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봇/등록 신청/용인 학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여총편집횟수다른 언어판의 기여통합 계정 목록기록(문서 이동 기록차단 기록권한 기록공통 권한 기록) • 차단플래그 부여

  • 봇의 이름: 용인 학생
  • 봇 운영자: 용인 학생
  • 프로그래밍 언어: 수동 (cat a lot)
  • 자동/수동: 수동
  • 자세한 기능 설명: 불교 신자에서 불교도로 분류 표제어 변경 작업
  • 봇 플래그가 있는 다른 언어판의 봇:
  • 추가 정보 (임의): 2주 동안 임시로 부여 해주세요. 그안에 작업을 마칠수 있습니다.

--Y.S. (토론, 위치 추적) 2020년 12월 21일 (월) 16:31 (KST)[답변]

토론[편집]

최근 바뀜 도배 사태를 막기 위해 등록 신청한것입니다.--Y.S. (토론, 위치 추적) 2020년 12월 21일 (월) 16:31 (KST)[답변]

현재는 불교 작업만 할 예정입니다.--Y.S. (토론, 위치 추적) 2020년 12월 21일 (월) 16:34 (KST)[답변]

@*Youngjin, -revi: 검토가 빠르신 분들 께 핑 겁니다. 빠른 처리 부탁드립니다.--Y.S. (토론, 위치 추적) 2020년 12월 21일 (월) 16:34 (KST)[답변]

봇을 사용할 때에는 봇을 위한 계정을 따로 만들어야 합니다.

봇 계정을 따로 만들고 신청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GTX1060 (토론) 2020년 12월 21일 (월) 16:32 (KST)[답변]
아뇨. 임시로 봇 권한을 부여 신청하는 만큼 필요성이 보여지진 않습니다.--Y.S. (토론, 위치 추적) 2020년 12월 21일 (월) 16:34 (KST)[답변]
아무튼 '용인 학생' 계정에 봇 권한을 요청한다는 것은 '용인 학생' 계정이 봇이 된다는 것을 말하는데, 저 규칙의 예외를 적용할 만할 상황은 아닌 것 같습니다. 또한 봇 권한을 받으면 최근바뀜에서 보이지 않게 되는데, 이를 악용하여 무슨 일을 할지도 모르기 때문에 저라면 주지 않을 것 같습니다. GTX1060 (토론) 2020년 12월 21일 (월) 16:42 (KST)[답변]
그런경우가 상당히 많았습니다. 관리자가 스스로에게 봇권한을 부여해 대량이동 작업한다던가요.--Y.S. (토론, 위치 추적) 2020년 12월 21일 (월) 16:43 (KST)[답변]
관리자는 대체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사용자고 관리자이므로 남용을 하지 않을 거라는 믿음이 있지만, 용인 학생님은 일반 사용자이지 않으신가요? 그리고 관리자가 스스로 봇 권한을 부여할 때는 대부분 몇 시간 내이지만, 용인 학생님은 2주를 요청하셨습니다. 감시가 소홀한 틈을 타 무슨 일을 벌일지 모르는 일입니다. GTX1060 (토론) 2020년 12월 21일 (월) 16:52 (KST)[답변]
3000여개를 과연 몇시간 내에 할 수 있을까요? 글고 자꾸 제가 문서훼손을 한다는 식으로 발언하시는데 상당히 불쾌합니다.--Y.S. (토론, 위치 추적) 2020년 12월 21일 (월) 16:53 (KST)[답변]
글고 불교 관련 문서가 거의 3000개 가까이 되는 판국에 이를 최근바뀜에 모두 한다? 이건 아닌 듯 합니다.--Y.S. (토론, 위치 추적) 2020년 12월 21일 (월) 16:48 (KST)[답변]
  1. 관리자는 봇 권한을 부여하지 않습니다. 사무관의 역할입니다.
  2. 백:봇 정책: "봇 운영을 위해서는 계정을 따로 만들어야 하며, 봇 사용자의 이름에는 'bot' 또는 '봇'이라는 이름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표준 봇 정책에서는 'bot'으로만 언급되어 있으나 '봇'도 허용함)"
  3. 사무관이 자신에게 봇을 부여하거나 요청 하에 관리자에게 봇을 부여하는 행태가 암묵적으로 이루어져 오고 있지만, 이것은 사무관이나 관리자는 일정한 절차를 이미 거쳐 공동체의 신뢰를 받고 있는 사용자로써 사무관의 판단 하에 문제가 되지 않는 작업을 고속으로 수행하도록 승인하는 것이지, 일반 사용자에게도 이러한 행태가 허용된 사례는 없습니다. 본인이 봇을 운영하고자 한다면 적절한 봇 계정을 생성하여 적절한 Framework 등을 이용하여야지, 본 계정으로 봇과 유사한 행위를 하는 것은 정당한 요청이라고는 보기 어렵습니다.
    • 특히 Cat-a-lot이 maxlag 등 시스템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준수한다는 보장이 없는 상태에서 이러한 고속 편집을 하는 행위는 리스크가 큽니다. (하단 참조)
  4. 봇 또는 봇과 유사한 대량 편집을 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5초에 1회 이상의 편집을 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또는 mw:API:Etiquette 준수: 표준 봇 정책 참조), 과도하게 빠른 편집으로 위키미디어 서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 위키미디어 재단의 요청에 따라 차단될 수 있음을 고지합니다. — regards, Revi 2020년 12월 22일 (화) 00:47 (KST)[답변]
1번은 제가 착각 했군요. 죄송합니다.
2번은 제가 있는 봇을 가동하던가 해야하군요.
3번은 아직 제가 신룋할 수 없는 사용자라고 이해하겠습니다. 정당한 요청이라고 보기에 어렵다는 말은 알겠습니다.
  1. 4, 5번은 주의 하겠습니다. 글고 최소한 5초에 한번수칙은 꼭 지키겠습니다. 그럼 봇 신청을 안하고 그냥 작업 진행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취소 합니다.--Y.S. (토론, 위치 추적) 2020년 12월 22일 (화) 08:08 (KST)[답변]

아니오아니오미완료 @용인 학생: 3000개에 달하는 문서의 분류를 변경하는 것은 cat-a-lot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봇을 운용하여야 합니다. cat-a-lot 도구는 봇으로 스크립트를 운용하기는 곤란한 수준의 적은 양이지만 사용자가 손수 하기에는 많은 양을 처리하기 위함이지, 사용자 계정으로 봇을 대체하는 것이 아닙니다. 3000여 개의 분류를 변경하는 봇을 직접 운용할 수 없다면 봇 편집 요청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도움을 구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이 요청은 일반 사용자에게 봇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지에 관한 논의 여하를 떠나 목적 자체가 도구의 목적을 오인한 요청으로 수락될 수 없습니다. 신청자 본인의 요청 취소와 더불어 본 요청을 미완료로 위와 같이 처리하고, 요청을 닫습니다. --Sotiale (토론) 2021년 1월 10일 (일) 09:51 (KST)[답변]