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토론:문서 훼손/보존문서1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책 제안

반달행위시 처벌규정

  1. 관리자나 중재위원회 등 정책에 의해 반달행위에 대한 공식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 집행할 수 있는 자는 반달행위의 신고가 접수되면, 접수된 날로 부터 1주일 내에 반달행위 인정/불인정의 판단을 내린다.
  2. 신고가 철회되면 처벌할 수 없으며, 만약 처벌을 하고 신고가 철회되면, 처벌이 소급 소멸한다.
  3. 처벌은 3회까지 경고, 4회시 차단을 한다.
  4. 한번에 이뤄진 여러문서에 대한 반달행위는 연속범, 접속범, 포괄일죄 참조.-- 멀뚱이 (토론) 2006년 4월 28일 (금) 20:09 (KST)답변
  • 반대합니다. 반달행위가 하루에도 몇번씩 조직적으로 나오는 것도 아니고, 대부분의 반달행위는 1회성(한번 장난치고 끝)입니다. 그냥 되돌리면 끝나는 걸 뭐하러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요? 가끔 나타나는 심각한 반달행위라면 절차가 있어야 할 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예를 들어 공산주의 반달이 나타났을 때에 위와 같이 행동하면 어떤 대처가 나타날지 직접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WiC가 나타나고, 신고 접수하고, 1주일 내에 판단을 하고, ... 그 동안에 WiC가 계속 남아있을지도 의문이군요. --Klutzy 2006년 4월 24일 (월) 21:42 (KST)답변
근데, 공산주의 반달은 무슨 의미죠? 그게 저거 반대하는 논거입니까? 좀 안 맞군요. 1주일 내라는 건 즉시도 포함하는 겁니다. 신고야 관리자가 신고하고 관리자가 판정해도 되는 거고. -- 멀뚱이 (토론) 2006년 4월 28일 (금) 20:13 (KST)답변
현재 관리자들의 방식으로는
  • 웬만한 반달은 그냥 한번 되돌리고 끝. 이건 관리자만 할 수 있는 일은 아닙니다.
  • 좀 심한 경우는 일정 기간 차단하거나 문서 보호/준보호. 이건 신고하고 판단한다고 해서 되는 일도 아니고요.
이렇게가 전부입니다. 이 이상의 규칙이 필요할까요? (차단 기간 기준은 정해야 하겠지만요.) Klutzy 2006년 4월 28일 (금) 20:21 (KST)답변
공산주의 반달은 이런 류의 반달리즘을 말합니다. --Puzzlet Chung 2006년 4월 28일 (금) 22:09 (KST)답변

어째서 단축에 백:rv가..

백:rv는 위키백과:이전 버전으로 되돌리기로 넘겨주는것이 낫지 않을까요? -- 66 Quotation Marks. 99 2008년 1월 11일 (금) 22:22 (KST)답변

다중 계정의 부정사용

이것도 훼손행위입니다. 특히 차단회피,다중투표,자작자연에 의한 토론방해는 훼손이 아니면 뭡니까?----hyolee2♪/H.L.LEE 2008년 6월 21일 (토) 11:13 (KST)답변

반달행위라는 말

반달행위라는 것은 완전히 반달족을 비웃는 말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반달행위를 모두 쓰지 말고 문서훼손이라는 말을 쓰는것이 알맞다고 생각합니다.--위키백과당! (토론) 2009년 4월 27일 (월) 12:56 (KST)답변

머 그건 사실입니다. 반달리즘도 영어에서 건너온 말이니... -- 윤성현 기여F.A 2009년 4월 27일 (월) 12:57 (KST)답변
동의합니다. 문서훼손이라는 말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면 다른 말을 만들어서라도 현지화(localization)가 필요한 용어라고 생각합니다. --〔아에이오우〕 (토론) 2009년 4월 27일 (월) 13:08 (KST)답변

문서 훼손의 종류 추가 제안

이 정책에 표기되지 않은 제가 생각한 문서 훼손에 대해 제안을 해봅니다.

  1. 위키백과를 제외한 다른 사이트에서 GFDL로 배포되는 내용을 편집 지침에 맞지 않게 그대로 퍼왔다.
  2. 저작권을 침해하였다.
  3. 한국어를 쓰지 않거나 문법에 상당히 어긋났다.

충분히 위 조항들도 문서 훼손의 종류로 볼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Jigsaw puzzle토론 2009년 6월 13일 (토) 16:44 (KST)답변

위의 내용들은 '삭제 대상'임에는 틀림이 없지요. 이게 '반복'되면 백:차단 정책에 의해 경고 등이 들어갑니다. --H군 (토론) 2009년 6월 13일 (토) 16:46 (KST)답변

편집지침 위반, 문법의 위반, 한국어의 비사용은 모두 문서훼손이 아닙니다. ^^ 첫 번째는 사용자에게 지침을 알려주면 되고 두번재는 고쳐주면 되고 세번째는 {{미번역}}을 쓰면 됩니다. --hun99 (토론) 2010년 3월 28일 (일) 17:04 (KST)답변

문서훼손이 아닌 것

영어 위키백과를 참고해 작성해보고 있습니다. 문서훼손이 아님에도 상당수 사용자들이 상대방에게 "문서훼손"이라고 규정하고 있어, 문서훼손의 범위를 확실히 이번 기회에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hun99 (토론) 2010년 3월 28일 (일) 17:04 (KST)답변

문서 번역 수정안

(원문)Although such edits can usually be reverted, it should not be treated as vandalism. → (현재 번역)그런 편집이 되돌려지더라도, 그것을 문서 훼손으로 간주하면 안 됩니다. → (수정안)그럴 때는 문서 훼손으로 간주하지 말고 편집을 되돌리기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에이오우〕 (토론) 2010년 4월 8일 (목) 12:59 (KST)답변

"이런 편집은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지만, 문서훼손으로 간주하지 마세요." 가 좋을 듯 합니다. --hun99 (토론) 2010년 4월 8일 (목) 17:00 (KST)답변
'가능하다'라는 말이 지나치게 can에 얽매이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그냥 같은 뜻이 되도록 우리말로 풀어서 써도 될 듯한데요. --〔아에이오우〕 (토론) 2010년 4월 8일 (목) 17:11 (KST)답변
편집을 되돌리기"만" 해라 에서 제가 좀 걸렸습니다. 문서훼손으로 취급되지 않을 뿐, 되돌리기 외에도 다른 조치들이 경우에 따라서는 부가될 수 있어서요. --hun99 (토론) 2010년 4월 8일 (목) 17:18 (KST)답변
(새 수정안)그럴 때는 문서 훼손으로 간주하지 말고, 되돌림이나 다른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세요. 이렇게 하면 어떨까요? --〔아에이오우〕 (토론) 2010년 4월 8일 (목) 17:34 (KST)답변

편집 사유 알림

사소한 편집 이상의 비중에 해당하는 편집 내역에 대하여 사유를 적습니다.

  1. 기여하다 → 글을 쓰다로 바꿈 - introduce material이 원문이었던 것을 확인하고, '기여'라는 말 대신 일반적인 말로 바꾸었습니다.
  2. “자신의 무지를 인지하고” → 포함된 문장 전체 지움 - 위키 문법과 편집 방식을 모르는 것을 가리켜 '무지'라고 부르는 것은 온당치 않다고 생각하였기에, 이렇게 고쳤습니다.

--〔아에이오우〕 (토론) 2010년 5월 14일 (금) 16:47 (KST)답변

'반달' 단축 제거

백:반, 백:반달 링크를 제거했습니다. '반달'이라는 말은 Vandalism이라는 영어 표현을 한국어로 옮긴 뒤 축약한 단어로, 한때 과거 위키백과에서 사용된 적이 있지만 의미를 이해하기 어렵고, 특히 초보자들에게 문턱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어 현재는 '문서 훼손'이라는 말을 대신 사용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사용자 토론 등의 공간에서 이 단어를 가급적 사용하지 말아 주셨으면 합니다. --klutzy (토론) 2010년 5월 20일 (목) 22:32 (KST)답변

참고로 과거 토론이 위키백과:사랑방/2007년 8월#반달행위 용어 변경 제안에 있습니다. --klutzy (토론) 2010년 5월 20일 (목) 22:38 (KST)답변

동의합니다. --〔아에이오우〕 (토론) 2010년 5월 21일 (금) 13:49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