브를 사용했는데, 이는 1440년경에 일반적인 관행이지만 1450년경에 이미 고풍이 된 관행이다.[2] 그의 미사 중 두 곡인 Missa Ma maistresseMissa Fors seulement는 그가 직접 작곡한 샹송을 기반으로 하며 16세기 의 패러디 미사 기법을 예고하는 샹송의 한 목소리 이상을 사용한다.[2][3]

오케겜은 15세기 중반에 영국 Sarum Rite 의 성가 부분을 기반으로 쓰여진 3개의 미사 중 하나인 Missa Caput 과 같이 빌린 자료를 가장 낮은 목소리로 배치하기도 했다.[2] 오케겜 작곡 기법의 또 다른 특징은 목소리의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목소리의 리드미컬한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이다.[1]

오케겜은 표현력이 풍부한 음악으로 유럽 전역에서 유명했지만 기술적 기량으로도 유명했다.[4] 15세기의 가장 유명한 대위법적 업적 중 두 가지는 전적으로 계량 정경으로 구성된 그의 Missa prolationum다양한 방식으로 연주되도록 설계된 Missa cuiusvis toni를 포함 하지만 이러한 기술 지향적인 작품조차도 그의 독특함을 보여준다. 음성 범위와 음조 언어의 표현 사용.[5]  오케겜의 광범위하고 리드미컬한 베이스 라인의 사용은 그를 Netherlandish School의 다른 많은 작곡가들과 차별화시키며, 이것이 그의 목소리 범위였기 때문일 수 있다.

오케헴은 1497년 2월 6일 프랑스 투르에서 사망했다. 그의 죽음을 기념하기 위해 조스캥 데프레는 Jean Molinet 의 시 Nymphes des bois를 배경으로 한 모테트를 작곡했다. 오케겜이 죽은 후 비정상적으로 많은 애가가 나타났다. 이 시의 저자 중 일부는 Molinet와 Desiderius Erasmus를 포함했다. Johannes Lupi는 또 다른 음악적 설정을 제공했다.[5]

각주[편집]

  1. Brown & Stein, p61.
  2. Perkins, Grove online
  3. Brown & Stein, p62.
  4. Brown & Stein, p61-71.
  5. Brown & Stein, p69.

참고 자료[편집]

  • Leeman Perkins: "Johannes Ockeghem"; Pamela Starr, "Johannes Pullois". Grove Music Online, ed. L. Macy (Accessed December 23, 2007), (subscription access)Archived 2008년 5월 16일 - 웨이백 머신
  • Article "Johannes Ockeghem,"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ed. Stanley Sadie. 20 vol. London, Macmillan Publishers Ltd., 1980. (ISBN 1-56159-174-2)
  • Gustave Reese: Music in the Renaissance. New York, W.W. Norton & Co., 1954. (ISBN 0-393-09530-4)
  • Fabrice Fitch: Johannes Ockeghem: Masses and Models. Paris, Honoré Champion Éditeur, 1997. (ISBN 978-2-85203-735-9)
  • Jeffrey Dean: "Okeghem's valediction? The meaning of 'Intemerata Dei mater'", in Johannes Ockeghem: Actes du XLe Colloque international d'études humanistes. Éditions Klincksieck, 1998. (ISBN 2-252-03214-6)
  • Martin Picker: Johannes Ockeghem and Jacob Obrecht: A Guide to Research. (Garland Composer Resource Manuals, 13.) New York: Garland Publishing Co., 1988. (ISBN 0-8240-8381-4)
  • Leeman Perkins: Music in the Age of the Renaissance. New York, W.W. Norton & Co., 1999.
  • Howard M. Brown & Louise K. Stein: Music in the Renaissance, 2nd ed. New Jersey, Prentice Hall, 1996. Pp. 60–79.
  • Giulio Ongaro: Music of the Renaissance. Westport, Connecticut, Greenwood Press, 2003. P.32.
  • Daniel Van Overstraeten: Le lieu de naissance du musicien Jean Ockeghem (ca 1420–1497): une énigme élucidée. Annales du Cercle d'histoire et d'archéologie de Saint-Ghislain et de la région. VI 1993. (in French)
  • Philippe Vendrix, dir. Johannes Ockeghem. Actes du XIe Colloque international d'études humanistes. Centre d'Etudes Supérieures de la Renaissance. Coll. Epitome musical. Kincksieck, 1998. ISBN 2-252-03214-6ISBN 2-252-03214-6 (in French and in English).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