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쓰노미야 구니쓰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쓰노미야 구니쓰나
宇都宮国綱
도모에
도모에
무사 정보
시대 센고쿠 시대 ~ 에도 시대 전기
출생 에이로쿠 11년(1568년)
사망 게이초 12년 음력 11월 22일(1608년 1월 9일)
개명 이세주마루(伊勢寿丸) → 구니쓰나(国綱)
별명 하시바 구니쓰나(羽柴国綱)
계명 大昌院心翁浄安
관위 시모쓰케카미(下野守), 사마곤노카미(左馬権頭), 우바곤노카미(右馬権頭), 사마아타마(左馬頭)
씨족 시모쓰케 우쓰노미야씨
부모 아버지: 우쓰노미야 히로쓰나(宇都宮広綱), 어머니: 난료인(南呂院)[1]
형제자매 동생: 유키 도모카쓰(結城朝勝), 하가 다카타케(芳賀高武)
배우자 정실: 고소쇼(小少将)[2]
자녀 요시쓰나(義綱), 노리쓰나(則綱)
묘소 오하테라(尾羽寺)

우쓰노미야 구니쓰나(일본어: 宇都宮国綱 うつのみや ただつな[*], 에이로쿠 11년(1568년) ~ 게이초 12년 음력 11월 22일(1608년 1월 9일))는 시모쓰케국센고쿠 다이묘이다.

생애[편집]

덴쇼 4년 음력 8월 7일(1576년 8월 30일) 아버지 히로쓰나(広綱)의 죽음으로 우쓰노미야 씨 22대를 이어받았으나, 나이가 어렸고 아버지만큼의 정치력이 없었던 탓에 미부씨(壬生氏)나 미나카와씨(皆川氏) 등 국내 반대세력들이 활발하게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게 되었고, 고호조씨의 침공도 격화되었다. 이에 맞서 구니쓰나는 히타치사타케씨가즈사의 유키씨(結城氏), 가이다케다 가쓰요리, 나중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와도 손잡고 맞서기에 이른다. 그러나 오다와라 정벌 직전에는 가누마성(鹿沼城), 모카성(真岡城), 미부성(壬生城)는 등 주변 여러 성들이 모두 고호조 씨로부터 이반하였고, 구니쓰나는 거점을 평지인 우쓰노미야성(宇都宮城)에서 산성인 다케성(多気城)으로 옮길 수 밖에 없을 정도로 수세에 몰렸고, 히데요시의 출진을 바랄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 그리고 덴쇼 18년(1590년) 히데요시의 오다와라 정벌에 가담, 이시다 미쓰나리의 지휘로 오시성 공격 등에 참가하였고, 시모쓰케국 18만 석 영지의 주인이 되었다.

구니쓰나는 히데요시의 명으로 임진왜란에 참전하였다. 또한 히데요시의 힘을 배경으로 일문의 통제를 강화할 수 있었으며[3] 분로쿠 3년(1594년)에는 도요토미(豊臣) 성씨를 사성받기도 했다. 그러나 게이초 2년 음력 10월 13일(1597년 11월 22일) 히데요시는 갑작스럽게 구니쓰나에 대한 개역(改易) 명령을 내렸다.[4] 그 뒤 구니쓰나는 우쓰노미야 집안에서 쫓겨나 히젠국(備前国)의 우키타 히데이에(宇喜多秀家) 휘하로 들어 갔고, 「조선에서의 전공에 따라 재흥을 허락하겠다」는 히데요시의 말을 듣고 우쓰노미야 씨 재흥을 위해 정유재란(일본명 게이초의 역)에도 참전하였고, 순천성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나[5] 히데요시의 죽음으로 재흥의 꿈은 끝내 물거품으로 돌아갔다.[6]

그 뒤 여러 구니를 떠돌다 게이초 12년(1607년)에 에도의 아사쿠사(浅草) 이시하마(石浜)에서 병사하였다고 전해진다. 향년 40세.

아들 요시쓰나(義綱)는 장성한 뒤 미토번의 번사가 되었다. 구니쓰나의 처 고소쇼(小少将)는 도쿠가와 마사코(徳川和子, 도쿠가와 가즈코)의 유모였기에 마사코가 황후로 간택되어 입궁할 때 교토로 상경했다고 한다.

각주[편집]

  1. 사타케 요시아키(佐竹義昭)의 딸.
  2. 사타케 요시히사(佐竹義久)의 딸로 사타케 요시시게(佐竹義重)의 양녀가 되었다.
  3. 다만 본래 우쓰노미야 일문이나 가신 소유의 영지였던 지역임에도 호조씨의 편에 섰던 미부씨나 기쓰레가와(喜連川)의 시오야 씨(塩谷氏) 소유 영지는 도요토미 정권에 몰수되어 유키씨(結城氏) 등에 분배되었기에 전체적으로 봤을 때는 센고쿠 시대보다 소유한 영지가 줄어든 형태였다. 한편 몰수된 기쓰레가와 영지에는 아시카가 일족인 오유미 공방(小弓公方)의 자손들이 옮겨져서 훗날 기쓰레가와 씨(喜連川氏)가 되었다.
  4. 이에 대해 《우쓰노미야 흥폐기》(宇都宮興廃記)에는 후사가 없었던 구니쓰나가 오봉행(五奉行)의 한 사람인 아사노 단조 나가마사(浅野弾正長政, 마카베번 초대 번주)의 셋째 아들(둘째라고도 한다) 나가시게(長重, 가사마번 초대 번주)를 양자로 들이는 것을 구니쓰나의 동생 하가 다카타케(芳賀高武)가 격렬하게 반대하면서 그 일을 주도한 구니쓰나의 측근 이마이즈미 다카미쓰(今泉高光)를 죽여버렸고, 나가마사가 이에 앙심을 품었기 때문, 이라고 적고 있다. 방증으로 게이초 2년 10월 7일 사타케 요시노부(佐竹義宣)가 자신의 아버지 요시시게(義重)에게 보낸 문서가 있는데, 여기에는 우쓰노미야씨의 인척이기도 했던 사타케 씨에게도 개역 명령이 내려졌으나 이시다 미쓰나리가 손을 써서 개역은 겨우 면했다는 것이나, 「상경하여 하루라도 빨리 히데요시에게 알현해야 하나, 아사노 단조의 검사(検使)가 우쓰노미야 영지 조사에 나섰으니 들키지 않게 몰래 상경하도록 하라」라는 미쓰나리의 지시를 받았다고 적혀 있다. 여기서도 우쓰노미야 씨의 개역에 아사노 단조가 관여했다는 것이 드러난다. 한편 히데요시가 실시한 토지 조사에서 히데요시가 원래 우쓰노미야 씨에게 인정해 주었던 18만 석보다 더 많았다는 결과가 나왔고 이것이 석고 사칭으로 간주되었다(사카모토坂本 『シリーズ藩物語、宇都宮藩・高徳藩』 11쪽)는 설도 있다. 구니쓰나와 이마이즈미 등 측근이 추진했던 우쓰노미야 집안 가신들에 대한 통제 강화에 우쓰노미야 집안의 기득권을 장악해왔던 중신들을 대표하는 하가 씨(芳賀氏)가 반발하였고 문벌 대 측근이라는 항쟁 구도가 구니쓰나 개역의 원인이었다는 설도 존재한다.
  5. 이때 우쓰노미야 구니쓰나가 작성한 것이 《우쓰노미야 고려 귀진 이야기》(宇都宮高麗帰陣物語)이다.
  6. 다만 《우쓰노미야 흥폐기》에 따르면 이때 본국(시모쓰케국) 고야마(児山)에 소규모 영지를 하사받기는 했다고 한다.
전임
우쓰노미야 히로쓰나
제22대 시모쓰케 우쓰노미야씨 당주
1576년 ~ 1607년
후임
우쓰노미야 요시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