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원자 궤도 함수 선형 결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자화학에서 원자 궤도 함수 선형 결합(原子軌道函數線型結合, linear combination of atomic orbitals, 약자 LCAO)은 분자 궤도원자 궤도 함수의 선형결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이다.[1] 양자역학에서 원자의 전자배치파동함수로 표현된다. 수학적으로 생각해볼 때, 이 파동함수들은 주어진 원자의 전자를 묘사하는 기저함수이다. 원자의 오비탈은 수학적으로 생각할 때 complete basis를 이루기 때문에, 모든 함수를 원자 오비탈의 선형결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화학반응에서 궤도 함수들은 화학결합을 하고 있는 원자들의 종류에 따라 전자구름 모양이 바뀌는 식으로, 바뀌게 된다. LCAO를 근사법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으나, LCAO 수학적으로 볼 때 정당하며, 무한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근사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역사[편집]

존 레너드존스(John Edward Lennard-Jones)가 1929년 일주기 이원자분자의 결합을 서술, 소개했으나 이미 라이너스 폴링이 H2+[2][3]에 사용했었다.

전개[편집]

수학적으로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

혹은

각주[편집]

  1. Huheey, James. Inorganic Chemistry:Principles of Structure and Reactivity
  2. Kutzelnigg, Werner (1996년 3월 15일). “Friedrich Hund und die Chemie”. 《Angewandte Chemie108 (6): 629–643. doi:10.1002/ange.19961080604.  영역 Kutzelnigg, Werner (1996년 4월 1일). “Friedrich Hund and Chemistry”.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in English》 35 (6): 572–586. doi:10.1002/anie.199605721. 
  3. Mulliken, Robert S. (1967년 7월 7일). “Spectroscopy, Molecular Orbitals, and Chemical Bonding”. 《Science157 (3784): 13–24. doi:10.1126/science.157.3784.13.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 LCAO @ chemistry.umeche.maine.edu 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