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토론:하이픈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0년 전 (Bluemersen님) - 주제: 의견

수정[편집]

내용 자체는 놔두고 말투, 자기중심적 표현, 불필요한 영어 표현을 고친 것이므로 별도의 토론 없이 수정하였습니다. adidas (토론) 2008년 8월 28일 (목) 09:49 (KST)답변

하이픈 문제가 정리되면 이 문서를 편집 지침으로 흡수 통합하는게 좋다고 생각됩니다. -- 피첼 2008년 8월 29일 (금) 21:35 (KST)답변

하이픈 관련 본격적인 토론[편집]

하이픈이 예전부터 문제가 되왔습니다. 과연 "-"이 들어간 이름은 붙여야 되냐 말아야 하냐가 문제인데요 생각은 크게 이렇게 나뉠수 있습니다.

  • 흔히 알고 있듯이 띄어 쓴다.
  • 하이픈은 붙이는 것이므로 붙여 쓴다.
  • 하이픈을 존중해서 그대로 쓴다.

이 셋 중에 하나가 정해져야 할텐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의견 부탁드립니다.--A. W. ROLAND ː <RECENT> 2009년 2월 21일 (토) 00:26 (KST)답변

+추가로 말씀드리면, 3번째는 1번째와 2번째 경우를 해결할 중립적인 방법이어서 말씀드린겁니다.--A. W. ROLAND ː <RECENT> 2009년 2월 22일 (일) 22:48 (KST)답변

컨센시스[편집]

각자 찬성하는 부분에 찬성을 표시하고 서명해주세요.

흔히 알고 있듯이 띄어 쓴다.[편집]

  • 찬성 하이픈은 로마자 언어들끼리 번역할 때에도 일관성이 없습니다. 해당 언어판을 참고해야 하는데 그 나라 언어판에는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결국 가장 보편적인 표기인 띄어쓰는게 낫다고 봅니다.--A. W. ROLAND ː <RECENT> 2009년 3월 3일 (화) 22:06 (KST)답변

하이픈은 붙이는 것이므로 붙여 쓴다.[편집]

하이픈을 존중해서 그대로 쓴다.[편집]

기타[편집]

의견[편집]

의견이 있으면 여기에 적어주세요.

  • 의견 하이픈 관련 부분을 모두 폐기하기 원합니다. 애초에 남북한 어디든 하이픈을 붙이기도 하고 떼기도 하는 등, 표기도 일원화 되어있지 않은데 우리끼리 일원화 시켜봤자라고 생각됩니다. 구글링해보면 하이픈 붙이는 곳도 있고 떼는 곳도 있지요. 심지어 하이픈을 붙여서 표기하는 곳도 있고요. 그때그때 구체적으로 상황을 봐서 결정합시다 adidas (토론) 2009년 2월 22일 (일) 00:08 (KST)답변
의견 하이픈은 로마자 언어들끼리 번역할 때에도 일관성이 없습니다. 세사르 프랑크의 경우
  • César Auguste Jean Guillaume Hubert Franck라고 쓴 곳 (de, en, hu, nn, sl, sv, 그리고 he)
  • César-Auguste-Jean-Guillaume-Hubert Franck라고 쓴 곳 (es, fi, nl, no, pt, 그리고 bg, ja, zh)
  • César Auguste-Jean-Guillaume-Hubert Franck라고 쓴 곳 (it)
  • 기타 (ru — 로마자로는 하이픈이 있는데, 키릴문자 표기엔 없음)
같은 노르웨이어라도 보크몰판은 하이픈을 쓰고 있고 뉘노르스크판은 안 쓰네요. 프랑스어판은 César (Auguste-Jean-Guillaume-Hubert) Franck라고 쓰고 있는데, 이게 César 뒤로 하이픈이 붙지 않는다는 말일지 그 반대일지는 모르겠습니다. 위키백과가 부정확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일어나는 일일 가능성도 있지만, 프랑스어권 출판물에서조차 César Auguste Franck와 César-Auguste Franck가 혼용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외래어 표기와 마찬가지로 이 문제는 어느 쪽으로 정하더라도 불만족스러울 것 같아요. 만약 정하더라도 느슨하게 정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Puzzlet Chung (토론) 2009년 2월 25일 (수) 10:53 (KST)답변
  • 의견 하이픈은 붙임표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한 단위로 취급합니다. 다만 하이픈 표기가 통일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언어판의 표기를 따라 표기하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로마자 사용 언어권에서는 공백으로 이름과 성, 그리고 중간 이름을 구분하기 때문에 하이픈을 무시할 경우 혼동의 여지가 생길 수 있다고 봅니다.--Kwj2772 (msg) 2009년 3월 2일 (월) 14:21 (KST)답변
기존 사용자:첫밗님의 의견은 그러한 혼란 때문에 모든 하이픈에 '일괄 적용'할 수 있는 규칙을 만들자는 것이었습니다. 저도 그런 혼란이 오는 것은 원하지 않고, 김우진님 의견처럼 해당 언어판을 참고하는 것에 한표 던집니다 adidas (토론) 2009년 3월 2일 (월) 15:22 (KST)답변
의견 한국어에서는 하이픈을 거의 안쓰는 것으로 아는데요. 대부분 띄어쓰는게 가장 보편적입니다. 하이픈은 로마자 언어들끼리 번역할 때에도 일관성이 없는것으로 보아 한국어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띄어쓰는 것을 하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아니면, 양쪽다 어느 쪽을 불만족스러우니 하이픈을 넣는 것도 중립적인 방법같습니다.--A. W. ROLAND ː <RECENT> 2009년 3월 3일 (화) 22:04 (KST)답변
한국어에서는 남한과 북한 모두 하이픈을 일반 문장에서는 쓰지 않습니다. 문장부호로 쓰이는 줄표는 보충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긴줄표(― 보충 내용 ―)와 “내지”를 뜻하는 물결표(~ ; 틸드)입니다. 하이픈(- ; 붙임표)는 실제 문장에서는 쓰이지 않고, 사전 등에서 복합어/합성어 표시를 위해서 사용합니다. --Knight2000 (토론) 2009년 3월 4일 (수) 14:22 (KST)답변

{의견} 왜 하이픈을 굳이 지침이나 정책등으로 만들려 하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표제어마다 흔히 쓰이는 표기가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수정하면 그만입니다. 정말, 하이픈 관련 모든 내용을 폐기하길 원합니다. Kjskjs0504 (토론) 2009년 3월 21일 (토) 08:58 (KST)답변

의견 유럽사 관련 문서를 편집하며 느낀 것인데, 하이픈의 사용이 매우 일관성이 없습니다. 같은 동군연합체 국가들임에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스웨덴-노르웨이, 덴마크-노르웨이 등에서는 하이픈을 쓰는 반면 작센코부르크고타, 작센마이닝겐에서는 하이픈을 안 쓰고 붙여 씁니다. (관련 토론) "표제어마다 흔히 쓰이는 표기"를 따른 것 같지도 않습니다. 권장되는 사용방법 정도는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Bluemersen (+) 2013년 6월 22일 (토) 00:19 (KST)답변

하이픈이 결정적으로 띄어쓰는 것이어야 하는 이유[편집]

제가 유명한 작가인 Jean-Jacques Sempe의 한국어 표기를 보니 '장 자끄 상뻬'라고 하는 군요. 개인적이 아닌, 출판사 홈페이지(참고)를 보니 정식적으로 이렇게 쓰입니다. 따라서 하이픈이 특별히 붙여쓰는 경우가 아닌 경우 현행대로 하는 것이 가장 낫다고 봅니다. 다른 의견이 있다면 부탁드립니다.--A. W. ROLAND ː <RECENT> 2009년 3월 20일 (금) 23:29 (KST)답변

하나의 case를 가지고 전체에 적용시키는 건 굉장히 위험한 발상이군요. 그리고 '현행'은 지침으로 정해진 것 없이 그때그때 맞는 것으로 하는 것 아니었나요? 이걸 왜 굳이 '띄어쓰는 지침'으로 바꾸려고 하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이걸 지침으로 정해서 전부 띄어쓰기 시작했는데, 만약 어떤 다른 작가를 그 출판사에서 '붙여쓰기'로 표기하고 있으면 어쩔 셈인가요?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표기를 쓰면 됩니다. 띄어쓰기를 많이 쓰는 이름이면 그걸 쓰고, 붙여쓰기를 많이 쓰는 이름이면 붙여쓰고요. '호르아하'를 '호르 아하'라고 쓰는 경우는 없으니 말입니다. Kjskjs0504 (토론) 2009년 3월 21일 (토) 08:51 (KST)답변
애초에 하이픈 관련해서 아무런 지침이 없었는데, 사용자:첫밗이 하나 만들려고 했던 것입니다. 현행대로라면 그때그때 구체적인 상황에 맞게 판단하자는 것이지 무조건 띄어쓰기 하자는 것이 아닙니다. adidas (토론) 2009년 3월 21일 (토) 10:24 (KST)답변
그러면 님이 알려주신 현행대로 하는게 어떨까요?--A. W. ROLAND ː <RECENT> 2009년 3월 22일 (일) 00:09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